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룡 연구에서 최신 연구가 중요한 이유?
공룡관련 연구들을 보면, 정말 흥미로운 점이 있다. 고생물학은 기본적으로 발굴한 화석을 바탕으로 하는 연구이기 때문에, 학계의 입장이 주기적으로 자주 바뀌는 편이다. 물론 이점이야 어느 학계든 간에 공통적인 분모일 수는 있지만, 고생물학 연구에서 특히 공룡 연구는 더욱 그러한 것 같다.
2001년작 쥬라기 공원3에서 전편에 등장했던 티라노사우루스 만큼의 위엄을 보여주었던, 스피노사우루스만 하더라도 2족보행이다 혹은 4족보행이다를 놓고, 학자들 간의 논박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2018년에는 스피노사우루스가 기본적으로 수중생활에 적합한 꼬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학자들에 의해 밝혀졌다. 심지어 현생 악어가 가지고 있는 비슷한 꼬리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이에 따라 학자들 간의 논쟁도 치열하다. 앞에서 말한 스피노사우루스의 2족보행설과 4족보행설 그리고 반수생 생활까지 여러 이야기가 나오고 있는 중이다. 스피노사우루스의 예시를 보면 알 수 있듯이,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공룡들도 주기적으로 학설이 바꼈으며, 또 변형되고 있는 중이다.
백악기 시절 서식했던 대표적인 초식 공룡인 이구아노돈을 보자. 이구아노돈은 현재 우리들에게 친숙한 공룡의 존재를 알린 존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구아노돈은 영국의 치과의사인 멘텔 박사에 의해 발견된 이래 영국의 오언 박사나 프랑스의 조르주 퀴비에 박사 등 저명한 학자들에 의해 논란의 한가운데에 서기도 했다.
1820년대 이구아노돈 복원도를 보면, 코뿔소의 뿔을 가지고, 4족 보행을 하며, 도마뱀 처럼 긴 꼬리를 가진 파충류처럼 묘사됐다. 당시 공룡들은 파충류의 종류로서 간주되었으며, 현재도 그러한 경향을 완벽히 벗어나지는 못했다. 발견 초창기 이구아노돈은 코뿔소의 뿔을 가진 도마뱅처렁 묘사됐다.
그러나 나중에 학자들은 이것이 이구아노돈의 본 모습이 아닌 것을 밝혀냈다. 사실 이구아노돈의 뿔로 묘사됐던 펴는 이구아노돈의 엄지 발가락이었다. 그 이후 연구와 검증을 거치며, 이구아노돈은 앞다리보다 뒷다리가 더 긴 것을 보고 두 발로 설 수 있는 공룡으로 밝혀졌다.
이구아노돈 외에도 대다수의 공룡들은 연구와 검증을 통해 이러한 과정들을 거친다. 목이 긴 공룡으로 알려진 브라키오사우루스는 과거에는 물에서 사는 공룡으로 묘사됐다. 이는 1940년 디즈니에서 제작한 만화 판타지아(Fantasia)에서도 잘 묘사된다. 그러나 고생물 학자들은 브라키오사우루스의 골격이 수중생활과는 연관이 없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최근들어 브라키오사우루스에 대해선 흥미로운 학설이 나왔다. 1993년 스티븐 스필버그의 작품 쥬라기 공원에서 공룡의 거대함을 상징적으로 보여줬던 브라키오사우루스에게는 현재 코끼리와 비슷한 모양의 코를 가지고 있었다는 학설이 나오기도 한다. 물론 이것도 논박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 같다.
그외에도 공룡으로 판단했다 포유류임이 밝혀진 종도 있다. 대표적으로 바실로사우루스가 그러하다. 19세기 당시 바실로사우루스를 발견한 학자는 군주 도마뱀이라는 이름을 붙혀 자신이 발견한 화석을 바실로사우루스라 이름 붙혔다. 그러나 나중에 밝혀진 결과, 바실로사우루스는 중생대 해양 파충류가 아닌 신생대 에오세 당시에 서식했던 고래과 포유류였다. 현생 고래들의 먼 조상님이었던 것이다.
이처럼 공룡 학계의 학설은 최신 연구에 지대한 영향을 받는다. 1999년에 제작된 BBC의 공룡 대탐험 시리즈 중 하나인 공룡 대탐험에선 남극 공룡을 다루며, 백악기 남극 지역에 알로사우루스가 있었던 것으로 나온다. 그러나 그 육식 공룡은 현재 알로사우루스가 아닌 아우스트랄로베나토르로 불린다.
여러 예시가 보여주듯이, 공룡 학계의 최신 연구들은 공룡의 명칭과 습성 그리고 묘사도까지 손쉽게 바뀌기도 한다. 그리고 아직도 그러한 연구를 통해 검증을 거친다. 이러한 점에 있어서 공룡 학계의 최신 연구는 다른 학문들에 비해 최신 연구의 영향력이 막강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