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페르시아어 수업
마리암 마지디 지음, 김도연.이선화 옮김 / 달콤한책 / 2018년 3월
평점 :
품절


 이란 출신 작가의 작품은 아마도 처음일 것이다. 이야기는 대체적으로 간결하고 짧은 호흡의 이야기로 몰입하게 하는 힘이 있다. 마리암 마지디의 자전적인 소설이라고 하는데 에세이 같은 느낌도 들었다. 시나 우화 같은 이야기도 들어 있어 환상적인 분위기도 느껴진다. 과거와 현재를 오가며 이야기를 엮어나가는데, 화자는 태아의 시선에서부터 한 살짜리 유아가 되기도 하고, 심지어는 들라크루아의 그림이 되어 이야기를 하기도 한다. 특히 아버지의 손, 어머니의 배와 눈, 할머니의 목소리를 테마로 이야기를 전달하는 장면은 좀 독특하게 느껴지며 천상 이야기꾼이구나, 감탄하게 된다.


 독재자 호메이니에 대항하여 반정부 정치 모임에 참여하며 좀 더 나은 나라를 꿈꾸었으나 나아지지는 않고 형제, 친척, 동료들이 체포되거나 죽어간다. 폭력과 살인으로 피비린내가 진동하는 이곳은 더 이상 미래가 없다는 것을 깨닫고 떠나기로 결심한다. 어머니 뱃속에서부터 혁명을 겪은 여섯 살의 마리암은 부모와 함께 프랑스로 망명한다. 지옥 같은 땅을 빠져나왔지만, 마냥 행복하지만은 않은 현실을 어떻게 표현해야 할까. 살아남은 자의 슬픔이라고 할까. 나고 자란 땅에서 아직도 고통을 겪고 있는 부모형제, 친척들과 동네 이웃들에 대한 미안함, 그들의 고통이 선하다. 낯선 이방인으로 살면서 정체성의 방황을 겪기도 하고 등지고 떠난 고국의 현실이 여전한 것을 보며 괴로워한다.


 은행원이었던 아버지와 의대생이었던 어머니, 나름 풍족한 살림이었지만, 반정부 활동을 하다가 안정적인 울타리를 모두 빼앗기고 가난의 냄새가 풀풀 나는 파리의 허름한 아파트에 새 둥지를 틀게 된다. 불편한 것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입에 맞지 않는 음식도 그렇지만, 낯선 사람들과 함께 공동화장실을 써야 한다는 문화적 충격에 휩싸인다. 어머니는 점점 말이 줄어들고 아버지는 가족을 먹여 살리기 위해 생전 안 해본 막일을 닥치는 대로 하다가 목수로 이름을 날릴 정도가 되지만, 고국의 피비린내는 현실이 자꾸만 떠올라 정신은 피폐해져 간다. 마리암은 학교에서 먹지도 않고 한 마디의 말도 하지 않는다. 낯선 아이들 속에 끼지 못해 도망쳤다가 할머니의 환영과 목소리를 듣고 힘을 얻는다.


 아직 어린 소녀가 감당해야 하는 현실이 측은하다. 피를 흘리고 쓰러져 있는 아이, 아빠들, 우는 엄마들의 모습을 그림으로 토해낸다. 악몽을 꾸며 울부짖는 날이 계속된다. 할머니와 어머니가 만들어주신 음식이 자꾸 먹고 싶고, 고향집 아이들에게 모두 주어버린 장난감이 생각난다. 말이 통하지 않아 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하는 외로움을 끝도 없이 이야기를 지어내며 상상하고 그 속에서 위안을 찾는다


 학교에 간 지 4개월이 되도록 말 한마디를 않는다며 어른들을 걱정을 시키고 벙어리, 외계인이라는 아이들의 놀림을 받던 마리암이 프랑스어를 공부하는 과정은 새가 알을 까고 나오는 그것이었다. 어른들의 걱정과 우려를 오히려 즐기듯이 안에서 웅크리며 도약하기 위해 준비한다. 작품이 될 때까지 공을 들였다가 어느 날 폭죽을 터뜨리려고 내밀한 작업을 했던 것이다. 이런 야심찬 생각을 하다니. 그렇게 언어를 배우고 다듬어서 이야기를 만들고 그 첫 이야기가 공쿠르 상 수상작이 되리라고 생각이나 했을까.


난 어딜 가도 내 나라에 있다는 생각이 안 들어. 프랑스에서는 다들 내가 이란 사람이라고 하고 이란에 가면 나를 프랑스 사람 취급해. 나처럼 두 문화를 가지고 싶어? 내 거 다 줄 테니까 나처럼 살아봐. 그러고 나서 그게 정말 멋지고 풍요로운지 말해주라고.”(P190)

낯선 곳에서 이방인으로서 살아야하는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혼란은 이 말로 충분한 설명이 되지 않을까. 두 문화를 가져서 선택의 폭이 넓지 않느냐고 부러워하는 대학 친구들에게 불만을 토로한다. 많은 사람들이 한 번쯤 살고 싶어 하는 파리도 이방인에게는 완벽한 안식처는 아닌 모양이다. 두고 온 것들이 자꾸 눈에 밟히기 때문이다. 어린 시절 가족과 사촌들과 보내던 추억, 유치원 운동장에 있던 떡갈나무까지, 고향에서 보고 듣던 소리가 희미해져가는 것이 아쉽다. 그리고 아버지가 그토록 간청하던 모국어 페르시아어. 너의 뿌리를 잊지 말라던 아버지의 음성이 떠올라 회한에 잠긴다.


 배우기를 거부했던 페르시아어를 17년 만에 다시 배우면서 마리암은 스스로와 화해하며 이야기는 마무리된다. 아직도 어린이를 위해서 혁명을 일으키고 싶고 죽을 각오가 되었다는 압바스의 눈빛, 플라스틱 샌들 한 짝을 남기고 죽은 동네 젊은이, 감옥에서 만난 삼촌의 웃음, 만화 누샤베를 보며 아내의 목소리를 듣는다던 기자의 이야기 등 기억속의 이미지는 끝없이 맴돈다. 망명자의 이름으로 산다는 것, 그 그늘의 안타까움을 보았다. 바꾸고 싶지만 어쩔 수 없는 현실의 한계 속에서 살아가는 다른 세상이 여전히 공존 한다는 것도. 보고 듣고 체험한 이야기를 수집하고 세상에 내놓는다는 것은 얼마나 위대한 일인가 생각해본다. 글을 쓰는 행위로 고통의 트라우마도 조금은 치유되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 매혹적인 성장소설이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