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비디우스와 셰익스피어의 시대는 1,600년 정도의 시간 차와 사회지 문화적 차이가 크다. 피라무스와 티베스의 신화에 영감을 받은 시알프레드 테니슨은 셰익스피어와 250여 년의 시대 차이가 있다. 이렇게 흐르는 시간 속에서 피라무스와 티베스의 이야기는 그치지 않고흐르며 여러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한 가지 이야기를 근원으로표현된 여러 작품들은 예술가들의 주제 선택에 따라 각기 다르고 다양하다. 연인의 애틋한 죽음을 묘사한 작품도, 원수지간인 부모들의 살벌한 대립도, 두 연인의 아슬아슬한 밀회도 많은 장면들이 작품화 될 수있다. 알마타데마 경은 신화의 원본에서 파생된 테니슨의 시 한 구절을가져와 <더 이상 묻지 말아요>를 청량한 민트 색조의 그림으로 완성했다. 신화에 등장하는 핏빛과는 거리가 먼 고운 색감이다.
비리에 마이 있고 - P141

농경시대나 산업화시대나 가정의 생계를 책임지는 사람은 위대하다.
그 사람이 남자이든 여자이든 가장의 어깨는 무겁다. 남들이 부러워하는 일을 하든, 하찮게 여기는 일을 하든, 노동은 신성한 생명의 양식인것이다. 흔히들 말하기를 책을 읽을 때 ‘행간을 읽는다‘는 표현이 있다.
그 행간처럼 <괭이를 든 남자>의 어깨를 짓누르는 보이지 않는 짐을볼 수 있는 것이 그림 감상의 묘미이다.
자, 눈을 감고 그림을 그려보자. 물론 무대는 현대사회를 배경으로한다. 그곳에 내가, 아버지가 아들이, 엄마와 누이가 ‘밀레의 팽이‘를들고 그림 속 남자처럼 지친 모습으로 서있지 않는가? - P198

상징주의자들은 예술이 은유적 이미지와 상징적 의미가 있는 암시의 형태를 사용하여 간접적으로만 접근할 수 있는, 보다 절대적인 진리를 표현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자연주의자나 인상파의 표면 아래에 있는 더 깊은 진리를 추구했다. 상징주의 시인들은 소리, 냄새, 색 사이의관계를 최초로 탐구했으며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사이의 신비한유사성을 암시했다. 보들레르 Charles Baudelaire의 시선집 <악의 꽃>이 1880년대와 1890년대에 많은 상징주의 화가들에게 가장 인기있는 영감의원천이 된 것은 우연이 아니다. 작가의 작품에 메시지와 난해한 참조를주입했다. 상징주의적 예술 작품은 바로 이 서사적 내용이다.
- P230

많은 어른들이 스스로의 처신에 대한 교육을 등한시한다. 그저 아랫사람의 도리를 가르치는 데 바쁠 뿐이다. 몇 살이라고 획을 그을 수는없지만 어느 정도 나이가 되면 아랫사람 가르치기를 멈추고 자신이 어른 교육을 받는데 힘을 써야 할 것이다. 나는 아이들이 제대로 성장하기를 바람과 마찬가지로 나 자신이 제대로 된 어른이 되기를 바란다.
세상에 어른만 못한 아이는 용서가 되지만 아이만도 못한 어른은 용서받기 어렵다. 어떡하면 젊어 보일까 아니라 어떡하면 제대로 된 어른이 될까, 이것이 더 중요하다. - P25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