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는 것만이 인생의 전부는 아니다 - 장자(莊子)를 만나는 기쁨
김태관 지음 / 홍익 / 201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길을 잃으면 새로운 세상이 열린다

‘힐링’이 대세다. 힐링(healing)은 몸이나 마음의 치유를 일컽는 말이다. 이 말이 우리가 살아가는 현대사회에 와서 주목받게 되는 이유가 뭘까? 사회 전반적으로 치유되어야 할 무엇이 그렇게 많아서 힐링이라는 이 단어를 화두로 삼아야 할까? 선각자들이 인간의 삶에 대한 성찰을 시작하면서부터 지금까지 그토록 세심한 배려를 하면서 밝혀온 사상이나 이념도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본성에 대한 답을 하지 못하는 것이 아닐까? 도무지 알 수 없는 일이다. 그토록 오랜 시간이 지났건만 우리들은 여전히 행복이란 무엇인지 어떻게 살아가는 것이 행복인지도 모르고 살아가는 것이 우리가 처한 현실이다. 그렇기에 몸과 마음이 아프며 이 아픔을 치유하자는 것을 화두로 삼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2500여 년 전을 살았던 ‘장자’의 사상이 현대에 들어 주목받는 것도 그로부터 자유롭지 못해 보인다. 무엇이든 치열하게 살아야하는 것이 정답인 세상에서 그로부터 자유로워야 진정한 행복을 누릴 수 있다는 것이 장자의 이야기와 맥을 같이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김태관의 ‘보이는 것만이 전부는 아니다’는 바로 그 장자의 사상을 치열한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숨 가픈 일상에서 잠시 멈추고 자신을 돌아볼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맹자와 동시대 사람으로 추정되는 장자의 사상은 인위를 멀리하고 무위로 살아야 한다는 것과 시간을 초월하는 정신적 자유 그리고 일상의 틀을 깰 수 있는 유연한 사고로 대표된다고 본다. 장자는 공자나 맹자의 엄격한 유교사상이 대세를 이룬 시대에서도 끊임없이 자유를 추구하고 생기를 불어넣는 사상가였다. 노자에 이어 그의 사상을 한 발 더 나아가 더 적극적인 무(無)를 실천하는 뛰어난 학자이기도 했다. 이러한 장자의 사상도 장자가 살았던 시대의 한계를 바탕으로 탄생한 것이리라. 장자가 살았던 시대와 지금 우리가 사는 사회의 공통점이 바로 장자가 주목받는 이유가 아닐까 싶다.

 

‘보이는 것만이 인생의 전부는 아니다’는 장자의 핵심사상을 도/깨어라, 무위/놓아라, 지락/즐겨라는 3부로 엮고 있다. 저자는 촌철살인의 장자의 가르침을 우리가 알기 쉽게 일상에서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이야기를 통해 풀어놓고 있다. 장자가 이야기하는 유난히 많은 비유를 통해 숨은 뜻이 무엇인지 알려주고 이를 현대 사회의 생활 속에서 발견할 수 있는 삶의 지혜로 연결시켜간다. ‘대나무 그림자가 계단을 쓸어도 먼지는 꼼짝 않고, 달빛이 연못을 뚫어도 물에는 아무런 흔적이 없네’본문에 인용된 고려시대 이제현의 글이다. 저자는 이 글에서 장자의 주장과 같은 맥을 찾아 내 독자들에게 장자의 이야기를 전하고 있다. 이처럼 저자의 이야기 풀어가는 방식이 어느 한 분야에 구애됨이 없이 펼쳐지고 있다. 그래서 비유가 많아 알송달송하게 느껴지는 장자의 이야기를 텔레비젼, 스포츠, 그림, 소설 등에 등장하는 이야기와 비교설명하고 있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태어나자마자 한 길로 직진해야 성공할 수 있다는 강박관념에 사로잡혀 살아가는 현대에 장자가 살았다면 그는 어떤 삶을 살았을까? 일상에서 오는 모든 부담을 떨치고 자유로운 삶을 살 수 있었을까? 알 수 없는 일이지만 장자 역시 쉽지 않은 삶을 살았으리라 짐작해 본다. 윌든이 세상을 떠나 숲 속에서 살았던 것 역시 평범한 사람이 할 수 있는 일은 아니었다고 본다. 그렇다면 범부들이 일상에서 장자의 삶을 어떻게 살 수 있을까? 이 역시 자신의 처지에서 할 수 있는 조그마한 것부터 실천하는 것이 답이 아닐까 싶다. 세상을 탓하기 전에 자신의 삶에서 조금씩 비우고, 멈추며, 내려놓아 자유를 찾아가는 것 말이다. 그래야 정해진 길에서 잠깐 벗어나 길을 잃어보고 새로운 세상을 발견하는 행복을 누릴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