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크라테스가 생각하는 ‘지혜‘와 ‘무지‘의 의미를 들여다보면 그의 생각이 이해된다. 소크라테스는 지혜란 자신의 욕망을 조절할수 있는 것이라고 말하며, 자신의 욕망에 굴복하는 것은 무지 때문이라고 한다. 소크라테스는 자신에게 유익한 것이 무엇인지에대한 참된 지식을 지닌 사람은 자신의 욕망까지 조절할 수 있는사람이라고 생각했다. - P29
트리나 폴러스(Trina Paulus)의 책 『꽃들에게 희망을』에서 주인공 호랑 애벌레는 행복을 찾아가는 세 가지 모습을 보여준다. 사랑하는 노랑 애벌레와 풀밭에서 먹고 사랑하며 살아가는 삶, 치열한 경쟁과 속도의 덩어리인 애벌레 기둥을 올라가기 위해 애쓰는삶, 그리고 자신의 전 존재를 걸고 잠재된 참모습을 끌어내 나비가 되는 삶, 우리는 어떤 삶을 살아가고 있을까? - P39
아리스토텔레스는 그 자신이 철학자였기 때문에 지혜에 대한사랑인 관조적 삶을 최고의 행복으로 보았다. 쾌락적인 삶에서 행복을 느끼는 것이나 정치적 성공에서 행복을 느끼는 것은 외부의대상에 의존적인 것으로 그 자체로 자족적인 것이 아니다. 언제든흔들릴 수 있는 행복이다. 그에 비해 진리를 추구하면서 느끼는행복은 그 자체로 만족스러운 것이며, 전적으로 자신에게 달려 있으니 더 견고한 행복이다. - P43
다들 자신 속에 내재된 탁월함을 알아차려야 나비가 될 수 있다. 자신에 대한 믿음과 신뢰가 있어야 전 존재를 걸고 고치를 만들 수 있으며, 인고의 세월을 보낸 후 마침내 날개를 펼칠 수 있는것이다. 기어서 오르는 것이 아닌 날아서 오르는 존재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더 많은 꽃들이 피어날 수 있도록 사랑의 전령사가 되어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 P4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