元日獨坐有感 원일독자유감

萬古貞元遞始終 만고정원체시종

前瞻後顧儘無窮 전첨후고진무궁

人生荏苒成今昔 인생임염성금석

道體沖瀜沒隙空 도체충융몰극공

凡聖一心思則得 범성일심사칙득

助忘交病勿爲功 조망교병물위공

晴窓旭日娟娟淨 청창욱일연연정

點檢靈源髣髴同 점검영원방불동

설날 홀로 앉아 생각에 잠기다

만고토록 봄과 겨울 시작과 끝이 되어

앞을 보고 뒤를 봐도 무궁하게 이어지네.

우리 인생 세월 따라 고금 사람 되어가나

도(道)의 본체 충만하여 빈틈이 전혀 없네.

범인과 성인은 한마음이라 생각하면 얻지만

조장과 망각은 병이 되어 효과 보지 못하네.

맑은 창에 해가 솟아 아름답고 깨끗하니

내 마음 점검하여 해와 같이 되게 하리.

​*조선사람 정경세(鄭經世, 1563~1633)의 시다.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이며 호는 우복(愚伏), 일묵(一默)이다.

새해라지만 어제와 다르지 않기에 여전히 오늘에 주목한다. 그 오늘은 어제와 내일을 구분하는 경계이기도 하지만 둘 다를 포함하고 있기도 하다. 하여, 끝과 시작이 따로 있지는 않다. 새해라고 계획을 따로 세우지 않는 이유이기도 하다.

눈 쌓인 저 너머에 봄이 오고 있을 것이다. 급하지도 느리지도 않은 제 속도로 어김없이 올 봄이다. 섬진강에 매화 피었다니 봄이 어디쯤일지 짐작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