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속사정 - 알고 보면 지금과 비슷한
권우현 지음 / 원고지와만년필 / 2013년 4월
평점 :
절판


역사는 현실을 비추는 거울이다

어쩔 수 없는 선택으로 한국사를 다시 공부한다. 구석기, 신석기, 청동기, 철기시대를 지나 고조선, 부여, 고구려, 백제, 신라로 이어지는 고대사 부분은 그렇다 치고라도 고려와 조선에 이르러서도 수십 년이 지난 학창시절에 공부했던 그것에서 한 치도 벗어나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년 표를 비롯해 왕조사의 단편적인 지식들을 외우는 것이 역사공부의 전부나 마찬가지인 현실이 어쩌면 가장 현실적인 학문인 역사를 멀어지게 만든 이유가 아닌가도 싶다.

 

하지만 때론 역사를 보는 올바른 방법을 알게 하며 역사를 사람들 속으로 안내하는 사람들이 있어 그나마 다행이다. 그 사람들 중에는 역사를 전공한 사람들이 대부분이지만 때론 전공과는 상관없이 순전히 역사가 좋아 공부하는 사람도 있다는 점이다. ‘조선의 속사정’을 지은 저자 권우현도 그 중 한 사람이다.

‘조선의 속사정’은 왕조사 중심의 조선 역사를 살피는 것이 아니라 생활사를 중심으로 조선 시대를 살았던 모든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여 당시 사람들의 삶과 일상을 엿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고 있다. 사회, 경제, 국방, 정치 등 사회전반에 걸쳐 우리가 알지 못했던 흥미로운 사실들을 전해주고 있다. 여성의 출산 휴가를 비롯하여 만우절, 과거시험에서의 부정행위, 학력위조, 병역비리 등이 그것이다.

 

옛날 사람이라는 생각에 우리가 사는 현대 사람들의 생활과 크게 다를 것이라는 선입견에 일침을 가하는 이야기들 속에는 인간의 보편적인 삶이 있어 공간할 수 있는 부분이 많아 새로운 깨달음을 얻게 된다. 저자는 자신의 글을 통해 역사에 흥미를 가지게 되었다면 보다 깊이 있는 역사의 이해를 위해 노력을 할 것을 당부하고 있다. 저자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가 알고 있는 조선 역사가 한쪽으로 치우친 경향이 많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이는 기존의 역사 알기가 바로 왕조사를 중심으로 그것이 전부인양 알았던 것에 기인한 것이 아닐까 한다. 이런 점에서 이 책은 보다 넓은 의미의 역사를 이야기하고 있으며 어쩌면 역사의 본질에 더 가까운 것이 아닌가하는 생각도 하게 된다.

 

현대사회는 세계화라는 허울 속에 자국의 역사를 과소평가하는 것처럼 생각하게 만들고 있다. 자국의 역사를 공부하고 이에 대해 목소리를 높이는 행위를 마치 국수주의에 빠진 것처럼 하여 역사의 의미를 희석시키고 있다. 하지만 각국들은 오히려 자국의 역사를 강조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는 중국이 자국의 역사를 강화하는 동북공정 같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우리 역시 우리 역서에 대해 올바른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정책적인 노력이 필요한 것이 아닌가 싶다.

 

역사는 문헌속의 이야기만은 아니다. 과거의 이야기지만 인간의 구체적인 삶이 고스란히 담겨 있기에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현실에서 닥치는 문제를 해결한 방도를 알게 하며 이를 기반으로 미래를 희망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하는 지극히 현실적인 부분이 바로 역사다. 그렇지만 우리의 현실은 역사를 대하는 것이 마치 흥밋거리 이상을 벗어나지 못한 것이 아닌가하여 안타까운 마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