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비아캄페시나 - 세계화에 맞서는 소농의 힘
아네트 아우렐리 데스마레이즈 지음, 엄은희 옮김 / 한티재 / 2011년 8월
평점 :
소농의 힘이 국가의 미래를 담보 한다
텃밭을 마련하고 계절에 맞는 씨앗을 뿌렸다. 농사라고 할 만한 것이 아니기에 누구에게 내놓고 말하지 못하지만 밭을 일구고 거름을 주며 씨앗을 뿌린 후 새싹이 나는 것을 기다리는 마음을 무엇에 비유할 수 있을까? 선 듯 떠오르지 않는다. 자그마한 밭이지만 무, 배추, 상추, 부추, 당근에다 마늘까지 심어 놓고 하나씩 따먹는 즐거움이 시장에서 사다먹는 채소 맛과 비교할 수 없다. 마을 사람들이 농사짓는 시기에 따라가면서도 나름대로 계획을 세워 일궈가는 텃밭농사를 통해 농민들의 마음을 조금이나마 느껴보는 것이 조그마한 소망이다.
삶의 터전을 시골마을로 옮겨 이제 한 계절을 보냈다. 마을 구성원들 대부분이 할아버지 할머니들로 기계화된 농사를 짓는다고는 하지만 힘에 부쳐하는 모습들이 보일 때 마다 우리의 농촌과 농업 환경에 안타까움이 있다. 거창하게 ‘식량 주권주의’를 들먹이지 않더라도 아버지 세대가 지나면 농촌은 더 이상 사람 사는 곳이 아닐 것이라는 점은 불을 보듯 명확하다.
환경의 변화는 우리나라에 국한된 이야기가 아니다. 현대 사회의 대표적인 다국적 기업들 중 하나는 맥도날드처럼 먹을거리와 밀접하게 관련된 산업이 차지하고 있다. 이는 한 나라의 기업이 더 이상 한 나라에 국한된 기업이 아니고 이미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하고 있는 현실이지만 막상 각 나라의 농업은 제자리걸음을 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음도 현실이다. 다국적 기업이나 선진국의 공격적인 시장 확대는 인정사정없이 파고드는데 이에 대응하는 농민들의 움직임이 그것에 미치지 못한다면 향후 경쟁이나 대결의 결과는 어떨지 굳이 말하지 않아도 답은 뻔하다.
이러한 현실에 대처하는 농민들의 움직임이 조직화되면서 생존과 직결되는 농업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눈물겨운 걸음이 시작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움직임이 한 나라의 국경 안에 머물러 있기에는 돌아가는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이러한 현실적인 필요에 의해 조직된 농민들의 국제적인 조직이 ‘비아캄페시나’다 우리들에게 낫선 이름이지만 농민 조직들 사이에서는 이미 유명한 조직이다. 비아캄페시나에서 주장하는 식량주권주의에는 소농을 중심으로 먹을거리와 관련된 지식, 연구, 기술, 과학, 생산, 무역의 목적과 조건을 규정하고 좌우하는 주체가 근본적으로 바꿔야 한다는 것이다.
각 대륙에 분포되어 있는 비아캄페시나의 가입 조직들의 면면을 살펴보면 알 수 있듯이 파괴되는 공동체를 지키며 그 안에서 산업화된 농업이 아니라 소농들이 중심이 된 운동 조직이다. 전통적 가치관이 남아 있는 곳이기에 성차별에 의해 남자와 여자의 노동 강도가 다른 것이 사실이지만 이 조직에서는 이러한 차별을 극복하고 여성 농업인들에 대해 보다 적극적인 자세를 갖추고 있다.
이 책은 아직 생소한 조직인 비아캄페시나에 대해 사람들에게 알리고자 하는 의도가 담긴 책으로 보인다. 모든 것이 커지고 빠르며 세계화되어 가는 현실에서 농촌공동체를 건설하고 이에 맞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조직인 비아캄페시나의 사람들의 활동을 지나온 활동을 구체적으로 살피고 지금 현재의 모습을 보여주는 활동보고서는 이 조직을 처음 대하거나 잘 알지 못한 현실을 감안한 저작으로 보인다. 해체되어가는 농업과 농민들의 삶의 터전만이 문제는 아니다. 식량주권에 밀접하게 관계되며 향후 국가의 존폐와도 직결되는 식량의 무기화에 대처하는 현실적인 대안이 무엇인지 깊게 생각해 볼 기회를 제공해 주고 있어 의미 있게 다가오는 내용들이다.
2003년 칸쿤에서의 우리나라 이경해이라는 농민이 자결했다. 고 이해경의 이런 결단이 반WTO를 외치고 반세계화의 선두에 서도록 만들었다. 우리나라 농민들과도 밀접한 관계를 가진 이 단체의 활동이 이토록 생소한 느낌으로 다가오는 것은 왜 일까?
세계인권선언 25조는 “인간은 누구나 의식주와 관련하여 본인과 그 가족의 안녕을 위한 생활수준을 유지할 권리를 가진다”고 규정하고 있다. 지구에서 한 해 동안 생산되는 식량은 지구인이 먹고도 남는다고 한다. 하지만 세계 도처에는 먹지 못해 삶을 그만두어야 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 넘쳐나지만 부족하다는 현실이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이는 먼 나라의 이야기가 아닌 오늘 우리가 맞고 있는 현실이기도 하다. 무엇을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 ‘비아캄페시나’ 운동을 통해 실마리를 잡을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