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와 딸, 바람의 길을 걷다 - 고비사막에서 엄마를 추억하며 딸에게 띄우는 편지
강영란 지음 / 책으로여는세상 / 201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리사랑이라고 했던가?

내 엄마도 그러셨을 것이다. 방법이 다르고 서투르지만 자식을 향한 마음은 모든 부모가 같기에ᆢ 말이다. 내 엄마는 시부모님과 함께 살면서 농사를 지어야 하는 팍팍하고 일상을 살아야 했기에 자식을 향한 애뜻한 마음을 어떻게 표현할 방법도 찾지 못하고 눈치만 보았을 것이다. 겨우 아이들이 다 커 독립한 후에야 비로소 아들, 딸을 돌아 볼 수 있었을 것인데 그때는 이미 손자들에게 그 사랑을 나눠줄 때라 자식은 뒷전으로 밀릴 수밖에 없었다. 어떻게 보면 불쌍한 우리들 부모세대가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에 안쓰러움이 앞선다.

 

부모가 되어 자식인 딸에게 주고 싶은 것이 있었다. 딸아이에게 남겨줄 것이 별로 없는 아빠로써 세상과 자연 속에서 동시간대에 같은 것을 보고 가슴에 담을 무엇인가 있길 바란 것이다. 아빠를 생각하면 떠오르는 추억이 있길 바랬다. 함께했던 딸과의 어릴 적 그 시간이 고스란히 가슴에 쌓여 살아가는 동안 조그마한 추억이라도 되길 바라면서 커가는 걸 지켜보는 것이 할 수 있는 전부였다.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위해 중학생부터 집에서 독립했던 그 딸이 대학생이 되었다. 딸과 아빠사이 차츰 무엇을 더 할 시간은 줄어들 것이고 그 만큼 아쉬움과 안타까움이 그 시간을 채워갈 것이다. 지금까지는 아빠와의 거리가 더 가깝게 느껴지지만 점차 엄마와 가까워질 것이고 또 그러길 바란다. 딸아이와 엄마가 친구처럼 든든한 마음 붙잡고 삶을 살아갈 수 있길 바란다.

 

부러운 모녀 관계를 책에서 만난다. 내 딸과 그 딸의 엄마가 꼭 이런 사이가 되었으면 싶다. 엄마와 딸이 고비사막을 함께 여행하는 동안 엄마는 자신을 키워준 엄마를 그리며 엄마에게 못다 한 마음을 자신의 딸에게 넘겨준다. 딸아이가 성장하는 동안 여행을 통해 소통했던 모녀사이의 간절한 소망들이 따스한 마음으로 상대방을 향하고 있다. 엄마와 그의 엄마 그리고 딸이 고비사막의 풍경 앞에서 하나가 된다. 지평선으로 둘러싸인 고비사막과, 고비사막과 하나가된 게르에서 맛본 칼국수, 낙타를 매어놓은 밧줄 하나, 황금빛 모래사막과, 황홀경과 같았던 사막에서의 달밤은 모두 엄마에 대한 기억으로 이어진다. 초원과 사막을 함께 걷고 별들이 쏟아질 듯한 밤하늘 아래서 엄마와 딸은 속내를 나눈다. 엄마에게서 딸로 다시 그 엄마의 딸에게로 전해는 것은 자신이 다하지 못한 엄마에 대한 사랑을 담아 딸에게로 고스란히 전해진다.

 

일상에서 벗어나 자신을 돌아보게 하는 것이 여행이라고 한다. 일상을 벗어나 낯선 곳에서 느끼는 해방감이 세상과 자연 그리고 사람들에게 가슴을 열 수 있는 기회를 주기에 누구나 여행을 선망한다. 일상을 함께하는 가족이라면 더욱 이런 소중한 시간이 필요할 것이다. 하지만 누구나 할 수 있는 것은 아니기에 부러움의 대상이 된다. 얼마나 축복받은 사람들이며 엄마와 딸 사이인지 모르겠다. 그 딸도 시간이 흘러 엄마가 될 것이기에 다시 그 엄마의 딸에게로 이어지는 마음이 내리사랑으로 이름 붙었을 것이다.

 

엄마와 딸, 바람의 길을 걷다을 읽으며 필연적으로 내 엄마를 생각한다. 아버지를 먼저 보내고 홀로 남은 엄마의 속내가 어떨지 짐작만 할 수 있지만 여전히 서툰 표현이 안타깝다. 아들 향한 그 마음 짐작할 수 있기에 서러운지도 모르겠다. 홀로 봄을 맞고 있을 엄마의 마음에 봄꽃이 함께하길 바래본다. 또한, 내 딸과 그 딸의 엄마도 이런 소중한 시간을 꼭 갖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