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속에 핀 꽃들 - 우리가 사랑한 문학 문학이 사랑한 꽃이야기
김민철 지음 / 샘터사 / 201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꽃이 담긴 문학은 사람의 가슴을 따스함으로 채워준다

한 동안 야생화를 찾아 들로 산으로 다닌 적이 있다. 늘 다니던 길에서 마주하던 초본과 목본의 꽃들을 보며 무심할 수 없었던 것은 누구의 강요가 아닌 마음이 먼저 반기는 무엇이 있었기 때문이다. 우연한 기회에 숲해설가 교육에 참가하면서 그저 보기에 좋았던 꽃들에게도 자신만의 특징을 잘 표현하는 이름이 있으며 그 이름과 식물의 일생을 알아가며 참으로 행복한 시간이었다. 김춘수의 시 꽃에서처럼 나와는 상관없는 대상에서 이름을 알고 불러줄때 비로서 나에게 의미 있는 사물로 다가옴을 느낀 것이다.

 

야생화의 계절 봄이다. 야생화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긴 겨울을 이겨내며 봄을 기다리는 이유는 이른 봄부터 시작되는 야생화들의 꽃 잔치를 마음껏 즐길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긴 겨울을 이겨낸 자연의 힘이 꽃으로 피어나는 경이로움은 도감이나 책을 통해서는 도저히 알 수 없는 그 무엇이 있다. 하여, 때 이른 시기부터 마음은 이미 산골짜기와 들판으로 나가 야생화들을 마중하곤 한다. 봄구술붕이, 노루귀, 꿩의다리. 산자고 등 식물사전이나 도감에서 본 야생화들을 직접 눈으로 마음으로 만날 때 그 흥분과 설렘은 가슴 깊숙한 곳에 자리 잡아 버거운 일상을 살아가는데 커다란 힘으로 작용하곤 한다.

 

야생화를 좋아하는 한 사람 김민철은 자신이 누렸던 그 행복한 시간과 감동을 많은 사람들과 나누고 싶어 책을 발간했다. 샘터가 발행한 ‘문학 속에 핀 꽃들’이 그것이다. 이 책의저자 김민철은 딸아이의 질문에 답하는 과정에서 야생화의 매력 속으로 빠져들었다고 고백하고 있다. 많은 부모들이 아이를 키우는 과정에서 비슷한 경험을 하지만 저자처럼 직접 뛰어드는 경우는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그렇기에 저자의 야생화 탐방엔 딸아이들과 가족이 동행하고 있다. 야생화를 통해 함게 나누는 가족 사랑이 얼마나 행복해 보이는지 모르겠다.

 

‘문학 속에 핀 꽃들’을 통해 저자 김민철은 자신이 좋아하는 분야 문학과 야생화를 접목하여 새로운 눈으로 양자를 만나게 한다. 일찍 문학에 빠져 다양한 작품을 접해온 저자가 문학 속에 담긴 야생화를 통해 새로운 시각으로 문학을 바라보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여기서 놀라운 것은 우리들이 익히 아는 문학작품 속에 다양한 종류의 야생화가 등장하며 그 이야기 흐름에 야생화가 담아내고 있는 상징성이 상당한 부분에서 문학의 깊이를 더해주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꽃과 문학의 두 마리 토끼를 다 잡기 위해 저자가 선택한 문학작품으로는 김유정의 동백꽃, 정채봉의 오세암, 박범신의 은교, 황순원의 소나기, 신경숙의 엄마를 부탁해, 최명희의 혼불, 김훈의 칼의 노래, 박완서의 아주 오래된 농담, 박경리의 토지, 조정래의 태백산맥 등 서른 가지가 넘는 작품들이다. 물론 저자는 이 문학작품 속에 등장하는 꽃을 또 같은 숫자만큼 이야기 하고 있다. 문학작품 속에 꽃이 등장하는 부분을 찾아내고 그 꽃이 문학작품 전체 이미지를 형상화하는데 어떤 역할을 하는지, 꽃의 생태와 비슷한 꽃들의 구분법에 이르기까지 아주 자세한 설명을 하고 있다. 김유정의 작품 동백꽃의 동백이 사실은 생강나무였다는 사실은 이 책을 통해 처음 접한다. 이처럼 꽃과 식물에 대해 제법 많은 책을 접했다고 자부했던 독자들에게도 새로운 사실을 알려주고 있다. 문학과 꽃의 어우러짐에 주목하고 그것을 통해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 절묘한 결합이 참으로 신선하게 다가온다. 이 책은 문학과 꽃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꽃이 문학작품 속에 얼마나 깊숙이 뿌리 내리고 있는지를 확인시켜주고 있다.

 

‘문학 속에 핀 꽃들’이라는 책이 더 흥미로운 것은 꽃에 대한 저자의 시각이다. 저자 자신이 직접 경험한 다양한 사회적 경험을 문학작품과 꽃의 이야기에 생생하게 펼쳐놓고 있어 동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향수를 불러오고 때론 사회적 존재로써 책임을 떠올리게도 한다. 특히 정이현의 ‘삼풍백화점’에 대한 이야기를 끝내 접지 못하고 책의 마무리에서라도 이야기하고자 한 저자의 마음에 고개가 절로 숙여진다. 꽃은 문학을 더욱 풍성하게 하고, 문학은 꽃의 빛깔과 향기를 더욱 진하게 한다’는 문장에 ‘꽃이 담긴 문학은 사람의 가슴을 따스함으로 채워준다’고 더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