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중에서는 사실을 보도하는 정보성 기사도 좋지만 그보다는 세계 경제의 흐름이나 변화를 알려주는 거시경제 관련 기사를 보는 것이 좋다. 사실 경제 기사를 6개월 정도 꾸준히 보다보면 깨닫게 되는 사실 하나가 있는데, 기사를 볼 때마다 어디선가 본 것 같은 기분이 든다는 거다.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경제 기사라는 것이 시간을 두고 반복되기 때문이다. - P41
최근에는 자신의 전문분야에만깊숙이 몰두하면서 다른 분야에 대해서는 시각이 좁아지고 이해도가 떨어지는 ‘터널 비전‘ (Tunnel Vision) 현상을 갖고 있는 분들이 많다. 특히 SNS의 콘텐츠 알고리즘은 이런 현상을 더욱 부채질했다. 그런데 부자들은 이런 식의 사고 패턴을 가장 경계한다. - P48
하지만 경제는 자연법칙처럼 정답이딱 하나로만 떨어지지 않는다. 생물처럼 살아 있으며 그런 생물체들이 뒤엉켜 살아가는 생태계가 자본주의 시장이다. 그래서어떤 상황에서든 다양한 답이 나올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해야한다. 실제로 일반화된 공식을 사용해 지금의 경제 현상을 설명하려는 많은 경제전문가와 경제학자들의 예측은 맞는 경우보다틀리는 경우가 훨씬 많았다. - P49
자본주의 사회를 살아가는 데 있어 좋은 판단력이란 무엇일까? 너무도 당연한 말이겠지만 첫째는 파도를 보는 것과 같이 현재 경제 상황을 잘 파악하는 것이고, 둘째는 파도를 만드는 바람즉, 경제 상황의 주된 변화 요인을 잘 아는 것이다. 매우 거창해보이지만 사실 이런 능력도 매일의 습관을 통해 키울 수 있다. - P56
3대 경제지표를 매일 기록하는 것이 어떻게 판단력을 높이는습관이 될까? 금리, 환율, 주가를 기록하려면 매일같이 지표를확인하는 행동을 해야 한다. 며칠 동안 미루었다가 한꺼번에 기록하는 것은 아무 의미가 없다. - P6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