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맥주, 문화를 품다 - 벽을 허무는 소통의 매개체 맥주와 함께 하는 세계 문화 견문록
무라카미 미쓰루 지음, 이현정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2년 12월
평점 :
품절
멀지도 가깝지도 않지만 늘 함께하는 술
나에게 술에 관한 에피소드가 있다. 평소 술과 친하지는 않지만 술 문화에는 마음을 열어두고 있던 나에게 사람들과의 소통에서 빼 놓을 수 없는 술은 하나의 장벽과도 같은 것이었다. 한국사회에서 술을 마시지 못한다는 것이 얼마나 큰 제약이니 알 만한 사람들은 모두 알 것이다. 어느 날 자주 만나던 지인에게 ‘술 한 잔’ 하자고 제의했다. 그 사람은 옳거니 오늘은 마음껏 마실 수 있겠다는 생각으로 술자리에 나왔지만 그야말로 한 잔에 그치는 나를 두고 다시는 같이 술 마시지 않겠다고 선언한 것이다. 그런 후 그 사람과 우연이라도 술자리에 동석하게 되면 그 사람이 나에게 술잔을 건네는 모습은 볼 수 없었다.
여전히 술과 나는 거리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한 때는 술 마시는 양을 늘려 보고자 애를 쓴 때도 있지만 그것 역시 허사였기에 이젠 더 이상 술과 씨름하지는 않는다. 이렇게 된 후 가장 아쉬운 점이 사람들과 소통의 자리가 줄어든 것이다. 술과 일상 그리고 그 일상의 폭과 깊이를 더해주는 술 문화는 그렇게 멀어지게 된 것이다. 그렇지만 간혹 그 한잔이 생각날 땐 혼자서 한잔씩 하곤 한다. 그렇게 술이 주는 순기능은 사람들의 삶에 깊이 뿌리 내리고 있고 이는 이후에도 계속 유지되리라 생각된다.
사람이 살아온 흔적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우리가 흔하게 사용하는 의식주와 관련된 무엇 하나 사람들의 일상과 깊은 관계를 맺어온 문화와 떨어질 수 없다. 어느 것을 선택해서 그와 관련된 역사를 찾아본다면 모두가 인류의 역사와 맥을 함께한다는 것을 알게 된다. 술 역시 마찬가지다. 아니 술만큼 사람들의 생활 전반에서 영향력을 발휘한 것을 찾기 힘들지도 모른다. 그 중에서 술이라 하면 먼저 떠오르는 ‘소주’와 ‘맥주’는 보통 사람들의 삶에서 떼어놓고 생각할 수 없는 존재가 되었다.
‘맥주, 문화를 품다’는 그런 술중에서 맥주에 초점을 맞추어 사람들의 역사와 맥주의 상관관계를 찾아가는 책이다. 약관의 나이에 일본의 대표적인 맥주회사인 산토리에 입사하고 이후 맥주에 대한 지대한 관심으로 이미 ‘맥주전래’와 같은 책을 펴냈던 저자 ‘무라카미 미쓰루’는 이 책에 맥주에 대한 모든 것을 담고자 했다.
술의 역사를 거슬러 가면 5천 년 전 인류문명의 발상지인 메소포타미아까지 올라간다. 술과 사람들의 인연이 그토록 깊다는 말일 것이다. 이후 식량재배 기술이 늘고 또 자연 속에서 발효되는 곡식을 살피는 과정에서 맥주에 대한 기술을 습득한 사람들이 술을 만들고 이 술이 종교와 결합되며 전쟁이나 민족의 대이동에 의해 전 세계로 펴지게 되는 과정을 찾아 역사의 흐름을 따라가 보는 것으로 맥주의 역사를 찾아본다. 특히, 이는 맥주의 본고장이라고 하는 유럽에서 맥주의 변천사는 곧 인류의 역사와 맥을 함께한다는 점을 확인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이 책 속에서 흥미로운 점 몇 가지를 발견한다. 종교의 본산이라고도 할 수 있는 수도원과 맥주의 관계 그리고 2000년대 말에 와서 중국의 맥주회사 세곳이 세계 10대 맥주회사에 올랐다는 점이다. 또한 이제 갖 100여년이 넘은 역사를 가진 우리나라 맥주가 사람들의 일상에 파고들어 이제는 술이라고 할 때 소주와 맥주로 양대 산맥을 이룰 정도로 발전해온 과정도 흥미롭다.
술과 친하지도 않고 그다지 관심도 없는 사람에게 이 책은 그리 가깝게 다가오지 않지만 맥주를 주테마로 살피는 인류의 역사는 흥미롭다. 술을 팔아 재정을 확보하면서도 때론 금주령으로 단속하고 건강에 해롭다고 절재를 요구하면서도 여전히 높은 세금을 부과하는 술이지만 그래도 술은 각박한 사람들의 삶에 쉼과 여유를 주는 훌륭한 매개자다. 이 책을 통해 알게 된 맥주와 인류의 공존은 아마도 영원히 끝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