있는 그대로의 독서를 즐기면 된다. 독서를 즐긴다는 건 내게 다가오는 그 순간에 책을 배치시키는 것이다. ‘Seize the moment라는 유명한 말이 있다. 순간을 붙잡아라!‘ 그러나 독서의 현재를즐기려면 순간을 잡으려는 무모함보다는 순간이 우리를 붙잡을 때나 자신이 어떻게 즐길지에 대한 여유가 먼저 있어야 한다. - P84
실제로 책 읽기 좋은 시간은 다른 일을 하기에도 좋은 시간이다. 게다가 책 읽기에 딱히 좋은 시간, 좋은 환경이 필요한 것도 아니다. 스마트폰으로 게임을 하고 SNS를 하는 일을 떠올려보자. 시공간을 따지던가, 화장실에서도 만원 지하철에서도 비가 오나 눈이오나 꿋꿋하게 스마트폰을 켜고 보지 않는가. - P90
우리는 성장을 원한다. 성숙해지길 바란다. 성장 또는 성숙이란크고 작은 문제들을 해결하는 가운데 얻게 되는 보상이다. 어떤 일도 단번에 이뤄지지 않는다. 회사만 봐도 그렇다. 프로젝트 하나를완료하기까지 수십 번의 미팅과 회의, 수십 장의 보고서, 수백 번의선택과 철회가 오간다. 결국 책을 읽고 나서 자신과 인생을 변화시키고자 한다면 지금 자신 앞에 놓인 문제 하나하나를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려는 관점으로 책을 선택해야 한다. 지금 내가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책을 고르는 것이 현명한 책 선택의 비결이다. - P95
지금 그리고 여기를 고려하고 책을 선택하는 것은 현재의 나를존중하는 행동이다. 지금의 나를 고려하지 않고 책을 읽는다면 나와 삶을 변화시키는, 실체가 있는, 성과를 낳는 독서가 되지 않을것이다. 그러니 지금 당신이 직면한 현실에서 최소한의 목표라도정하고 책을 읽기 바란다. - P98
바닥으로 추락하지 않으려면, 지금보다 현명해지려면 누군가의 도움이 필요하다. 우리를 인도해줄 안내자가 있어야 해매지 않고 배우며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누구나 내 마음을 잘 헤아려주고 옆에서 차근차근 알려주는 선생님을 바라지만 성인이 된 후에 그런 선생님을 만나기란 쉽지 않다.
그런데 ‘책‘은 언제 어디서든나의 선생님으로 초빙할 수 있다. 내 과거를 되새김질하게 도와주는그 선생님을 모시는 값, 과외비도 비싸지 않다. 책 읽기는 내 성장과배움을 위해 선생님을 찾는 과정이다. - P106
자기 자신을 아프게 하는 책을 선택하고 또읽기를 바란다. 개인적으론 책을 잘 읽는 것만으로도 어떤 분야에서든 상위 10퍼센트 이내에 드는 인재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정해진 틀 속의 세상이 아닌 정답이 없는 사회가 이제 다가오고 있다. 이런 상황에선 개개인이 알아서 지식을 찾아나서야 하며 교양을 갖추고 자기 나름의 의견을 제시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그런데 아무리 생각해도 독서 이외에는 미래를 준비할 방법이 없다.
그러니 나의 게으름을, 나의 어리석음을, 나의 건방짐을, 나의무식함을 알려주는 책을 찾아서 신랄하게, 아프게, 힘들게, 읽도록물이니 말이다. - P108
자신이 바뀌는 희열을 느껴라
책을 통해 자신이 변화하는 희열을 느껴보자. 책을 왜 읽는가. 아니책은 누구를 위해 읽는 건가. 책 읽기는 오로지 나를 위해서다. 가족을 위해서도, 회사를 위해서도, 세상을 위해서도 아니다. 오직 나를 위해서다.
결국 나 자신이 변화하는 책 읽기, 즉 ‘혁명적 책 읽기가 우리가 지향해야 하는 독서의 목표다. 독서가 혁명이 되려면책을 읽으며 깨달은 새로운 규범을 나에게 정착시키고 이를 통해읽는 행위에서 얻게 된 깨달음을 거침없이 일상에 적용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당신도 자신과 삶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는 책 읽기로 자신의 삶을 혁명하는 데 성공하길 바란다. 독서를 통해 조금씩 나를 바꾸는일상의 혁명가가 되는 건 정말 멋진 일이다. - P110
개인적으론 생활인인 우리가 발췌독, 부분독등이 가능해지는 때가 독서 수준이 혁명적으로 올라가는, 성공적인 독서가에 접어든 순간이라고 생각한다. 이때부터 책을 자신의변화를 위한 도구로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내가 추구해야할 주제를 찾아서 책을 선택하고, 나만의 의견을 만들 수 있는 무엇인가를 본문 중에서 발견하며, 동일한 주제의 다른 저자의 책을읽고 타인의 사고 조각들을 연결하면서 내게 필요한 주제의 조감도를 만들어가는 작업을 해나가게 되는 것이다. 이때야말로 당신의 독서가 궤도에 오른 때라고 생각한다. - P133
자신의 생각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인상을 쓰지 말고 긍정의 자세로, 저자의 모든 생각을 받아들이는 열린 마음으로 독서를 한다면당신의 노력은 꽤 괜찮은 성과로 보답할 것이다. - P149
여러 권을 동시에 읽으면 얻게 되는 장점이 또 있다. 독서 리듬이잘 깨지지 않는다는 점이다. 필요한 것을 빠르게 찾아 내 것으로 만드는 요령도 중요하지만 독서 리듬을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를위해 독서에 대한 설렘‘이 유지될 수 있는 이 방법이 유용하다. - P155
책의 기본 정보와 읽었던 감상, 깨달았던 점들은 간단한 메모로정리하는 것이 좋다. 이런 메모들은 차곡차곡 쌓여 언제든 내가 필요할 때 ‘지혜‘를 찾게 해주는 나만의 백과사전이 되어준다. 주로나는 ‘에버노트‘라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데 목표에 따라 조금씩 다른 메모법을 사용한다. - P183
18분 독서법
하루 18분으로 독서 습관을 만드는 것은 힘들다고 하는 사람이 있을 수 있다. 전혀 그렇지 않다. 아침의 시작을 책과 함께하면 하루전체가 나도 모르는 새 충만해진다. 오히려 아침에 최소한 한 시간이상 독서하겠다고 마음먹은 순간 독서는 그 시작 자체가 부담스러워진다. 여유를 갖고 편하게 하루의 독서를 시작하라. - P194
독서 습관을 기르는 일은 스마트폰과의 전쟁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많은 하루의 시간들을 우리는 스마트폰에 종속되어 보내고 있다. 사실 우리에겐 충분한 시간이 있다. 24시간은 매일 우리에게 공평하게 주어진다. 하지만 우리는 스마트폰에게 우리의 시간을 아낌없이 갖다 바친다. 스마트폰을 보는시간만 줄여도 독서 시간을 차고 넘칠 정도로 확보할 수 있다. - P204
"어느 소설에서는 부자가 빈자에게 돈을 주고 시간을산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애플과 삼성이 만든 스마트폰이 공짜로 우리의 시간을 빼앗아가고 있다." (출처 : 〈조선일보) 2014년 7월 14일자) - P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