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러눕는 것이 극히 나태한행위라고 한다면, 건네받는 것도 또한 극히 소극적인 행위이다. 그 나태하고 소극적인 행위는 반드시 주인공 바로 그 사람에 의해 연기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마음의 경우 고향에 돌아와 아버지를 간병하고 있는 ‘나‘에게 선생으로부터의 편지가 도착하는 것은 문자 그대로 빈사의 아버지의 베갯머리였고, 또한 「풀베개의 화공인 ‘내가 바다를 내려다보는 벼랑 끝의 풀 위에 벌렁 드러누워서 마음속에 떠오르는 시흥에 재촉을 받아 하이쿠와 한시를 사생첩에 기록해 갈 때 노숙자 같은 남자와 나미 씨가 느닷없이 나타나 여자가 남자에게 무언가를 무슨 사연이라도 있는 듯한 태도로 건네주는데 나는그 물품의 수여를 무관한 사람의 입장에서 바라보고 있을 뿐이다. - P61
그렇다고 해도, 이 어느 편이든, 건네받는 것이 드러눕는 것과 한 쌍의운동을 형성하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아버지의 이불 곁에서 건네받은 선생의 편지는 ‘나‘를 곧바로 행동으로 몰아세우고 있었고, 드러누운 나의 곁에서 이루어지는 수수께끼 같은 물건의 수여도 ‘나‘를 즉시 사고하도록 유도한다. 여기에서 주고받는 것은, 그러니까 소세키적 존재에 있어서는 그 행동과 사고의 방향을 결정하는 부적과 같은것이다. 멈춰 서서 두뇌를 텅 비우는 것으로 운동을 방기한 소세키적 ‘존재‘는 그 대상의 여하에 상관없이 부적이라 불러 마땅한 것이 명하는 대로의 운동을 조직해 가는 것이다.
- P61
그러나 여기서 중요한 것은 게이타로의 낭만취미도 아니고 모리모토의 방랑벽도 아니다. 아침 목욕을 하는 두 사람의조우가, 마음에 나오는 가마쿠라의 바다 속에서의 선생과 ‘나‘의 그것과, 물의 현존이라는 점에 있어서 서로 닮아 있다고 하는 사실이다. 작품의 풍토도 작중인물의 성격도 이야기의 전개 방식도 전혀 이질적이지만 첫머리에 물속에서의 만남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하는 서사적구조가 양자에 공통되어 있는 것이다. 물이라고 하는 습기에 찬 환경의 소세키적 특질에 대해서는 조만간 다시 논하지 않으면 안 되겠지만 지금은 우선 이 공통점에만 착목하기로 하자. 이미 마음의 경우가 그랬고, 또한 『풀베개』에도 그것과 닮은 정황이 그려져 있는데, 소세키적 존재의 다수는 젖고 습기 찬 환경 속에서 마주친 인물에게 강력히 매혹되어 그와의 접근을 시도한다고 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 - P6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