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과 글은 한 쌍이다
잘 쓰려면 잘 말해야 한다. 말을 잘하려면 잘 써야 한다. 말과 글은 서로를 견인하고 보완한다. 어느 쪽만 잘하려 하면 어느 쪽도 잘할 수 없다 쓴 것을 말하고 말한 것을 써야 한다. 말하듯 쓰고 쓰듯 말해보라. 말 같은 글, 글 같은 말이 좋은 말과 글이다. 나는 말하면서 생각하고말로 쓴다. - P6
질문이 두려운 이유는 무엇일까. 모른다는 걸 들키기 싫어서다. 모르는 게 부끄러워 질문하지 않는다. 또한 나서기 싫어서다. 다들 궁금해하는 건 알겠는데, 그들을 대표해서 굳이 나서려 하지는 않는다. 누군가 질문해주겠지 하며 기다릴 뿐이다. 또는 질문받는 사람이 귀찮아하거나 답변을 못 해 난처해지지는 않을지 노파심에서 질문을 포기한다. 말대꾸하고 대드는 것으로 비칠까 봐서도 못 한다. 아무튼 이런저런 이유로 우리는 질문하지 않는다. - P19
물어야 쓸 수 있다
글쓰기를 힘들어하는 이유도 질문을 주저하는 우리 사회의 분위기와무관하지 않다. 글쓰기는 스스로 묻고 답하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그게 언제였지?‘, ‘누구였더라?‘, ‘이것에 관한 내 생각은 뭐지?‘라고 자기자신에게 물을 수 있으면 쓸 수 있다. 일기 한 편을 쓰려고 해도 물어야 - P19
한다. ‘오늘 내가 뭐 했지?‘ 독후감이나 기행문도 물어야 쓸 수 있다. ‘이책 내용이 뭐였지?‘, ‘여행 가서 뭐 했지?‘ 모든 글은 물음에서 시작된다. 묻지 않으면 쓸 수 없다. 결정적 질문이 글의 주제가 된다. 읽을 때도 물어야 한다. 생각한다는 것 자체가 질문이다. 사람은 묻는 만큼 생각한다. - P20
셋째, 반문이다. 책에 나오는 얘기건 누가 한 얘기건 그냥 듣지 않고그게 맞는지 되묻는다. 타성과 관성에서 벗어나 이의를 제기하고 문제점을 짚는다. 이러한 벗어남과 빗나감, 비딱함은 고대 철학자 루크레티우스가 말한 ‘클리나멘clinamen‘ 같은 것이다. 통념이나 고정관념에 맞서는 힘이다. 직장생활은 세 가지를 요구한다. 문제의 제기와 분석과 해결이다. 제기를 잘하면 까칠한 사람이 되고, 분석을 잘하면 똑똑한 사람이 되고, 해결을 잘하면 유능한 사람이 된다. - P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