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금공부하는 벗들이 모여
오랜만에 나들이를 한다.
유마사 일주문에 들어서고 있다.
전남 화순 모후산에 있는 사찰이다.

모후산, 1361년(공민왕10) 홍건적이 쳐들어왔을 때 
왕과 왕비는 태후를 모시고, 이곳까지 피난왔단다. 
수려한 산세에 반한 왕이 가궁을 짓고 환궁할 때까지 
1년 여 남짓 머물렀다고 한다. 
그후 원래 명칭인 나복산을 모후산으로 바꾸었다. 
이는 어머니의 품속같은 산이라는 뜻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모후산의 품속에 있는 유마사는 
627년(백제 무왕 28) 중국에서 건너온 
유마운()과 그의 딸 보안()이 창건하였고, 
고려 때에는 귀정암()과 금릉암() 등
8개의 암자를 거느려 당시 호남에서 가장 큰 사찰이었다고 한다. 

세월의 무게를 비켜가지 못하는 것인지
몇년전만 해도 다 쓰러져 가는 법당 하나가 
겨우 명백을 유지해 오다
최근 불사를 크게 일으키고 있다.



일주문을 들어서며 가장 먼저 만나는 것이
보물 제1116호로 지정된 유마사해련부도()다. 
아마 불사의 근저에 이 부도가 큰 힘이 아닌가 싶다.



절집으로 들어가는 다리위에 서서
걸오는 길을 돌아다 본다,
단풍든 낙엽이 계곡물 위에 내려 앉아
가을의 정취를 더하고 있다.



기억 속 고풍스럽고 아담한 풍경은 사라지고 없다.
한창 진행중인 불사로 인해 어수선한 분위기에
차분한 마음이 덩달아 어수선해지며
길을 잃어버린 듯 싶다.

세월의 흔적이 남아 있는 것이
그나마 한쪽 구석에 모여 햇볕바라기를 하고 있다.



마당을 벗어나 산길로 접어든다.
이곳을 찾은 사람들의 흔적으로
가을 단풍 마냥 울긋불긋 요란하다.
무엇이라도 남기고 싶은 사람의 마음인가 보다.



잘 단장된 산길 여기 저기
늦은 가을의 모습이 아직 남아 있어
그나마 어지러운 마음을 달래준다.



한 시간여 산길을 돌아 담소를 나누며 
오붓한 시간을 보내고 내려오는 길에 만난
할머니의 마음이 따사롭다.

허기진 배를 채운 식당 주인의 허락을 받고
서로의 대금 소리에 취해본다.

한잔 두잔 건너는 술잔에 
익어가는 가을이 떠나지 못하고
얼굴로 붉게 번져 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