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돌프 히틀러 한길로로로 18
하랄트 슈테판 / 한길사 / 1997년 7월
평점 :
품절


히틀러와 나치즘

예전에 알라딘에서 산 <아돌프 히틀러>를 읽었다. 1990년대 한길사에서 인물 시리즈 중 하나로, 원서는 독일인이 쓴 책이며, 1983년에 나온 책이다. 히틀러는 전 세계적으로 비판받는 인물이다. 1939년 그가 일으킨 제2차 세계대전으로 수많은 인명피해와 재산피해가 발생했고, 홀로코스트라는 아주 끔찍한 인종학살까지 벌어졌다. 히틀러가 많은 이들에게 비판받는 이유는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책은 그 당시까지 이어져온 히틀러에 대한 연구 흐름을 간략하게 소개하며, 히틀러의 이데올로기와 정치선전 부분에 보다 많은 집중을 기울였다. 따라서 책은 히틀러가 극단적 민족주의에 빠진 이유를 찾기 위해, 히틀러의 초기 생애와 제1차 세계대전 이후 나치즘 이데올로기의 형성 과정 및 나치와 히틀러의 활동에 보다 초점을 맞추었다.

히틀러를 다루는 책 치고 결코 두꺼운 분량의 책은 아니지만, 제법 학술적인 부분도 보인다. 그러나 히틀러가 일으킨 제2차 세계대전에 대해선 정말 수박 겉핥기식으로 넘어가는 수준이다. 인물 히틀러를 알기 위해선 그가 일으킨 제2차 세계대전과 홀로코스트에 대해 보다 깊이 다뤄야 하지만, 나치즘 이데올로기에 대한 비판적 고찰만 하다보니 가장 중요한 부분을 짧게 다룬 느낌이다. 1942년 반제회의에서 유대인 절멸정책이 결정되어 실행되었다는 구절이 책 분량에 비해 짧게 들어가 있다.

또한 책은 나치즘의 본질적인 문제를 놓치고 있다. 600만 명의 유대인을 조직적으로 학살한 히틀러의 편협한 이데올로기는 과연 어디로부터 비롯된 것일까? 나치즘의 영통팽창적 망상은 어디서 비롯되었을까? 이들은 왜 인종 이데올로기적 사회를 추구한 것일까? 여기에 대해 내가 짧게 할 수 있는 명쾌한 대답은 바로 ˝서구 제국주의에서 비롯됐다.˝라는 대답이다.

나치즘의 우생학적 이데올로기와 인종차별 그리고 팽창정책 등은 엄밀히 말해서 19세기 영국 프랑스, 벨기에 등과 같은 서구 제국주의 열강들이 가지고 있던 이데올로기다. 나치즘 이데올로기에서 빠질 수 없는 반공주의 또한 서구 제국주의 국가들이 필수적으로 가지고 있던 이데올로기다. 따라서 나치즘과 서구 제국주의는 이러한 점에서 공통점을 보인다.

그러나 책은 이런 본질적인 문제를 외면하고 있다. 서구적 시각과 소위 자유주의적 시각의 치명적인 한계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은 히틀러에 대해 알고 싶은 이들에게 제법 추천해줄만한 책이다. 존 톨랜드의 책은 글이 어렵지는 않지만, 일반인들이 읽기에 너무 두껍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두꺼운 책을 읽기 두려워하는 이들에게 추천할만 하다. 이 책은 제법 학술적이면서 분량도 적절한 편이고, 사진도 많이 들어가 있다.

히틀러에 대한 자료는 아주 많다. 조금 과장해서 표현하자면, 밤하늘의 별만큼 자료가 넘쳐난다. 신비한 티비 서프라이즈의 소재로 나치와 히틀러가 자주 사용되는 데에는 이러한 이유가 있다. 그러나 서구의 학계는 자신들의 제국주의적 이데올로기가 600만의 유대인을 학살한 나치즘과의 공통성에는 항상 외면한다. 앞으로의 히틀러와 나치즘의 연구는 이것을 바탕으로 확산되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