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목사‘로 불리고, 성직자인 아버지를 사랑했던 니체가 왜 ‘신은 죽었다"고 선언하게 되었을까? 니체는 기독교의 정신과 도덕을 나약한 것, 노예적인 것이라고 한다. 이런 노예 도덕이 인간을평범하고 저속하게 만들어 ‘더 높은 인간‘의 출현을 막고 인간의미래를 희생시키는 것이라 한다. 이러한 비열과 저급함을 참을 수없었던 니체는 신을 부정하기에 이른 것이다. - P242
달과 6펜스』는 세속적 가치에서 벗어나 실존적 삶을 살았던사람의 이야기이다. 달이 영혼과 관능의 세계, 본원적 감성의 삶에 대한 지향을 암시한다면, 6펜스는 돈과 물질의 세계, 그리고사람을 문명과 인습에 묶어두는 견고한 타성적 욕망을 암시한다. 달과 6펜스』는 한 중년의 사내가 달빛 세계의 마력에 끌려 6펜스의 세계를 탈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 224 - P253
우리는 살아있지만 살아있는 것 같지 않은 순간들이 있다. 그 순간들이 늘어날수록 삶은 진부해지고, 권태로워진다. 우리는 자신이 다른 사람들과는 다르다는 것을 알면서도, 다른 사람들과 비슷한 궤도를 살아가려 하고, 그 궤도에서 벗어나면불안해진다. - P253
사르트르(Jean Paul Sartre)는 이를 ‘실존은 본질에 앞선다‘라고 표현한다. 실존은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개인을 의미하고 본질은 인간의 공통된 본성을 의미한다. ‘실존은본질에 앞선다‘는 말은 인간의 공통된 본성이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인간과 달리 사물은 본질이 실존에 앞선다. - P25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