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문학, 한옥에 살다
이상현 지음 / 채륜서 / 2013년 11월
평점 :
한옥, 정말로 아름다운가?
아파트의 편리함을 뒤로하고 불편할 수도 있는 살림집 한옥을 선택한 이유는 뭘까? 오랜 도시생활에서 몸에도 익숙한 아파트 생활에서 벗어나기 위해 오랫동안 찾아다닌 끝에 선택한 곳이 지금 사는 조그마한 살림집 한옥이다. 아마도 살림집 한옥에서 태어나고 자란 환경이 깊숙한 곳에 내재해 있다가 발현된 것이 그 이유가 아닐까 싶다. 눈만 돌리면 자연의 다양한 변화를 볼 수 있고 무엇보다 넉넉한 생활공간과 그 안에서 쌓인 추억이 나이 들어가며 시골의 살림집 한옥으로 주거공간을 옮긴 이유가 될 것이다.
하지만 한옥 생활은 그리 만만한 것이 아니다. 특히, 겨울철 난방이 문제다. 보일러가 해결해 준다고는 하지만 요즘같이 눈이 내리고 찬바람이 부는 겨울은 도시의 따뜻한 아파트의 실내를 저절로 떠올리게 한다. 그렇더라도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살림집 한옥이 주는 매력은 한두 가지가 아니다. 우선 마당이 있어 넉넉한 마음을 유지할 수 있으며 조그마한 텃밭이라도 가꾸게 된다면 채소 따위를 키워가는 제미 또한 쏠쏠하다. 삶의 근거지를 옮기고 한옥에서의 생활에 대체로 만족한다.
요사이 지자체들의 노력과 개인들의 귀촌에 대한 열망이 모여 곳곳에 한옥마을이 들어서고 있다. 지나가는 길에 들어간 본 한옥은 썩 내키지 않은 점이 많다. 우선 그 크기부터가 사람을 압도한다. 집이 주인인지 사람이 주인인지 모를 정도로 위압적인 건물 위용에 주눅이 든다. 또한 겉모양만 한옥의 형태를 빌려왔을 뿐 주변 환경과의 어울림도 실내를 꾸미는 모양세도 전통 주거공간인 살림집 한옥과는 거리가 있어 보인다. 물론 시대가 변함에 따라 주거환경도 변할 수밖에 없는 것이지만 이것도 저것도 아닌 모양세가 썩 좋지만은 않아 보인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전통 생활공간으로써 한옥은 우리들의 삶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 것일까? 이 질문은 서양의 가치관에 익숙한 현대인들에게 쉽지 않은 질문이 될 수 있다. 바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는 책을 만난다. 한옥하면 우선 떠올리는 이미지가 서울의 북촌 한옥마을이나 전주 한옥마을 등에서 볼 수 있는 기와지붕의 멋들어진 외관을 가진 집을 먼저 생각하게 된다. 또는 궁궐이나 사찰의 건물을 떠올리기도 할 것이다. 한옥이 가지는 이런 외향적인 측면 뿐 아니라 구조적인 면과 한옥을 구성하는 주변의 자연경관이나 마당까지 생각하는 경우는 그리 많지 않다. 이상현의 ‘인문학, 한옥에 살다’는 바로 이러한 현실을 바탕으로 써진 책으로 보인다.
‘인문학, 한옥에 살다’는 한옥이 아름답다고 할 때 그 아름다움을 발견하는 시각은 어디서부터 출발하는지, 한옥이 지금 모양세로 변화되어 온 근저에는 무엇이 있는지, 건축인 한옥은 그 안에서 살아온 사람들과 어떤 영향을 주고받는지 등 한옥을 떠올릴 때 간과하지 말아야 할 근본적인 질문에 대한 답을 얻어가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저자는 우선 우리들의 시각이 우리가 살아오며 형성된 가치관에 따라 그것을 바라보고 평가하는지를 반문한다. 무엇보다 사양의 미적 시각에 익숙한 현대인들이 놓치지 쉬운 부분이다. 한국 사람이 서양의 시각으로 한국 사람들이 수많은 시간을 걸쳐 살아오며 만들어 온 삶의 문화를 우리들의 시각이 아닌 서양의 시각으로 바라볼 때 이해할 수 없는 요소들이 많아진다. 이러한 현실적 제약을 벗어나기 위해 저자가 제시하는 것은 서양의 시각이 어떤 과정을 거쳐 변화해 왔으며 동양 특히 우리나라와 어떤 차이를 가지는지를 밝히며 한옥에 담긴 우리들의 삶과 정서를 바탕으로 한 한옥 바로보기를 시도하고 있는 것이다.
다소 어렵게 생각되는 서양 미학에 대한 설명이 저자의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어려운 것만은 아니다. 서양미학이라고 하는 낯선 환경을 접해보지 못한 독자들에 대한 배려로 애써 풀어쓰며 우리들의 생활에서 접근하기 쉬운 예를 찾아 설명하고 있기에 본질인 한옥을 이해하는데 저절로 많은 도움을 받게 된다. 즉 ‘숭고라는 개념과 예술과 생활과의 관계를 통해 한옥에 대한 오해와 편견을 바로잡아주고’ 있다. 하여, 건물 이상의 의미를 가진 한옥에 대해 올바른 시각으로 그 진면목을 바로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