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경제경영, 인문, 사회 분야경제경영이나 인문, 사회분야의 번역가들은 번역 실력 못지않게 전문지식을 갖추어야 한다. 가령 경제 도서를 번역하여 출간할 경우, 외국어 - P106
를 전공한 번역가보다 외국어에 능통한 경제학자나 교수를 많이 섭외한다. 물론 의뢰인 입장에서는 전문 번역가를 섭외하는 것보다 더 많은 번역료가 들지만, 그만큼 전반적인 내용의 충실함이 중시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해서 인문이나 경제, 사회 등 다소 어렵게 느껴지는 분야의 책들을 전문 지식인들만 번역하라는 것은 아니다. 관련 분야의 도서를 번역한경험이 조금이라도 있다면, 충분히 그 분야에서 우대받을 수 있고, 경력을쌓을 수 있다. - P107
③ 문학 분야문학 작품 번역은 출판 번역에서 가장 고난이도 작업이라 할 수 있다. 문학은 하나의 문장으로도 독자의 감성을 자극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 P107
원작의 내용뿐 아니라 전체적인 분위기와 문장 하나하나의 느낌까지고스란히 도착어로 옮길 수 있어야 한다. 때문에 원문에 대한 뛰어난 이해와저자의 특성 파악은 기본이며 일반 작가들 못지않은 문장력과 감성, 섬세한 표현력 등 까다로운 능력들이 요구된다. 그래서 일부 유명한 외국 작가들은 각 나라별로 자신의 작품을 단독으로 번역해 줄 번역가를 지정하여그사람에게만 번역 출간을 맡기기도 한다. - P108
출판번역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바로 번역서를 읽는 독자들이 내용에만 몰입할 수 있도록 하는 깔끔한국어 실력이다. 그렇기 때문 - P109
에 출판 번역을 하고 싶은 사람들은 적절한 표현들을 자유자재로 뽑아낼수 있어야 한다. 간혹 번역을 하다 모르는 내용이 나오기도 한다. 이럴 때는 검색을 통해 최대한 끌어 모을 수 있는 정보를 모은 후, 적합한 내용을정리하여 번역하는 것이 좋다. - P110
한가지 더 조언을 하자면 오역이 두려워 무조건 곧이곧대로 번역한 후마지막에 문장을 다듬으려 하지 말라는 것이다. 한국어와 일본어는 엄연히 다른 언어이다. 그런데도 사람들은 비슷한 언어로 생각해 초벌 번역을할 때 무의식적으로 직역을 해놓곤 한다. 초보 때는 나도 마찬가지였다. 직역을 해놓고 이를 바로 잡으려 하면 정말 시간도 많이 걸리고 문형을 새로 잡는 것도 생각보다 쉽지 않다. 최소한 단락별로 미리 읽고 전체 문단을이해한 다음 번역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흐름을 유지하는 데 좋을 것이다. - P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