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간구두당
구병모 지음 / 창비 / 201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8가지 단편집을 읽으며 두 가지 특징을 느끼게 되었는데 한가지는 작가가 밝히는 것처럼 '옛 이야기의 변주' 일 것이다. 어디선가 들어본 듯한 이야기들이 동화와 만나 그 경계를 구분해내기 쉽지 않다는 것이다. 한스 크리스티 안데르센의 '빨간 구두'는 색채없는 마을에서 시작되는데 그 회색빛 묘사가 시간 도둑 '모모'를 연상한다거나, '기슭과 노수부'는 강가에 버려진 아이, 왕의 질투와 세가지 수수께끼, 죽음의 강가등 다양한 이야기들이 커다란 플롯을 형성하고 있어 몽환적인 기분을 느끼게 된다. 읽는동안 작가의 상상력의 세계, 이야기의 세계에 감탄하게 되는데 책의 뒷편 '반영된 이야기 목록'을 살펴보면 그림형제, 안데르센 동화집이 있음을 알게된다.

 

다른 한가지는 동화의 특성을 나타내는 교훈적 결말에 관한 부재를 꼽을 수 있다. 옛 전래 동화의 플롯을 살펴보면 주인공이 겪는 갈등 문제에 직면한 독자들이 문제가 해소되는 과정에서 '권선징악'이라는 도출을 얻으며 마음을 다독이게 된다. 그러나 이 단편집에서는 결말에 도달한 독자들이 더 읽을 수 없는 이야기에 저만에 상상의 나래를 펼치게 된다는 것이다. 마치 '이야기는 끝나지 않는다. 다만 새로워질 뿐이다'라는 띠지에 적혀진 글귀처럼. 그런면에서 나에겐 조금 어렵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저 이야기 자체로만 듣자면 흥비롭지만, 작가의 생각이나 의도를 탐색해내기 쉽지 않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럴때는 '작가와의 만남'이라는 자리가 절실해진다. 내가 찾지 못한 이야기의 세계는 무엇인지, 작가는 어떤 생각을 가지고 이 글을 적었을지, 무엇을 전달하고자 했을까 하는 생각을 갖게 된다. 얼마전 '구병모 작가와의 만남'이라는 문화 초대석을 봤는데.. 그저 지방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에겐 이마져 동화같은 이야기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살리미 2015-10-11 11: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서울에 있어도 게을러서 잘 못찾아다니는 저로서는 반성해야 할 글이네요 ㅠㅠ 이 작가분이 여자분이시죠? 이름만 듣고 남자 작간줄 알았다가 작가와의 만남 이벤트를 보고 아! 여자작가였어!! 했던 기억이 급~ ㅎㅎ

2015-10-11 15:5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0-11 16:0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0-11 16:3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0-11 16:3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0-11 16:5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0-19 00:4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0-14 09:2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0-19 00:4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0-19 18:08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