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시 - 박경리 장편소설
박경리 지음 / 마로니에북스 / 2013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전쟁의 악마적 속성으로부터 자유로운 사람은 없다

현시대를 살아가는 한국인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사건으로 한국전쟁만한 것이 또 있을까 싶다. 동족의 가슴에 총부리를 겨누고 상대를 죽음으로 몰아갔지만 왜 총부리를 동족에게 겨눠야 하는지를 생각하기도 전에 전쟁 자체가 가지는 삶과 죽음에 대한 인간성의 파멸로 몰고 가는 속성으로 전쟁이 끝난 후에도 오랜 시간 사람들의 가슴속에 남아 상처를 보듬고 살아가게 한다. 그런 전쟁의 여파는 오늘 한국이 안고 있는 다양한 문제의 중심에 여전히 살아남아 쉽게 풀리지 않고 있다.

 

하여, 수많은 문학작품에서 이런 비극적 상황을 묘사하고 있다. 각기 작품마다 같은 전쟁을 다루더라도 작가가 주목하는 중심 주제가 다르기에 작가가 그려내는 인물형에 주목하여 소설 속 상황을 따라가는 맛이 다르다. 이청준의 ‘병신과 머저리’, 최인훈의 ‘광장’, 오영수의 ‘갯마을’, 윤흥길의 ‘장마’, 이범선의 ‘학마을 사람들’, 하근찬의 ‘수난이대’, 황순원의 ‘학’, 선우휘의 ‘불꽃’ 등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그중에는 ‘토지’의 작가 박경리의 소설 ‘파시’도 있다.

 

박경리의 파시는 한국전쟁이 발발하고 얼마간 시간이 지난 뒤 전선과는 거리를 둔 후방지역인 부산과 통영을 무대로 펼쳐지는 사람들의 이야기다. 전쟁을 이야기하지만 직접전쟁의 상황에서 한발 물러선 곳에서 벌어지는 상황이기에 직접적인 전쟁의 참상은 비켜가고 있지만 전쟁의 시기를 살아가는 사람들 모두가 그 전쟁과 무관할 수 없음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북에서 내려온 전쟁고아 수옥, 밀수꾼의 앞잡이 서영래, 극한 상황에서도 도리를 지키려는 조만섭, 돈에 정신이 팔려 수옥을 서영래에게 넘기는 조만섭의 아내 서울댁, 정신이상으로 죽은 어머니의 환상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명화, 그런 명화를 사랑하며 보수적인 아버지와 대립하는 응주, 집안의 몰락으로 비뚤어져가는 학자와 학수 등 전쟁이라는 특수상황에서 그려지는 인간형 속에서 전쟁이 어떤 것인가에 대한 질문을 하고 있다. 전쟁은 기성세대뿐 아니라 응주와 학수를 비롯한 젊은이들에게도 꿈을 가질 수 없게 하며 미래에 대한 불투명 보다는 현실의 문제로 직결되며 삶을 파괴해 간다.

 

문학은 주제를 대표하는 인물형으로 작가의 의도를 밝히는 것이다. 전쟁이라는 특수상황의 빈틈을 비집고 발동되는 인간의 본성은 매우 다양하게 드러난다.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개인적 욕심을 채우려는 사람, 돈과 권력의 소용돌이 속에 합류하려는 비굴함, 변화된 상황에 순응하고 목숨만 이어가려는 사람, 그런 와중에도 따뜻한 인간성을 발휘하는 사람 등이 적나라하게 드러나게 된다. 이는 전쟁이 가지는 근본적인 속성에 의해 극대화 되는 방향으로 발로되지만 꼭 전쟁에 국한된 현상은 아니다. 어쩜 이런 전쟁이라는 상황을 빗대어 지금 우리가 살아가는 현실 속에서 만나게 되는 이러한 사람의 본성을 직시하자는 것이 그 중심에 있을 것이다.

 

전쟁의 시작은 인간의 욕심으로부터 비롯되었을 것이다. 포로든 땅이든 물질자원이든 이를 둘러싼 인간의 욕심으로 시작된 전쟁이 결국 그 인간의 삶을 파괴하는 재앙을 동반한다. 전쟁의 피해자가 나만 아니면 된다는 것이 바탕에 깔린 것이다. 하지만 전쟁은 가해자, 피해자를 구분하지 않는다. 결국 모두가 전쟁의 악마적 속성의 포로인 셈이다.

 

이 작품의 제목 ‘파시’는 “풍어기에는 어장(漁場)에서 어선과 상선 사이에 어획물의 매매가 이루어지는데, 이때 거래가 이루어지던 지역(바다)”을 의미하고 있다. 어확물에 의해 사람들이 모이고 이에 따라 사람들의 삶의 근거지가 만들어지며 시간적 제약을 받는 속성이 내포되어 있다. 작가가 전쟁의 이야기를 통해 ‘파시’가 갖는 속성을 인간의 본성이 발로되는 모습과 직결 지키고자 한 것은 아닌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