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너
존 윌리엄스 지음, 김승욱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랜만에 너무나도 가슴 뭉클해지는 소설을 읽었다. 소설을 읽는 묘미는 독자들을 놀라게 하고 감탄하게 하는 반전이 아닐까. 그런데 이 소설은 끝까지 반전을 보여주지 않고 주인공 스토너의 삶에 초점을 맞추어 그대로 조망한다. 마치 그에게 주어진 총체적인 삶의 과제를 얼마나 잘 수행하는지 구경이나 하자는 듯 작가는 아무런 미사여구도 보태지 않는다. 1월 중순에 읽기 시작했는데 우선순위 일에 밀려 멈추었다가 최근 다시 붙잡고 몰입하여 읽었다. 읽고 난 후에도 한참 동안 애잔한 여운이 남아 두 눈이 촉촉하게 젖어 들었다. 1965년에 쓴 이 작품은 50년이 지나서야 유럽 독자들 사이에서 호평을 받고 베스트셀러가 되었단다. 아마도 그 시대는 인터넷이 없던 시절이라 뒤늦게 알려진 게 아닐까, 작가에게는 못내 아쉬운 마음이 들었다.

 



농부의 아들로 태어난 스토너는 농업학교에 가서 공부하면 좋겠다는 부모의 말씀에 따라 미주리 대학에 입학한다. 하지만 뜻밖에도 문학의 아름다움에 매료되어 영문학도의 길을 걷고 교수가 되어 40년 동안 가르치는 일을 한다. 놀랍지 않은가. 농업기술을 배워 부모님의 농사일을 도우려고 처음으로 부모 곁을 떠났는데 아처 슬론 교수의 영문학 강의를 듣다가 스토너의 삶은 혁명적으로 변화된다. 슬론 교수는 세익스피어의 희곡과 소네트를 가르치는 중에 느닷없이 학생들에게 질문을 퍼붓는다. 그 질문을 스토너에게도 들이대지만 대답할 수 없었다. 이 무렵부터 토양화학 등 농업 과목이 낯설게 보이기 시작하더니 결국 농과대 커리큘럼은 모두 빼버리고 철학과 고대역사 기초강의와 영문학 강의를 듣기 시작한다. 도서관의 서가를 누비며 신세계라도 발견한 듯 빠져들며, 그의 문학을 향한 관심은 점점 깊어만 간다.

 



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고 참전하는 분위기 속에서 스토너는 아처 슬론 교수의 도움으로 강의를 시작하고 나중에는 종신교수가 되기에 이른다. 문리대 학장인 조시아 클레어몬트의 사촌뻘인 이디스를 만나 사랑에 빠진다. 거기까지만 보면 탄탄대로를 걷는 듯 보였다. 미래에 대한 희망으로 설렜던 스토너는 결혼하자마자 곧 실패한 결혼이라는 것을 깨닫는다. 하지만 거기서 달아날 생각은 하지 않는다. 어렸을 때 어머니의 집요한 교육관으로 인해 트라우마를 고스란히 안고 성장한 이디스는 스토너가 가까이 오는 것 자체를 거부했다. 그러면서도 어떻게 아이를 낳겠다는 결심을 한 것일까. 딸 그레이스를 낳았지만 이디스는 아프다며 늘 누워 지냈기에 육아도 살림도 스토너 몫이었다. 그레이스의 기저귀를 갈고 음식을 만들어 먹이면서 이디스에게 줄 수 없는 사랑을 딸에게 줄 수 있어서 감사하고 행복해했다. 멋대로 스토너의 서재를 뒤집어놓고 구석방으로 내몰렸어도 말 한마디 못 하고 순한 양처럼 참고 견디는 모습은 애처로웠다. 그레이스와 친하게 지내는 것을 시샘하며 떼어 놓는 등 약한 척 꾀병을 부리던 이디스는 본색을 드러내며 스토너를 괴롭힌다. 놀랄 법도 한데 스토너는 아무런 대꾸도 하지 않고 그나마 누릴 수 있는 작은 일에 감사하며 체념한다. 인내의 달인이라고 해야 할까.

 



작가는 주인공 스토너가 좋아하는 일을 하면서 평생을 살았다는 점에서 그가 진짜 영웅이며, 그의 삶이 결코 슬프고 불행한 것은 아니라고 했단다. 역시 그 부분은 공감할 수 있다. 완벽한 삶은 없다고 했던가. 열변을 토해 가며 영문학을 가르치고 그를 시기하는 로맥스나 워커, 이디스 등 악의 무리에게 당하면서도 한마디 불평하지 않고 묵묵히 헤쳐가면서 자신의 길을 걸어갔다. 그에게 학문이 있어서 다행이라고 해야 할까. 캐서린과 잘 되었다면 가난하고 불행한 그의 삶이 조금은 보상이 되었을 텐데. 어쩌면 그의 내성적인 성격과 가장으로서 책임을 다하려고 했기에 고독과 슬픔이 더욱 크게 다가왔을지도 모른다. 모든 것을 혼자 감당하다가 병으로 몸져누워 지난날을 돌아보는 그의 모습은 참으로 안타까웠다.

 



넌 무엇을 기대했나?’

 



병든 몸으로 죽음에 맞닥뜨리게 되면 한없이 나약한 인간일 뿐이다. 이제 자신에게 남은 시간이 없다는 걸 깨달은 스토너는 이디스를 부르려다 말고 자꾸만 자신에게 묻는다. ‘넌 무엇을 기대했나?’ 우리는 무엇을 기대하며 살아갈까. 훗날 언젠가 행복이 올 거라 믿으며 지금을 대충 살기도 하지 않나. 죽어가는 스토너의 독백은 우리를 돌아보게 한다. 지금 함께 하는 가족, 지인, 주변 사람들에게 힘을 실어주고 친절한 말 한마디와 미소를 나눌 수 있으면 좋지 않을까. 그리고 자신을 돌보는 일도 중요하다. 나중은 없다. 지금 있는 곳에서 할 수 있는 걸 하는 것이 후회를 줄이는 삶이 되지 않을까. 스토너의 인생을 들여다보면서 그런 생각을 해 보았다.

 



기쁨 같은 것이 몰려왔다. 여름의 산들바람에 실려온 것 같았다. 그는 자신이 실패에 대해 생각했던 것을 어렴풋이 떠올렸다. 그런 것이 무슨 문제가 된다고. 이제는 그런 생각이 하잘것없어 보였다. 그의 인생과 비교하면 가치 없는 생각이었다.’(p39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