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한 자가 살아남는 것이 아니다. 가장 지적인 자도아니다. 변화에 가장 잘 적응하는 자가 살아남는다."
찰스 다윈이 했다고 알려진 말이다. 유효 기간이 지난지식은 버려야 한다. 어떤 이론이나 지식, 심지어 원칙도 그 시대와 사회의 편견으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이다.
글쓰기도 마찬가지다. 지난날의 원칙에 얽매여 있다면 글을 잘 쓰기는 어렵다. 삶의 환경이 끊임없이 변화하기 때문이다. 그에 맞추어 글쓰기 원칙 역시 업그레이드해야 한다. - P9


1990년대 말에 언어학을 공부하고 나서야 이오덕의
‘바로 쓰기‘는 실천 불가능한 꿈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이 세상에 고유어(겨레말)로만 이루어진 언어는 없다. - P10

철저하게 닫힌 사회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교역하면문화를 주고받는다. 새로운 단어와 어법, 사고방식도주고받을 수밖에 없다. 서로를 이해하기 위해서 당연히 언어도 뒤섞인다. 다른 문화에서 들어온 말을 고유어로 완벽하게 번역할 수 없기에 그렇다. - P11

소설가 스티븐 킹은 ‘부사‘를 쓰지 말라고 한다. 형용사가 아니다. 영어 소설이나 에세이에서 형용사를뺀다는 건 불가능하다. 그렇다면 부사는 쓰지 않아야할까? 꼭 그렇지 않다. 헤밍웨이의 절제된 문장을 보면 적절한 형용사 부사가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다.
앞에서 말했던 그대로다. 형용사 부사든 필요한 자리에 적절한 단어를 잘 골라 써야 한다. - P13

•직유하지 말고 은유하라거나, ‘만연체는 나쁘다‘거나. ‘진부한 표현보다 참신한 표현을 써라‘라는 말도업데이트되어야 한다. 은유가 나을 때도 있고 직유가더 나은 경우도 없지 않다. 그냥 다른 종류의 표현법인것이다. 만연체 역시 마찬가지다. - P14

‘말하는 것처럼 쓰면 된다.‘ 이 말도 바뀌어야 한다.
말하는 것처럼 써 본 사람이라면 알 것이다. 아직 해보지 않은 사람은 해 보면 안다. 글은 말과 달라서 말하는것처럼 쓰면 안 된다. - P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