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진홍의 사람공부 - 사람을 아는 것의 힘 정진홍의 사람공부 1
정진홍 지음 / 21세기북스 / 2011년 8월
평점 :
품절


내가 나 되기 위한 길
사람은 혼자 살아갈 수 없다. 이런저런 사회적 관계를 맺으며 살아가는 사람은 그 사회적 존재에 의해 자신의 가치를 인정받기도 한다. 사회적으로 성공한 사람들의 경우 그들은 사람과의 관계에서 남과는 다른 무엇을 발휘하여 그들과 구별되는 독특한 자신의 장점을 찾았기에 가능한 일이었을 것이다. 남과 어울려 관계를 형성하고 그 속에서 그 사람들과 더불어 살아가는 것이 사람 사는 기본방식이다.  

하지만, 사람과 더불어 살아간다는 것이 모든 어려움의 출발점이 될 수도 있다. 사람이 받는 상처 중 가장 큰 상처는 사람에게서 받는 것이라고도 한다. 일을 하는 도중 어려움은 버텨내면 되기도 하지만 사람에게서 받은 상처는 어쩔 도리가 없이 감내해야할 경우가 더 많다는 것이 사람과 더불어 살아가는데 어려움이다. 그렇다면 피할 수도 없고 다른 방법을 찾을 수도 없는 난감한 상황을 벗어날 해결책은 무엇일까? 

호랑이를 잡으려면 호랑이굴로 들어가야 한다는 말이 있다. 결국, 사람들 사이로 더 깊숙이 더 친밀하게 들어가 그 안에서 찾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나와 다른 사람, 나와는 다른 특성을 갖고 있는 사람을 나와 같이 동등한 사람으로 인정하고 그 안에서 내 문제의 답을 찾는다면 결국 스스로가 다른 사람과 나와 구별될 수 있는 자신만의 장점을 찾을 수 있을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더불어 살아가는 힘을 얻게 될 것이다. 

이렇게 사람들 사이에서 나와는 다른 사람들과 더불어 내 삶을 꾸려간다는 것은 나 스스로 ‘나’되기 위함이다. ‘정진홍의 사람공부’ 역시 나로 나 자신에 대해 올바로 알기 위해 다른 사람을 알아가는 과정에서 얻은 사람 이야기를 담아 놓았다. 저자가 자신을 알기위해 10여 년 동안 500여명을 알아가는 과정이 바로 그것이다. 이 책은 그 과정에서 얻은 성과를 바탕으로 해서 엮은 책이다.  

고난과 어려움을 극복한 사람, 한 분야에서 자신만의 목소리로 우뚝 선 사람, 성공한 사람이라고 자타가 인정하고 있는 정상에 선 사람들을 직접 만나거나 책을 통해 만나면서 ‘사람공부’를 했다. 그들이 살아온 삶의 가치, 기준, 방식 등을 찾아보고 그 안에서 그들이 지금 현재의 모습으로 우뚝 서기까지의 과정을 탐구한다. 이러한 사람공부는 그 사람들에게서 무엇인가 배울 점이 있다는 확신에서 출발하고 있으며 주목하는 사람들은 세계 각지, 살아온 시대, 성별, 연령, 직업에 상관없다. 모두가 자신을 찾아가는데 스승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무라카미 하루키부터 시작되는 사람 탐구는 남미 혁명가 체 게바라, 우리나라 노래꾼 장사익, 재미 교포 이승복, 나탈리 포트먼, 한용운, 토니 휠러와 모린 휠러, 공옥진, 존 레논, 플라시도 도밍고, 송해, 인순이, 스즈키 이치로, 코코 샤넬 등으로 수없이 이어지고 있다. 어떻게 보면 무차별적으로 사람을 만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저자는 이런 모든 사람들의 삶에서 배울 건 배우고 버릴 건 버려 결국 자신에게로 돌아가고 있다. 또한, 사람 깊이 읽기를 통해 나와 다른 사람들이 나와는 무엇이 다른가에 대해 집중적인 탐구를 하고 있다. 

모든 문제의 근원은 자신이며 그 해결책도 자신에게 있다는 것을 확인하는 과정이다. 타산지석이라고 다른 사람들의 삶을 공부해서 스스로 자신을 가꾸고 삶을 개척할 힘을 스스로에게서 찾자는 말일 것이다. 다른 사람이 다른 사람만의 독특한 삶이 있듯 나 역시 나만의 삶을 꾸려나갈 힘, 그것을 찾아 사람공부에 매진한다면 나 역시 다른 사람의 스승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