答奴告買月 답노고매월

僮僕欺余曰(동복기여왈)

今宵買月懸(금소매월현)

不知何處市(부지하처시)

費得幾文錢(비득기문전)

달을 샀다는 아이에게

아이 종이 나를 속여 말했네.

"오늘 밤 달을 사다 매달아 놨소."

"어떤 시장에서 샀는지는 모르겠으나

달 값을 몇 문(文)이나 주었지?"

*조선사람 무명자無名子 윤기尹愭(1741∼1826)가 일곱 살 어린 나이에 썼다는 시다.

달을 샀다는 아이나 달 값이 얼마냐는 아이나 마음 가운데에 둥근달을 품었다. 그 달이 비추는 세상은 또 얼마나 밝을까.

대문을 나서며 산 위의 달을 본다. 미세먼지로 다소 선명함이 떨어진다. 품을 덜고 채우는 동안 늘 다른 모습의 달이지만 그 품의 온전함을 안다.

달의 위로는 오늘도 다르지 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