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큰 이유는 상환 방식에 있다. 즉 기존 은행권의 만기일시상환, 만기원금이자상환 등의 상환 방식과 달리 페이팔 결제 솔루션에서발생하는 매출의 일정 비중을 선취하는 방식으로 대출금을 회수했다. 그렇기에 업체는 대출을 받을 때 월 매출에 맞게 상환 비율을 설정할 수 있고, 대출도 빠르게 받을 수 있다. 장사가 잘 안 되어 매출이안 나온 달에는 다음 매출이 발생할 때까지 연체료없이 상환 기간을늘려주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생의 비즈니스가 아닐 수 없다. - P64
최근 비트코인의 상승세가 무서운데, 페이팔도 그 기세에 일조하기 시작했다. 경쟁 업체인 스퀘어(Square)가 캐시앱(Cash App)을 통해 비트코인 결제를 허용한다고 발표하자 페이팔도 비트코인 결제를자사 플랫폼에서 허용함으로써 비트코인을 공식적 통화 수단의 하나로 인정한 것이다. 또한 주식 중개까지 직접 서비스하겠다고 밝힌 점도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변화들이 앞으로 페이팔의 꾸준한성장세를 뒷받침해주는 좋은 근거가 될 것이다. - P65
페이팔은 시가총액 약 400조 기업으로서 향후 5년간 매출과 주당순이익(EPS)이 연평균 20%씩 성장하는 몇 개 안 되는 기업이다. 중국의 고페이(GoPay)의 지분을 100% 인수하고 중남미, 동남아시아에서도 적극적인 파트너십 체결로 앞으로 더욱 빠른 성장을 기대하고있다. 페이팔은 현금 없이 사는 사회에서 가장 선두에 있는 기업이라하겠다. - P65
비자는 카드 발급사와 가맹점 사이의 결제망을 제공하는 결제 네트워크사로, 단순한 카드사가 아님에 유념해야 한다. 모두 비자를 카드사로만 알고 있는데 이는 잘못된 정보다. 전 세계 200여 개국의 플랫폼, 비자 브랜드 카드를 발급하는 1만 6,000여 개의금융기관, 약 5,900만 개에 달하는 글로벌 가맹점 고객을 보유해 결제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중간자라고 보면 된다. 이 과정에서 비지드 보유자가 비자 가맹점에서 카드 결제 시 발생하는 거래 승인, 제 처리 관련 수수료가 비자의 주요 매출처다. 아마존과 같은 온라인몰에서의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되면서 비자는 그 수혜를 톡톡히 입고있다. - P7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