지슬 - 제주4·3의 끝나지 않은 이야기
김금숙, 오멸 원작 / 서해문집 / 201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끝내려면 시작해야 한다

지슬? 아직 끝나지 않은 역사적 사실을 다루는 책의 제목이라고 한다. 제주4·3사건을 다룬 책의 제목이다. ‘지슬은 제주 말로 감자를 가리키며 땅에서 나오는 열매라는 뜻을 담아 한자어로지실(地實)’이라고도 한다. 암울하고 무거운 사건을 다루는 책의 제목을 땅에서 나오는 열매라는 의미를 담은 단어로 결정한 이유가 있을 것이다.

 

우선,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제주4·3사건은 무엇일까? 제주4·3사건은‘194731일을 기점으로 194843일 발생한 소요사태 및 19549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충돌과 그 진압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을 말한다.’라고 한다. 한국 현대사에는 제주4·3사건과도 같은 아직 끝나지 않은 이야기들이 많다. 아니 시작도 못한 이야기들이 너무도 많다.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까? 그 시작은 어디서부터일까? 아직 시작하지 못한 이야기의 서두를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꺼내는 사람들이 있다. 영화, 문학, 그림, 만화 등 무엇으로 시작하건 시작의 방법은 그렇게 중요한 것은 아니다. 시작했다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그래야 못 다한 이야기를 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 수 있는 것이기에 말이다.

 

대부분의 제주4·3사건과 같은 끝나지 않은 이야기의 시작은 권력에서 출발하는 경우는 없었다. ‘민간인 학살이라는 배경에 권력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하여, 끝나지 않은 이야기의 시작은 당한 사람들에게서부터 시작된다. 하지만 그들에겐 시작할 만한 힘이 없기에 이를 동조하는 재주를 가진 사람들에게서 시작되는 것이다. 그것이 문학이며, 영화이며 또 다른 형식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이 책 사건인 제주4·3사건도 그러한 일련의 과정을 거치면서 문학으로 영화로 다시 만화라는 수단을 통해 말하지 못한 이야기를 시작하는 것이다. 이 책의 시작은 영화 지슬에서 출발하고 있다. 영화 지슬한국영화 최초 선댄스영화제 최고상 수상, 브졸국제아시아영화제 황금수레바퀴상, 이스탄불영화제 특별언급상, 부산국제영화제 4개 부문 수상, 국내 독립영화 최다 관객 동원등 다양한 수식어로 대중들의 주목을 받았기에 그림으로 만나는 이 지슬에 기대하는 바가 클 수도 있다. 하지만, 영화는 영화고 책은 책이며 특히, 작가가 다르기에 같은 사건에 대해서도 주목하는 바는 다를 것이다.

 

영화 지슬이 한 폭의 수묵화로 펼쳐지다는 괜한 광고문구가 아니다. 흑백으로 펼쳐지는 그림들이 어둡고 거칠며 삭막하다. 제주4·3사건으로 희생당한 사람들의 허허로운 마음을 옮겨놓은 듯 급기야는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그 느낌을 그대로 가슴에 안게 만들고 있다. 제주4·3사건의 한 장면을 담아 제주4·3사건에 대한 끝나지 않은 이야기를 시작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권력의 명에 의해 죽이고 죽는 사람들이 공존한다. 가해자와 피해자를 동일선상에 놓음으로 해서 가해자 위에 존재하는 명령하는 자들에 대한 주의를 환기하는 것으로 보이기도 한다.

 

끝나지 않은 이야기는 무엇이 끝나지 않았다는 것일까? 2014년 사건이 발생한지 66년 만에 43일이 국가기념일로 지정되어 정부가 주관하는 국가적 위로 행사로 격상되었다고 한다. 19805.18광주항쟁도 국가기념일로 지정되어 보훈청에서 주관하고 있다. 하지만, 추모노래 하나 가지고도 의견을 모으지 못하고 있다. 여전히 막고자 하는 사람들이 있고 진보한 이야기를 되돌리고자 하는 사람들이 있다. 5.18 광주항쟁보다 훨씬 긴 침묵의 시간을 강요받았던 제주4·3사건은 이보다 더 했을 것이다. 이는 피해자들에게 어떤 형태로든 상처를 치유 할 무엇이 남아 있다는 것이다. 풀리지 않고 남아 있는 그것을 이제는 이야기해야 한다는 것이 아닐까? 죽어가면서도 남은 가족들을 위해 지슬을 가슴에 안고 있었던 엄마의 마음을 이제는 이야기해야 한다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