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전 도서관에서 <고구려> 6편을 빌려왔는데 너무 오래된 나머지 앞 부분이 까마득하게 느껴졌다. 그러니까 기억을 거슬러 올라가 보면 처음 책을 읽었던 게 2014년 8월(블로그 참조)이었으니 가물거릴만도 했다. 그래서 간략하게나마 1편부터 5편까지 정리를 하고 6편을 읽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고구려>의 1권부터 3권까지는 15대 미천왕 을불이 도망자 신세에서 왕위에 오르기까지의 과정을 그리는데, 그 배경에는 을불의 큰아버지인 14대 봉상왕이 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7/0312/pimg_7578481451609588.jpg)
14대 봉상왕은 어린시절 아버지(13대 서천왕)가 왕위에 오르고 형제들이 역모를 꾸며 왕위를 노리는 사건을 경험하며 모진 세월을 보내게 되면서 의심많은 성정으로 성장하게 되는데 이후 왕위에 오른 봉상왕은 작은 아버지인 안국군 달가를 죽이고 미천왕의 아버지이자 자신의 동생인 돌고를 죽이며 폭군이 되어간다.
큰아버지에게 위협을 느낀 을불은 자신의 신분을 숨기고 음모라는 자의 집에서 머슴살이를 하게 되는데, 음모라는 자가 심성이 고약하여 갖은 구박과 멸시가 이어지자 집을 나와 소금장수로 살게 된다. 그러나 소금 마저 탐내던 자의 계략으로 을분은 도둑으로 몰려 갖은 고초와 수모를 겪게 된다. 이 시기에 봉상왕의 곁을 지키던 국상 창조리는 폭군이 되어가는 봉상왕이 더이상 나라를 돌볼 수 없음을 깨닫고 새로운 왕으로 을불을 추대하며 봉상왕을 몰아낸다.
국상 창조리의 도움으로 15대 미천왕이 된 을불은 자신이 겪었던 고초와 수모를 떠올리며 백성들의 고단한 삶을 개선하고자 노력하는 한편 영토를 넓히기에 힘써 고구려를 크게 발전시킨 인물로 꼽히는 게 실제 역사적인 부분이다.
소설(1권~3권)에서는 을불이 왕위에 오르기까지 험난한 과정들을 드라마틱한 소재를 활용하여 스릴 있게 그리고 있는데, 고구려뿐 아니라 주변 국가의 정세까지도 살펴볼 수 있어 읽는 재미가 쏠쏠했고, 실제 인물들의 이야기를 어떻게 풀어가고 있는지 박영규의 <한 권으로 읽는 고구려 왕조 실록>과 비교하며 읽어서인지 더욱 재밌게 읽었던 기억이 새록새록 떠오른다.
특히 소설에서는 폭군인 봉상왕을 속여가며 을불을 보위하기 위한 국상 창조리의 책략과 왕위에 오른 을불이 고구려를 지키기 위해 선택해야 했던 수많은 전쟁과 충신들의 안타까운 죽음이 변주되고, 천하 통일을 꿈꾸는 진나라 최비가 낙랑국에서 벌이는 계략들과 선비족들을 통일 시킨 모용족의 모용외가라는 거친 인물과 그들의 지략이 재밌어서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읽던 기억이 난다.
1권부터 3권까지가 미천왕 을불의 전성기였다면, 4권에서는 진나라의 몰락으로 세력이 강성해진 모용족의 이야기와 고구려에서는 16대 왕위를 두고 고민에 빠진 을불과 왕후의 갈등을 그린다.
최비가 고구려에 몰락하면서 진이 패망하게 되는 모습을 그린 3권을 토대로 정리해보자면 진나라는 280년 중원을 통일한 사마염이 전국 27개 지역을 친족들에게 맡기면서 사마씨가 통치하는 시대가 되었다가 사마염이 죽고 사마충의 즉위로 16년 동안 친족끼리 죽고 죽이는 정권다툼이 벌어지게 되는데 이를 '팔왕의 난'이라 한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52/70/cover150/8901047500_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