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3 11 1일 남베트남에서 군부 주도의 쿠데타(coup d'état)가 발생했다당시 쿠데타를 일으킨 인물은 남베트남군 장성인 즈엉반민(Dương Văn Minh으로 Dương Văn “Big” Minh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으로 그는 1945 3월 일본의 쿠데타 당시 프랑스군에 복무하며 일본군과 전투를 치른 적이 있는 인물이었다그는 프랑스 식민지 군대에 복무했으며이후 바오다이 정부와 응오딘지엠 정부에서도 남베트남군에서 복무하며 장성까지 올라간 인물이었다.

(응우옌카인)

 

1954년 디엔비엔푸 전투 이후 제네바 회담에서 베트남을 남북 분단시킨 미국은 남베트남에 반공 민족주의자인 응오딘지엠(Ngô Ðình Diệm)을 내세워 친미 꼭두각시 정부를 세웠었다그러나 응오딘지엠 정부는 초기에 미국이 걸었던 기대와는 달리 독재정치와 민심붕괴 그리고 토지개혁 실패 등으로 국가를 제대로 운영하지 못했고남베트남 민중들은 1960년에 창설된 남베트남민족해방전선 즉 베트콩(Viet Cong)을 지지하게 됐다디엠 정부의 인기는 특히나 불교를 탄압하면서 나락으로 떨어졌고, 1963년 6월 11일 고승 틱광둑(Thích Quảng Ðức)이 수도 사이공 거리에서 분신자살을 하면서 종말로 나아갔다.

 

거기다 1963년 기준으로 베트콩은 로버트 맥나마라(Robert McNamara)의 추산으로 남베트남 지역 40%를 통치하고 있었고일부 통계에 따라선 최대 남베트남 국토 75%를 접수한 상황이었다남베트남에 미군사고문단을 파병했던 미국의 존 F. 케네디(John F. Kennedy) 정부는 결국 CIA를 동원하여 응오딘지엠을 암살하기로 결정했다이에 따라 남베트남군의 장성인 즈엉반민 장군이 쿠데타를 주도하게 됐고이들은 사이공에서의 군사작전 끝에 응오딘지엠과 그의 동생 응오딘누(Ngô Đình Nhu)를 살해하는데 성공했다이렇게 해서 남베트남에서 첫 번째 정권 교체 쿠데타가 성공한 것이다.

(로버트 맥나마라와 응우옌카인)

 

그러나 응오딘지엠의 죽음은 아이러니 하게도 남베트남에 더 큰 혼란을 가져왔다물론 남베트남 정부는 응오딘지엠 정부 시점부터 망해가고 있었지만그가 사망하자 남베트남에서는 군벌들의 권력 쟁취 싸움이 지속적으로 일어났다그 이유는 디엠이 죽은 이후 정권을 잡은 이들의 통치력이 매우 결여되어 있었기 때문이었다디엠 암살 3주뒤 미국에서는 케네디가 암살당했다케네디가 죽자 부통령이었던 린든 B. 존슨(Lyndon B. Johnson)이 대통령에 취임했다. 1963년 12월 맥나마라는 자칫하면 2~3개월 안에 남베트남이 공산당이 지배하게 될 수 있다.”고 보았다그만큼 남베트남의 상황은 당장 무너져도 놀랍지 않은 수준이었던 것이다.

 

다음해인 1964년 1월 30일 이번에는 남베트남군 대령 출신인 응우옌카인(Nguyên Khánh) 장군이 군사 쿠데타를 일으켰고, 1주일 뒤인 2월 7일에 즈엉반민 장군을 형식상의 수반으로 하는 신정부를 수립했다그리고 카인 자신은 남베트남의 수상으로 등극했다물론 리영희 교수가 저서 전환시대의 논리에서 언급했던 것처럼응우옌카인 또한 민 장군과 같은 또 다른 과거의 프랑스 식민지 장교에 지나지 않았다응우옌카인의 쿠데타 또한 미국의 힘을 얻어 진행된 것이었고이에 따라 3월에는 미국의 존슨 대통령이 맥나마라를 남베트남에 보내 카인 정부가 미국편이라는 것을 확실히 하고자 했다당시 맥나마라는 카인과 함께 남베트남 대중들 앞에서 베트남 만세!”를 외쳤는데베트남어 발음 차이 때문에 대중들에겐 베트남 만세!”가 아닌 작은 오리가 눕고 싶다.”라는 말로 들려서 웃음을 멈추지 못했다는 에피소드도 있다.

(쿠데타 당시 사이공의 대통령궁)

 

존슨이 맥나마라까지 베트남에 보내 자신의 편인 것을 확실시 했던 카인 정부는 마찬가지로 즈엉반민 정권처럼 대중성이 결여되어 있었다따라서 다른 남베트남 군인들이 계속 권력을 잡으려는 쿠데타를 일으켰다따라서 남베트남에서의 내부 쿠데타는 1965년까지 일어났고디엠 암살부터 1965년까지 대략 20개월 동안 총 10번의 쿠데타가 있었다2차 세계대전 말기 북베트남의 지도자 호치민(Hồ Chí Minh)과 깊은 관계를 형성하며 호치민을 존경했던 아키메데스 패티(Archimedes Patti)처럼, 1950년대 당시 응오딘지엠과 깊은 관계를 형성하며 응오딘지엠을 존경했던 에드워드 랜스데일(Edward Lansdale)은 다음과 같은 증언을 했었다.

 

“CIA는 쿠데타 진행 방법에 반대했다디엠의 몰락과 함께 장성들은 헌법도 바꿔 버렸다새 헌법에 따라 그들은 성장이나 지방 고위 관리들을 대부분 재임명하는 수법으로 개혁을 피해 갔다국가 원수를 제거하기 위한 정치적 투쟁이 드디어 세련되고 막강한 힘을 가진 적북베트남의 면전에서 정치적인 분열로 이어졌다.”

 

출처베트남 10000일의 전쟁 p.153

 

남베트남 내부에서 일어나는 쿠데타불교도 및 대학생 그리고 시민들의 반독재 투쟁응오딘지엠 암살 이후 남베트남 곳곳에서 남베트남군을 패퇴시키는 베트콩과의 전쟁은 카인 정부에서도 지속적으로 일어났고남베트남 정권 입장에서 오히려 더 사태가 악화되고 있었다. 1964년 8월 23일에는 반독재 투쟁 시위대가 사이공방송국을 점령했었고, 25일에는 수만명이 모인 대규모 시위가 수도 사이공에서 개최되기도 했다거기다 1964년 12월 28일부터 약 3일 동안 호치민의 표현대로 작은 디엔비엔푸(Little Dien Bien Phu)’가 빈지아 지역에서 발생했다이 전투에서 4,000명 이상의 남베트남군이 1,000명 안팎의 베트콩에게 대패했다베트콩은 32명이 전사한 반면남베트남군은 201명이 전사하고 또 다른 200명이 부상당했을 정도로 참패했다.

(윌리엄 웨스트모어랜드 장군과 린든 B. 존슨 대통령 그리고 응우옌반티에우와 응우옌까오끼)

 

1964년 12월 20일 남베트남의 극우파 소장 장교를 중심으로 내부 쿠데타가 카인 정부의 민정이양 이후 탄생한 찬반후옹(Trần Văn Hương) 정부는 1965년 1월에 카인을 지지하는 세력의 군부 쿠데타로 다시 물러났고그해 2월에 또 다른 장교단의 쿠데타가 발생했다이 쿠데타에 이어 또 다른 역 쿠데타가 2월 20일에 일어났다참으로 놀라운 사실은 이런 일련의 과정들이 미국이 베트남 전쟁을 전면적으로 일으키는 과정과 베트콩들에게 전투에서 패전하는 속에서 일어났다는 사실이다그리고 더 놀라운 것은 남베트남에서 베트콩과 제대로 싸울 능력도 없던 응우옌카인은 이승만처럼 북진통일(????????)’을 외치기까지 했었다.

 

남베트남의 쿠데타를 종결시킨 또 다른 쿠데타는 린든 존슨 대통령이 남베트남에 미군 지상병력을 파병하고 나서 3개월 뒤에 일어났다당시 베트남 전쟁은 다낭에 미해병대 3,000명이 상륙한 시점부터 대한민국과 오스트레일리아뉴질랜드필리핀태국이 베트남 전쟁에 지상병력 파병을 시작하려고 할 때였다. 1965년 6월 11일 응우옌까오끼(Nguyễn Cao Kỳ)와 응우옌반티에우(Nguyễn Văn Thiệu)가 마지막으로 남베트남에서 쿠데타를 일으켜 자신들의 정권을 잡았다대통령에는 티우가 수상에는 끼가 차지했다이렇게 되면서 남베트남에서 지속적으로 일어나던 내부 총질의 물결은 존슨 행정부의 대규모 지상병력 파병이 실행되는 시점에서 종결됐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