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nger Close: The Battle of Long Tan, Now a Major Motion Picture (Paperback)
Bob Grandin / Allen & Unwin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제 아침 보고싶었던 영화 한편을 감상했다. 그 영화는 베트남 전쟁 당시 호주군을 주연으로 한 영화로 전투에서 승리한 실화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그 영화가 바로 <댄저 클로즈: 롱탄 대전투>다.

사실 영화에서 등장하는 호주와 뉴질랜드는 베트남 전쟁 당시 전투 병력을 파병했던 국가 중 하나다. 호주 또한 미국이 만들어낸 도미노 이론을 철썩같이 믿었고, 그런 반공적 믿음은 베트남 전쟁 파병으로 이어졌다. 호주는 미국과 한국 다음으로 많은 병력을 파병했다. 그들은 주로 남베트남의 남부에서 작전을 전개했었고, 영화에서 나오는 롱탄 대전투 또한 수도 사이공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이었다.

영화에 대해 얘기하자면, 영화를 제작한 측에서 전투 재현 및 고증에 충실하고자한 모습이 많이 보였다. 등장하는 인물들 거의다 실존인물이고, 항공기, 대포, 네이팜 폭탄, APC 장갑차등 등장시킬 수 있는 장비는 최대한 등장시켰다. 비록 12세 이상 관람이다 보니 잔혹한 장면은 없었지만, 위워 솔져스 그 이상으로 전투씬이 훌륭했다.

무엇보다 영화상에 있는 호주군들은 혼자서 몰려오는 적들을 죽이는 느낌이 아니라 병사 하나 하나가 서로 협력하며 공격을 차례 차례 방어하며 버티는 느낌이었다. 예를들면 탄약 확인해가며 조준사격으로 한발씩 쏜다든지, 베트콩들이 무조건 적으로만 죽지는 않는다는지 하는 것이 바로 그러했다. 이런점은 역사 고증은 무시하고 전투에 대한 과장 및 왜곡으로 얼룩진 봉오동이나 장사리하고는 질적으로 다른것이 느껴졌다.(물론 딱 한번 베트콩이 독일제 Stg 44를 사용하는게 포착되었지만, 대다수가 AK-47을 사용했으니 그냥 넘어갔다.)

그러나 이러한 현실적 고증은 좋았지만 이 영화는 매우 치명적인 결점 및 비판점을 가지고 있다. 바로 호주군의 베트남 전쟁 참전을 미화한다는 것이다. 이 영화의 배경이된 베트남 전쟁은 미국의 침략으로 일어난 제국주의적 전쟁 범죄였다. 그리고 침략국은 패배했다. 그런 패배한 전쟁과 명분조차 없던 전쟁을 단순히 애국주의로 포장하는 것은 영화 제작자들의 의도가 참으로 좋지 않았다 할 수 있다. 영화상에서 호주군 병사들이 베트콩으로 부터 포격을 받고 난 뒤 이런 대사를 한다.

호주군1: 적은 또 언제 공격해올까요?

호주군2: 어제 그 공격은 우리 간을 보기 위한 테스트였어! 즉 우리 기지를 점령하기 위해 그랬던 것지.

호주군2: 너 디엔비엔푸 전투 들어봤어?

호주군1: 아뇨 들어본적 없어요.

호주군2: 알지 않는게 좋을거야!

디엔비엔푸 전투에 대해 알지 않는 것이 좋다고 얘기하는 장면에서 이 영화가 베트남 전쟁의 본질적 문제는 아예 숨기려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즉 그만큼 이 영화는 반공적 시각에서 제작되었다는 것이다. 심지어 영화상에서 병사들은 ˝역사가 우리를 기억하겠지?˝ 따위의 소리를 한다.

1966년 호주군과 뉴질랜드군이 싸웠던 이 전투에서 호주군 18명이 전사했고, 베트콩은 200명 이상이 전사했다. 그 이유는 호주군이 전투기 대포 APC 장갑차등 동원할 수 있는 화력은 최대한 퍼부었기 때문이다. 그렇다 해서 호주군이 전쟁에서 승리한 것은 아니고, 남베트남 민중의 민심을 얻은 것은 더더욱 아니다. 이 영화를 볼 때 생각해야할 부분은 바로 그러한 것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