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금을 함께하는 동료 중에 특이한 사람이 눈길을 끌었다.
머리를 싹~ 밀어버리고 다니는 사람이라
처음엔 스님인줄 알았다는 사람들이 있을 정도다.
그사람의 호가 배코라고 한다.

배코치다[머리를 삭발하다]에서 따온 것이라 한다.
지금은 거의 쓰지 않은 단어라 못 알아듣는 사람도 제법 있다.
그 사람의 이름은 황순칠,
전업 작가로 이 지역에선 제법 유명한 사람이다.
배꽃을 주로 화폭에 담고 있다.

매주 열심히 대금수업에 나오다
가끔 결석도 하지만 모두가 바빠서 그럴거라 생각하고 만다.
그 배코라는 분이 음악회를 주최했다.
이름하여 [BeCo 송년 음악회]

올해로 아홉번째라고 하니 횟수로만 봐도 대단하다.
이번엔 대금의 명인이신 원장현 명인을 초청하여
음악회를 한다고 초대를 받았다.

그 사람과 함께 배우는 대금이 대금산조 원장현류다. 



 크지 않은 화실에 그랜드피아노가 놓여있고
60여 명 정도 모였다.
화가와 지역문화계 사람들이 주류를 이룬다.
전에 안면이 있는 사람들도 제법있어
그리 낯설지는 않다.
화가 황순칠의 초대로 오신분들이다.

함께 대금공부하는 동료들도 몇몇 참석하고
국악전수관 대금 선생님도 참석하였다.
대금 명인 원장현 선생님 제자라
원장현 명인을 대하는 모습에서
무척이나 어려워 하신다는 느낌이 든다.
장구장단을 하시는 분이 바로 나의 대금 선생님이신
장용수 빛고을국악전수관 학예연구사다.

대금공부를 하는 사람으로 
그 곡을 직접 작곡하고 연주하신
본인에게 직접 듣는다는 흔치 않은 기회다.

역시...명인의 연주라는 감동의 시간이였다.

 

배코 황순칠 작가의 작품으로 만든
넥타이와 스카프로 경춤 추첨시간이 있었는데
모두가 만족하는 선물이 되었다.

 문화라고 하면 나와는 거리가 먼
특정한 사람들 만이 누리는 특별한 것이라는 인식이 있는데
누구나 생활 속에서 자신의 조건에 맞게
마음의 여유를 찾아 할 수 있는 것이
문화가 아닌가 싶다.

한해를 보내는 막바지 대금의 깊은 울림과 함께
훈훈한 자리가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