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탐식가들
김정호 지음 / 따비 / 2012년 2월
평점 :
품절


탐식과 미식의 차이는 무엇일까?

맛 집으로 넘쳐나는 세상이다. 어딜 가든 맛있는 음식으로 사람들을 유혹하는 음식점들이 부지기수다. 먹을거리가 넘쳐나는데도 막상 무엇을 먹을지 난감할 때가 많다. 음식이란 사람의 삶을 영위하는데 기본적으로 갖춰야할 의식주 중에 하나다. 하지만, 먹는 것을 별로 좋아하지 않은 사람에게 음식이란 그저 배고픔을 면할 수 있을 정도면 그만이라고 생각한다. 그렇기에 피할 수도 없는 것이라는 말이다. ‘피할 수 없으면 즐기라’는 말이 여기에도 해당된다면 꼭 맞는 사람들이 있다. 바로 탐식이나 미식가들이 그들이 아닐까? 아니 그들은 먹는 것 자체를 좋아하고 찾아다니기까지 하는 사람들이기 ‘피할 수 없으면 즐기라’는 말은 맞지 않을 것이다.

 

그렇더라도 음식을 즐기는 사람들은 많다. 즐기는 것을 넘어 즐긴다는 말이 무색할 만큼 음식을 탐하는 경우를 ‘탐식가’라고 한다. 음식이 넘쳐나는 시대에 그 음식의 맛을 찾아다니며 것을 두고 왈가불가할 수 있는 것이 아닐지라도 과유불급이라고 지나친 것은 피해야 옳다는 말이다. 맛을 찾아다니거나 음식에 과도한 집착을 보이는 경우는 현대에 들어 생긴 일이 아니다. 역사를 보면 다양한 시대에 지나친 음식에 대한 몰두가 지탄의 대상이 되거나 정적을 제거하는데 이용되기도 했다. 서양의 역사뿐 아니라 우리의 경우도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이렇게 음식에 주목하여 조선시대 ‘탐식가’와 ‘미식가들’에 대한 이야기를 담은 책이 김정호의 ‘조선의 탐식가’들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조선은 성리학이 지배하는 사회이기에 성리학적 이데올로기에 의해 음식 또한 제한을 받았다는 점을 지적하며 이야기를 시작한다. 살생을 금했던 불교국가였던 고려이후 조선에 들어서면서 고기에 대한 금기가 풀리면서 음식문화에 대한 폭이 넓어졌다. 그것이 조선의 사대부들 사이에 음식을 탐하는 문화로 확대되었다는 것이다.

 

조선시대 계급에 의해 12첩 반상이니 9첩, 7첩, 5첩 등으로 밥상까지 규제했던 사회에서도 탐식가들은 있었다. 조선의 탐식가들 경우 저자에 의하면 김안로와 윤형원과 같이 권력과 부의 맛을 밥상에서 느끼려 한 경우와 서거정과 허균처럼 진귀하고 맛난 음식을 찾아 먹고 기록한 이른바 '맛집 탐방형'도 있었다. 이들이 주목했던 음식으로는 우심적이나 두부, 순채 등이다. 하지만 이와는 달리 소박한 밥상론의 이덕무나 정약용처럼 소박한 식단을 지키며 살았던 사람도 있었다. 성리학이 지배하던 시대의 음식철학을 구현한 사람들은 성리학을 이념으로 살았던 사대부들 보다는 이덕무처럼 ‘중인’ 신분인 사람들이었다.

 

정약용과 개고기, 어쩜 부적절한 조합이 아닐까? 하지만 정약용은 형 정약전이 흑산도 유배생활에서 몸이 상했다는 것을 알고 개고기를 추천하며 그 요리법까지 알려주고 있다. 홍길동의 저자로 알려진 허균은 귀양을 가면서도 먹고 싶은 것이 있는 고장으로 가게 해달라고 했다. 개고기를 뇌물로 받고 사람을 추천한 김안로도 있다. 모두 성리학이 지배하던 조선시대 음식과 관련된 이야기다.

 

소중화로 자처하며 중국의 문화를 따라하는 것이 자신의 지위를 높이는 것으로 생각했던 조선의 사대부들은 음식문화에서도 마찬가지였다. 그리하여 중국의 누가 무엇을 먹었다는 기록의 의거하여 자신들도 그것을 좋아했다. 우심적이나 두부 등이 그 대표적인 음식이다. 또한 중국의 열구자탕이나, 일본으로부터 승기악탕과 같은 외국음식들도 당시에 유행했다는 것을 통해 당시 음식문화의 한 단면을 살필 수 있다. 저자는 소박하고 담박해야 할 성리학의 밥상을 뒤엎은 조선 시대의 탐식과 미식을 파고들었다.

 

무엇을 어떻게 먹어야 하는가? 전국 곳곳이 맛 집이지만 ‘맛’에만 집중할 뿐 음식이 가지는 의미에 대해 생각하는 기회는 드문 것이 현실이다. ‘맛있는 음식을 찾아다니며 먹는 것’ 보다 ‘음식에 담긴 삶을 맛보는 것’이 중요한 것은 아닐까? 이 책 ‘조선의 탐식가들’은 각종 기록을 찾아 조선 시대의 음식문화를 살필 수 있게 한 것이지만 이를 통해 현대인들에게 음식의 가치와 의미를 살필 기회를 제공해 주는 책으로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