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5년부터 1975년까지 20년간 존재했던 나라가 있다그 나라가 바로 베트남 전쟁 당시 미국이 지원했던 국가 베트남 공화국(Republice of Vietnam, Việt Nam Cộng Hòa)이다한국에서는 보통 남베트남으로 자주 불리며영어로는 South Vietnam이라고 불린다남베트남은 1955년에 탄생했다. 1954년 디엔비엔푸 전투 이후 제네바 협정에 따라 베트남은 북위 17도선을 기점으로 남과 북이 분단됐다이에 따라 북베트남에는 호치민(Ho Chi Minh)을 지도자로 하며 1945년에 탄생한 베트남 민주 공화국(Democratic Republic of Vietnam, Việt Nam Dân chủ Cộng hòa)이 유지가 됐고남베트남에는 1949년 프랑스가 내세웠던 바오다이 황제(Bao Dai)을 중심으로 하는 베트남국(States of Vietnam, Quốc gia Việt Nam)이 유지가 됐다.

(타임스 매거진에 실린 응오딘지엠)

 

그러나 베트남국은 얼마 지나지 않아서 베트남 공화국으로 바뀌었다이 베트남 공화국은 1955년 소위 국민 투표를 통해 탄생했으며형식적으로 대통령제가 유지됐다여기서 등장하는 인물이 바로 남베트남의 초대 대통령인 응오딘지엠(Ngo Dinh Diem)이다응오딘지엠은 베트남의 로마 가톨릭 집안에서 태어난 인물로 신분적으로 베트남의 상류 계층이었다식민지 시절 그는 식민지 관료였으며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이 들어오자 일본을 지지하는 노선으로 바꿔 프랑스에 대항하는 약식 독립운동을 전개했다. 1945년 일제가 패망하고 베트남민주공화국이 창설되자베트민으로부터 협력을 제의받았으나 단번에 거절했다그 이유는 본인의 형 응오딘코이(Ngo Dinh Khoi)가 베트민에 의해 처형당했기 때문이었다물론 그의 형은 프랑스 식민지 협력자였고그의 가족과 일가친척들이 다 그러했다결국 응오딘지엠은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당시 베트남을 떠나 벨기에와 미국에서 살았으며그 시기부터 반공사상을 전파하느라 여념이 없었다.

 

지엠이 귀국한 것은 1954년 제네바 회담 전후였고바오다이는 그를 베트남국의 총리로 임명했다이에 따라 미국의 노선은 바오다이를 지지하는 것에서 응오딘지엠을 지지하는 것으로 바뀌었다이에 따라 응오딘지엠은 국민투표를 통해 바오다이를 축출하고 베트남 공화국을 선포하며 남베트남의 초대 대통령이 됐다대통령이 된 응오딘지엠은 1956년 이내로 약속됐던 총선을 일방적으로 파기하고남베트남에서 독재정치를 실행했다그가 총선을 거부한 이유는 너무나도 분명했다그 이유는 민중의 80%가 호치민과 공산당을 지지했기 때문이다그걸 알았기에 지엠도 아이젠하워도 이를 일방적으로 거부한 것이었다.

 

응오딘지엠은 미국의 지원을 받아 대통령이 될 수 있었다. 1955년 4월 응오딘지엠의 강력한 지지자인 미국의 맨스필드(Mansfield)는 상원 연설에서 바오다이를 응오딘지엠으로 대체할 것을 강력하게 주장했으며미국의 계획대로 지엠은 바오다이를 중심으로 한 군주제를 그대로 유지할지혹은 지엠의 새로운 정부를 인정할지를 국민투표를 통해 결정하기로 했다즉 그렇게 해서 실시된 것이 1955년의 국민투표였고지엠은 국민투표에서 98.2%의 득표율을 얻었다쉽게 말해 부정선거였다당시 응오딘지엠을 지지하는 미국의 엘리트 계층은 많았다그들은 베트남의 미국 친구들(American Friends of Vietnam)’이라는 단체를 결성했으며프랜시스 스펠먼 추기경조지프 케네디(케네디 대통령의 아버지), 상원 의원 마이크 맨스필드휴버트 험프리존 F.케네디 등이 응오딘지엠의 지지파였다이들은 미국의 강경 보수 성향으로 극단적 반공주의자 지엠과 성향이 잘 맞았다.

(응오딘지엠과 미국 대사인 헨리 케벗 로지, 지엠은 마치 미국 대사에게 깍듯이 예의를 갖춰 고개를 숙이는 것 같다.)

 

<호치민 평전>의 저자 윌리엄 J. 듀이커에 따르면응오딘지엠이 정권을 잡는 과정에서 가장 먼저 한 일은 바로 남베트남에 남아있던 베트민 세력들을 탄압하고 소탕하는 것이었다당시 베트민은 항일투쟁과 항불투쟁으로 대중적인 지지를 얻은 세력이었다이들은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당시 프랑스의 침략을 무찔렀고남베트남 지역에서도 프랑스군에 맞서 무장투쟁을 전개했었다그렇기 때문에 응오딘지엠 정권은 북베트남의 호치민에게 정통성이 밀렸던 것이다그 이유는 본인은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당시 아무것도 안했기 때문이다응오딘지엠은 베트민들이 설치한 선거함을 철거했고공산주의자로 의심되는 인사들을 줄줄이 체포하고 감옥에 투옥했다. 1960년대 초반 기준으로 이미 남베트남에는 수십만의 정치범이 감옥에 구금되어 있었다.

 

그리고 무엇보다 응오딘지엠 정권은 과거 프랑스 시기 식민당국에 협력한 이들에 대한 인적청산을 하지 않았다. 1954년 제네바 협정 이후 북베트남에서 80만 명 이상의 난민이 월남한 것도 따지고 보면이들 대다수가 프랑스에 협력한 인사들이었기 때문이었다이중 60만 명은 가톨릭 세력이었는데이들 또한 프랑스 식민지 시기 프랑스 식민당국의 대대적인 협력자들이었다즉 응오딘지엠 정부는 이들을 정착시켰고남베트남의 군대는 미국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으며 규모가 늘어났다그리고 이 남베트남군의 장교와 사령관들은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시기 프랑스 당국에 협력한 인사들이었다쉽게 말해 이들은 바오다이 베트남국에서 응오딘지엠의 베트남 공화국의 장교와 사령관이 된 것이다즉 미국은 이런 매국노들을 지원하며 민주주의를 교활하게 포장시켰다.

 

따라서 응오딘지엠에게는 정통성이 하나도 없었다미국의 역사학자이자 저널리스트인 가레스 포터(Gareth Porter)는 2017년 켄 번즈(Ken Burns)의 PBS The Vietnam War(2017)에 대한 비판 글을 개제하며응오딘지엠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1956년에 베트남을 통일하기 위한 선거조항을 담고 있는 1954년 제네바 협정의 운명은 와드의 역사서에 어느 정도 자리를 차지할 자격이 있다저자는 프랑스 식민주의를 조국에서 몰아내었던 베트남 공산주의 지도자 호치민(Ho Chi Minh)이 선거에서 압도적으로 승리했을 것이라고 분명히 하고 있다그러나 이 책에서 선거를 치르지 못한 유일한 설명은 남베트남 응오딘지엠(Ngo Dinh Diem) 정권이 1955년에 선거를 거부할 만큼 강력해졌다는 것이다이러한 주장은 제안된 선거만을 언급하는 에드워드 밀러(Edward Miller)가 마치 그들이 프랑스 식민통치권으로부터 합법적으로 넘겨받은 남베트남 정부의 법적 구속력이 없었던 것처럼, 6쪽 분량의 내용을 담고 있다그러나 실제로 발생한 일은 미국 그 자체가 선거를 좌지우지했다는 사실이다. 1955년 중반 디엠은 미국의 경제적 군사적 지원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었고미국의 승인 없이는 정책을 채택할 수도 없었다그리고 1955년 6월 중순에 이르러 아이젠하워 행정부는 통일 베트남을 위한 자유선거를 약속하고 있었는데냉전국가인 분단된 독일과 한국의 정책과 일관되게 하기 위해 자유선거를 유지했던 것이었다.”(What Ken Burns Left Out of the Vietnam Story, Gareth Porter, 2018.03.01.)

 

쉽게 말해 미국이 없으면 아무것도 할 수 없었다는 것이다. <베트남 10000일의 전쟁>저자인 마이클 매클리어(Michael Maclear)는 남베트남의 정부가 정통성이 없었다는 것을 책에 다음과 같이 보여주었다매클리어는 베트남 30년 전쟁의 제1막에 해당하는 디엔비엔푸 전투의 마감은 임무 교대를 위한 무대 장치의 전환이었으며, 10년에 해당하는 제2막은 미국이 프랑스의 뒤를 이어 고딘디엠(Ngo Dinh Diem)을 남베트남의 대통령으로 추대하면서 시작되었다.”고 주장했다.(베트남 10000일의 전쟁 p.99) 응오딘지엠 정부가 정통성이 없음을 이렇게 얘기하고 있는 것이다또한 매클리어는 미국 1급 기밀문서 펜타곤 페이퍼의 내용을 인용하며미국의 남베트남 정책에 대해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1957년 드와이트 아이젠 하워와 포스터 덜레스 국무장관을 만난 응오딘지엠)

 

미국은 제네바에서 이렇게 선언했다. “미국의 지속적인 입장은 베트남 국민들이 자신들의 미래를 결정할 자격이 있기 때문에이에 반하는 어떠한 행동도 지지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하지만 미국의 실질적인 입장은 6월의 <펜타곤 페이퍼>에 잘 나타나 있다미국은 24만 명에 달하는 남베트남 정규군(ARVN)을 훈련시키는 한편재정 지원을 지속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프랑스와도 협력하기로 결정했던 것이다.”(베트남 10000일의 전쟁 p.100)

 

베트남 역사를 전공한 윤충로 교수는 박사논문인 <베트남과 한국의 반공독재국가형성사>에서 응오딘지엠이 남베트남에서 프랑스 세력을 몰아냈으며친프랑스 세력에 저항하기도 했다고 주장했다그의 논문에는 남베트남 군벌 및 친불파 집합체이던 까오다이교나 호아하오교 그리고 베트남 국민당이나 빈쑤옌 등과 같은 세력을 견제했다고 나온다. “1955년 바오다이의 폐위를 거쳐 1956년 4월 호아하오의 지도자인 바꿑(Ba Cut, Le Quang Vinh)의 마지막 무력 저항을 분쇄하고 봉건주의의 종언을 선언하면서 이런 프랑스와의 대결이 절정에 달했다.”고 한다.(베트남과 한국의 반공독재국가형성사 p.324) 그러나 윤충로 교수는 응오딘지엠 정권이 가장 큰 위협으로 느낀 세력이 바로 항일투쟁과 항불투쟁을 한 베트민이었다.”는 사실도 명백히 밝혔다.

 

지엠이 가장 큰 위협으로 느꼈던 것은 과거 반프랑스전쟁에 참여했던 베트민 세력이었고이에 대한 대중들의 동조였다또한 당시 지엠은 이중의 압력곧 한편으로는 토지개혁과 정치적 민주화의 진전에 대한 압력다른 한편으로는 1956년 평화적 통일선거 이행에 대한 압력에 봉착해 있었다지엠은 이런 불안과 압력을 멸공(diệt cộng)반공(tố cộng)의 입장에서 해결하고자 했다.”(베트남과 한국의 반공독재국가형성사 p.324~325)

 

논문에서 윤충로 교수한 인용한 쩐반짜우(Tran Van Giau)의 인용문을 보자.

 

남부당국은 그 지역의 우리 동포와 모든 애국적이며평화적인 세력을 야만적으로 학살하고 있다겨우 1년 동안에 그들은 3,000건이 넘는 범죄를 저지르고제네바 협정을 위반했다적어도 4,000명의 애국자들이 죽거나 부상당했으며, 19,000명 이상이 체포되었다.”(베트남과 한국의 반공독재국가형성사 p.325)

 

응오딘지엠 정권의 멸공 반공 정책은 사실상 정통성이 밀리기 때문이었다앞서 말한 바와 같이 응오딘지엠 정부가 몰락해가고 있던 프랑스를 잠시나마 몰아낸 것은 어디까지나 미국의 지원에 의존한 것이었고그렇기 때문에 과거 반프랑스 전쟁에 참여했던 베트민 세력을 가장 큰 위협으로 느꼈던 것이다애초에 1954년 디엔비엔푸 전투 당시 아무것도 안했으니당연히 정통성이 호치민과 공산당에게 밀릴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응오딘지엠과 이승만, 1957년 응오딘지엠은 한국을 방문하여 이승만과 만났다. 이 둘은 사상적으로도 정치 성향도 통치하는 방식도 거의 비슷했다.)

 

종합적으로 생각해 보았을 때응오딘지엠은 미국의 꼭두각시가 맞다이는 낡은 관점이 아니라 응오딘지엠의 행보에서 찾을 수 있는 사실이다애초에 미국 1급 기밀문서인 펜타곤 페이퍼도 남베트남은 미국의 창조물이었다.”라고 밝히고 있으며바로 그렇기 때문에 응오딘지엠은 미국의 꼭두각시 정부였던 것이다그리고 무엇보다 응오딘지엠 정부는 미국 정부에 의해 세워졌고미국 정부에 의해 제거됐다. 1963년 그가 암살당한 것도 CIA가 뒤에서 군부 쿠데타를 사주했기 때문이다이것은 미국이 기존 꼭두각시를 새로운 꼭두각시로 대체한 것일 뿐이다마지막으로 데이비드 핼버스탬(David Halberstam)이 쓴 <최고의 인재들내용은 인용하면서 마치겠다.

 

그러나 양측의 성격이 구분된 상황에서 미국이 식민주의의 흔적 없이 베트남에 들어간다는 덜레스의 말처럼 순진한 말도 없을 것이다베트민은 선거를 통해서든전복이나 게릴라전을 통해서든 남쪽에서 우월한 위치를 점할 자신이 있었다그들은 근대 세력이었고그들에 반대하는 남쪽 세력은 봉건주의자들이었다그 상황에서 그들은 민중의 영웅이었다그들은 프랑스의 지배에서 벗어나 국가에 강렬한 민족주의적 감정을 일깨웠다아울러 전쟁을 치르면서 프랑스를 쫓아내는 것 이상의 일을 해냈다베트남 사회에 대의와 의미를 일깨워주었던 것이다식민 지배 아래에서 그들 사회는 분열되었고서로를 불신하며 의지할 가족에게만 충실했다따라서 그들이 연대하는 순간 더 강력한 힘을 발휘할 수 있게 되었던 것이다이 과정에서 그들은 진정한 의미의 국가를 알게 되었다.

 

남쪽은 정반대였다남쪽의 정부 구성원들은 서유럽인들을 상대했고전쟁 때 국가를 위해 아무 일도 하지 않고 안전하게 지냈다그들은 프랑스에 협력했고전쟁으로 이권을 챙겼다응오딘지엠은 외국에 있어서 어느 편도 고를 수 없었다남쪽에는 옛 봉건 질서가 여전히 존재했는데이는 미국의 지원 덕분이었다남쪽은 다양한 정치 세력이 연대하기보다 분열되는 양상을 보였다.

 

베트남의 전통은 가문에 충성하는 것이었다응오딘지엠 정부는 친족 정부였고따라서 지엠이 몰락하던 시기에 오로지 친족만 신뢰했다처음부터 한 베트남 친족만 과거 속에서 살고 있었고 나머지는 모두 현대에 살았던 것이다.

 

이런 상황이 리더십에 그대로 반영되었다북쪽은 외국인을 쫓아낸 사람이 이끌었고남쪽은 외국인이 추대한 사람이 다스렸다호찌민은 프랑스 식민주의가 한창인 시기에 드러내놓고 활동할 수 없었기 때문에 망명했고지엠은 해방에 대한 열정이 가장 뜨겁던 시기에 베트민을 인정하지 못하고 망명했다호찌민은 권력을 잡기 위해 외국의 도움을 구하지 않았다그래서 외국 세력을 몰아내기 원하는 농민층 속으로 깊숙이 침투했던 것이다지엠은 외국의 도움이 없으면 단 한 주도 살아남지 못했을 것이다그는 미국의 정치적 필요성과 야망이 만들어낸 미국의 피조물이었다베트남 기준에서 볼 때 그에게는 정당성이 전혀 없었다지엠은 불교 국가의 가톨릭교도이자 남부의 주류 베트남인이었지만무엇보다도 혁명이 휩쓸고 간 국가의 봉건 귀족이었다.”(최고의 인재들 p.253~25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