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사에게 나를 지키는 법을 배우다
설흔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시수선화 피는 봄날이다

마당 한쪽에 수선화가 한창이다수많은 꽃들 중 수선화를 선택한 것은 특별한 이유가 있다조선 후기를 살며 한 시대를 풍미했던 추사 김정희(金正喜, 1786~1856) 때문이다추사가 수선화를 특별히 좋아하고 제주도 유배당시 머물던 곳에 많이 심었다는 이야기를 듣고 나서부터 수선화를 더 가까이 하게 되었다.


어쩌면 추사에 대한 호기심은 이로부터 시작되었는지도 모르겠다권문세도가의 집안에서 태어나 이른 시기에 출새가도를 걸었던 추사는 당시 사대부들이 관심을 가졌던 시화에 금석문까지 자신이 가진 장점을 마음껏 발휘하며 세상 넓은 줄 모르며 그 자신을 뽐내며 살았다그런 그가 인생 말년에 제주와 북청으로 두 번에 걸친 유배를 가야했다절해고도로 떠났던 유배는 그의 삶에 무엇을 남겼을까그토록 당당했던 사람이 세상 사람들의 손가락을 받을 처지로 전락한 그의 마음속에는 무엇이 있을까?


추사에 대한 연구는 역사학계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심도 깊은 연구가 이뤄졌을 것이다하지만 일반인이 추사에 갖는 관심사는 그가 이뤄냈던 학문적 업적도 있지만 그의 삶에서 보여준 지식인의 삶의 자세와 태도에 있지 않을까몇 해 전 이상국의 추사에 미치다’(푸른역사, 2008)와 같은 책들은 그동안 추사를 다뤘던 시각과는 조금 다른 접근을 한다이 책 설흔의 추사에게 나를 지키는 법을 배우다’ 역시 비슷한 시각으로 추사의 삶과 사상에 접근하고 있는 책으로 보인다.


제주도로 유배간 아버지 추사가 자신을 닮고 싶어 하는 아들에게 보낸 편지글 형식의 이 책은 추사가 살아온 인생을 돌아보며 그가 관심 가졌던 다양한 분야뿐 아니라 특히 그가 지향한 삶의 자세와 가치관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새롭게 추사의 모습을 바라볼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해 준다.

 

나는 나이되내가 아니었다내가 곧 가문이었고가문이 곧 나였다그것이 바로 나라는 사물이 있어야 할 제대로 된 위치였다.’ 이 말에 담긴 추사의 속내는 짐작하고도 남음이 있다당시 권문세도가의 촉망받는 아들로 태어나 자신보다는 가문이 더 크게 보였을 무게감이 이해될만하다. 저자의 상상력은 그와 인연을 맺었던 당시 사람들을 불러와 추사가 추구했던 삶의 바탕에 무엇이 있는지를 말하고 있다이 점이 이 책에서 가장 돋보이는 부분이 아닌가도 싶다세한도에 담았다던 이상적을 비롯한 중국의 스승과 벗들 박제가정약용권돈인김유근조인영 그리고 초의와 소치에 이르기까지 당야한 사람들과의 교류를 텅한 김정희의 속내를 보여줌으로써 김정희가 김정희이게끔 만드는 매력적인 점이다.

 

또한작가의 바람대로 인생이라는 천리 길을 떠나는 아들에게 삶의 지침이 될 만한 이야기를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구체적이며 심도 깊게 전개하며 내용도 설득력 있게 다가온다작가 설흔이 추사의 입을 빌려 나를 지키는 법으로 제시한 목차의 그것보다 더 주목되는 문장은 따로 있다매 단락을 마무리 짓는 문장으로혹독한 관리의 차가운 손을 기억하라’, ‘사물의 올바른 위치를 기억하라’, ‘아랫목이 그리우면 문부터 찾아서 열어라’, ‘맹렬과 진심으로 요구하라’, ‘너의 세한도를 남겨라’ 등 다섯 가지 가르침이 김정희가 살던 그 시대에 국한된 이야기가 아님은 강조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현대인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삶의 지침으로 삼아도 충분히 좋을 것들로 새겨둘 만 하다고 본다.

 

이 책은 2013년에 출간된 '추사의 마지막 편지나를 닮고 싶은 너에게'의 개정판이다. 5년 만에 개정판을 손에 들고 첫 마음으로 다시 읽었다관리의 차가운 손으로 자신의 삶을 살고자했던 추사 김정희의 감춰진 따스한 인간미를 느끼게 하는 이 책은 수선화가 한창인 봄날 삶의 지혜를 얻고자 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봄바람처럼 훈훈한 기운을 불어 넣어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