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준비의 기술
박재영 지음 / 글항아리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행이란 단어를 떠올리기만 해도 설레는데 코로나19로 온 세상을 뒤덮어 꿈도 못 꾸는 요즘 상황에 딱 어울리는 책을 만났다. 여행책이 아니고 여행준비 책이라는 책 소개에서 벌써 재미는 보장하겠다 싶었다. 여행은 못 하지만 여행준비는 할 수 있다. ? 책은 제목이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하는데 참 잘도 지었다. 여행준비의 기술이라니. 원래 여행을 가본 사람들은 공감하겠지만 떠나기 전부터가 이미 설렘과 기대감으로 날개를 단 기분이지 않나. 이 책 쓰려고 계획한 지가 10년이 넘었는데 예약해 두었던 출장과 여행이 모두 취소되는 바람에 서둘러 쓰게 되었다고 한다. 여행이 취미가 아니라 여행준비가 취미였다는 것을 다시 떠올리면서 말이다.

 

 

 

 

 

영어가 안 되면 시원스쿨

여행을 못 가면 여행준비!

딱 보는 순간 영어학원과 여행사 합작의 광고 카피인가 했다

다 읽고 나서 보니 이 책 핵심 내용을 제대로 뽑아 놓은 거였다.

 

 저자의 다재다능한 이력도 흥미를 끌었다. 의사 출신의 저널리스트이자 여행준비러책 팟캐스트(YG)JYP의 책걸상의 진행자이다. 저서로 장편소설 종합병원2.0, 한국의료 해설서 개념의료, 평론집 한국의료, 모든 변화는 진보다등이 있고, 청진기가 사라진다(공역), 환자의 경험이 혁신이다(공역), 차가운 의학, 따뜻한 의사8권의 책을 번역했다.

 

 이 이야기는 여행준비 이야기만 있는 게 아니다. 오래전 여행 추억담과 여행준비를 했지만 코로나로 인해 떠나지 못한 아쉬운 여행 등 온갖 에피소드가 가득하다. 더구나 가보지 않은 여행지를 지인들에게 추천하고 고맙다는 인사를 받았다는 재미있는 에피소드도 있다. 그리고 현재도 계속되고 있는 여행준비 스토리도 들어있다. 이 정도 되면 여행준비가 취미라는 걸 확실히 인정해야 할 정도다.

 

 저자가 말하는 여행준비의 기술은 무엇일까. 가장 중요한 일은 여행의 명분을 만드는 것이라고 했다. 이것은 노력하지 않아도 저절로 찾아오는 시점의 각종 기념일을 활용하거나 노력해야 얻을 수 있는 성취를 기념하는 것으로 명분을 만들면 된다. 후자의 경우 예를 들면, 책 한 권 낸 후, 승진 후, 악기 하나 배운 후 등 나에게 보상하는 것으로 여행의 명분을 찾으면 된다. 여행적금을 들어 여행을 준비하거나 노력형의 대표격인 외국어 공부를 적극 추천하고 있다. 적금은 2년이 적당하며 끊이지 않게 이어가는 것이 중요하다. 외국어 공부에 대한 부분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여행 때마다 현지인과 더 많은 이야기를 나누지 못하고 돌아왔던 일을 떠올리면 충분히 공감할 수 있다. 그동안 여행을 돌아보니 어쩌다 1년에 한 번 아니면 두 번의 여행이라 최소한으로 준비만 하고 갔지 이렇게 철저하게 준비해 본 적이 없다.

 

 여행준비하는 과정도 버리기 연습이나 마찬가지라고 했다. 우리는 일상에서도 수많은 선택을 해야 한다. 그리고 우리에게 주어진 여행의 기회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여행지를 찾는 과정에서 버릴 것은 버려야 가능하다는 것이다. 역시 여행준비러다운 통찰이다. 여행지 목록을 만들 때는 가장 가보고 싶은 나라처럼 막연하게 하지 말고 구체적으로 적으라고 했다. 예를 들어 현대미술관 다섯 곳, 영화 촬영지 다섯 곳, 특이한 박물관 등. 이렇게 목록을 만들고 찬찬히 들여다보는 것으로 충분하다고 한다. 그래서 결국엔 자신에게 딱 맞고 만족할 수 있는 여행지를 찾아내는 작업이고 그렇지 않은 곳을 걸러내는 작업이 여행준비의 단계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여행준비가 취미일 때 장점은 무엇일까. 이것은 여행준비를 많이 하고 떠난 여행일 때도 그렇지만 준비만 하고 떠나지 않은 경우도 마찬가지라고 했다. 이에 대한 에피소드를 들려준다. 비즈니스 미팅에서 노르웨이 여행이 화제에 올라 대화가 무르익었는데 가본 적은 없지만 미리 여행준비를 해 두었기에 척척 이야기가 진행된다. 상대방은 가봤느냐고 물었다는데 아직이라는 저자의 말에 크게 웃었다는 이야기. 결국 좋은 분위기가 미팅 결과도 긍정적인 상황을 만들었다는 것이다. ‘대화의 기술이 제대로 빛을 발한 것이다. 여행준비의 진가는 이런 것이었다.

 

여행의 좋은 점은 무엇일까. 여행의 좋은 점은 100만 가지가 있겠지만 크게 두 가지라고 했다.

 

평소에 하지 못했던 뭔가를 할 수 있다는 것, 그리고 피하고 싶었으나 평소에 감수할 수밖에 없었던 일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것.’(P78)

 

 여행준비에 있어서 반드시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은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것과 지겨운 일상으로부터 벗어나는 것 둘 중에 어느 것에 큰 비중을 둘 것이냐에 있다고 했다. 자신에게 가장 잘 어울리는 여행준비의 시작은 평소에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일을 더 즐겁게 할 수 있는 장소가 어디인지 찾아보는 것이라고 했다. 어쩌다 주어지는 여행을 별다른 계획 없이 떠났다가 가보고 싶은 장소가 문을 닫았거나 하는 바람에 아쉬운 발길을 돌렸던 적이 있어서 공감할 수 있는 부분이었다.

 

그러나 여행준비는 다르다. 특히 구체적인 여행 계획이 없는 상태에서 언젠가 꼭 가리라는 다짐도 없는 채로 느릿느릿 하는 여행준비는 괴로울 까닭이 없다. 내가 이런 여행 계획을 세웠노라고 어디 가서 발표할 일도 없고, 내가 준비한 계획을 다른 사람의 그것과 비교하여 잘했니 못했니 따질 필요도 없다. 그저 가고 싶은 곳의 목록을 하나 늘리고, 그곳에서 하고 싶은 일을 한두 가지 상상만 하면 된다.’(P87)

 

 시험준비, 출근준비, 식사준비, 회의준비 등은 즐겁지 않아도 어쩔 수 할 수밖에 없는 일이지만 여행할 곳을 공부하고 준비하는 일은 누가 시켜서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스트레스 없이 즐길 수 있다는 것이다. 참 공감하지 않을 수 없는 말이다. 구글 지도에 가고 싶은 곳의 별을 찍으며 여행지의 목록을 늘리는 방법도 있었다. 이 부분은 욕심보다는 희망에 방점을 찍으며 희망은 최대한 많이 품어야 한다고 했다. 그렇게 여행의 목록을 늘리면서 언젠가의 여행을 꿈꾸고 여행지에 대한 정보를 공부하는 과정도 좋을 것 같다. 이밖에도 인생의 맛집, 추억의 맛집에 대한 에피소드와 맛있는 음식에 대한 애착으로 좋은 식당을 예약하고 거기를 찾아가는 과정의 이야기를 생생하게 들려준다.

 

독서와 여행준비는 좋은 짝이다. 둘 다 좋은 취미지만, 두 가지를 다 좋아하면 확실한 시너지가 생긴다. 목적지가 정해졌을 때, 조금만 검색해보면 그곳과 관련된 책들을 찾는 건 어렵지 않다. 책값 몇만 원을 미리 쓰면, 여행이 최소 몇십만 원어치는 더 즐거워진다. 독서는 여행준비를 자극하고, 여행준비는 독서의 보람을 느끼게 해준다. 독서는 여행을 더 즐겁게 만들고, 여행은 독서를 더 즐겁게 만든다. 이런 게 바로 선순환의 좋은 예가 아닐까.(P167) 

 

 코로나로 인해 우울증 비슷한 상황을 겪는 사람들이 많다고 한다. 이 책을 읽으면 정말 여행의 기분을 되살릴 수 있다. 역시 기대한 것처럼 재미있었다. 나도 이제는 닥쳐서 준비하지 말고 평소에 차근차근 여행준비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평소에 여행지를 꿈꾸며 틈틈이 가고 싶은 장소의 정보를 탐색하고 목록의 리스트를 적어 가면서 여행을 상상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공부도 되고 여행하는 설렘으로 일상에 활력소가 될 테니까. 지금 여행준비를 하고 있는 사람, 우울한 기분 탁 털고 싶은 이들에게 권하고 싶다

 

 

 

YES24 리뷰어클럽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