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녀체력 - 마흔, 여자가 체력을 키워야 할 때
이영미 지음 / 남해의봄날 / 201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읽고 공부를 하다보면 하루가 얼마나 빨리 지나가는지 운동할 틈도 찾지 못할 때가 있다. 아니, 사실은 효율적으로 시간을 관리하지 못해서 일수도 있다. 이러면 안 되는데. 확실히 움직이지 않으면 몸이 둔해지고 체중이 금세 늘어있다. 여러 공부에 관한 책에서는 운동이 필수라는 말을 하고 있다. 뇌를 활성화시켜서 더욱 효율적인 공부가 되기 때문이란다.


 체력이 필수라는 걸 절실히 느낀 것은 최근 도쿄 여행을 통해서였다. 여행이라는 것이 휴양의 목적도 있겠지만 관광의 목적이 더 강하기에 부지런히 돌아다녀야 했다. 물론 평소에 겨우 삼십 분 정도의 운동으로는 어림도 없었다. 어쨌든 힘들어도 발에 물집이 생겨도 여행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걷게 된다. 거의 매일 2만보 이상, 어떤 날은 4만보 이상도 돌아다녔다. 평소에 체력을 키우는 운동을 꾸준히 했더라면 그렇게 힘들지 않았을 텐데. 도쿄에서 본 할머니들은 자전거를 잘 탔다. 꼿꼿한 허리를 하고 잘도 걸어 다녔다. 심지어 흰 머리 섞인 긴 생머리를 하나로 묶어 멋을 부린 할머니의 뒷모습을 보며 경이롭기까지 했다. 아마도 우리나라에서 이런 할머니들의 모습을 본다면 추하다느니 말이 많았을 거다. 전혀 추하지 않고 멋지고 당당한 모습이었다.


 이 책이 서평단 이벤트에 당첨된 것을 일본 여행을 막 시작한 날 알게 되었는데 어서 읽고 싶어서 혼났다. 도대체 어느 정도 되어야 마녀 체력일까 궁금했다. 그러면 그렇지 트라이애슬론을 뛰는 정도는 되어야겠지. 30대에 고혈압 진단을 받은 자칭 저질 체력에 책을 만드는 에디터로 25년 간 살아가면서 마흔에 운동의 세계에 발을 딛고 운동 고수가 되기까지의 과정을 그녀의 일과 운동의 이야기가 어우러져 유쾌하게 그려져 있다. 참 재밌게 읽었고 연신 고개를 끄덕이며 읽다보니 어느새 끝나 있었다. 바쁘다면 엄청 바쁜 직장인으로 엄마, 아내로서 어떻게 그런 시간을 내어 운동을 연습하고 대회를 출전할 수 있을까 감탄이 나온다. 자전거는커녕 수영도 못해서 해수욕장도 별로 좋아하지 않는 나로서는 정말 부러웠다. 두려운 마음까지 들었다. 작은 체구의 여성이 어떻게 그런 격렬한 운동을 할 수 있을까, 인간의 몸과 정신은 대단하구나 하는 생각도. 운동으로 체력을 키우자는 건강 에세이도 되지만 강력한 자기계발의 동기도 부여해준다.


 전부터 건강을 잃으면 모든 것을 다 잃는다는 말이 있다. 아무리 재산이 많아도 중병에 걸리면 쉽게 이전처럼 회복하지 못하는 경우가 얼마나 많은가. 물론 기적 같은 회생도 간혹 있지만. 우리는 무엇이든지 빨리 효과를 보려는 마음에 조급증이 있는 것 같다. 다이어트나 운동으로 빠른 성과를 바라지만 하루아침에 체력이 강해지는 일은 없다. 모든 것은 1만 시간의 법칙이 적용되는 것은 아닐까 싶다.


천천히, 조금씩, 그러나 꾸준히(P127)

적어도 3일 이상 아무런 운동을 하지 않고 지나가는 날은 없도록 하자(P128)


 이러한 소박한 목표가 그녀의 오늘을 만들었다고 한다. 그러니 단기간에 몇 킬로그램의 체중을 빼야지 하는 것보다는 규칙적이고 소박한 계획을 실천하는 것부터가 시작일 것 같다. 이것은 비단 운동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다. 책읽기, 자격증 시험공부에도 모두 연결할 수 있다.


 이미 십삼 년째 트라이애슬릿으로 활동하고 있는 그녀는 올해에는 스위스의 몽블랑에서 트레킹을 한다고. , 감히 쳐다볼 수 없는 경지다. 운동을 하고 건강한 몸이 되었기에 가능한 일이다. 운동을 하고 강해지는 몸의 변화를 바라보는 일은 행복한 일 일 것이다. 소극적인 성격도 활발하고 긍정적으로 바뀌어간단다. 당연하겠지. 모든 일을 함에 있어서 자신감이 있기 때문에 선택의 폭이 넓어진다. 많이 회자된 마라톤을 하는 하루키는 그렇다 치고, 자전거를 타다가 상대성이론을 발견했다는 아인슈타인, 67세에 자전거 타기를 배웠다는 톨스토이 등 많이 알려진 작가들이 운동을 꾸준히 하고 있었다는 흥미로운 이야기도 놀랍다. 계속해서 작품을 낼 수 있는 힘은 체력이 뒷받침되었기 때문이다.


 꾸준히 하는 일만큼 어려운 것도 없는 것 같다. 컴퓨터와 운전은 할수록 는다고 했다. 모든 것이 마찬가지 아닐까. 운동도 공부도 중단하지 않고 될 때까지 하다보면 누구나 고수가 된다. 고수가 되기 전에 멈추니까 평생 고수들을 부러워하며 사는 것이다. 인생의 반전은 그냥 오는 것이 아니다. 반전을 위한 노력이 끊임없이 계속될 때 맞이할 수 있는 것이다. 이루고 싶은 게 있거든, 체력을 먼저 키워라는 그녀의 말이 자꾸 뇌리에 맴돈다. 나는 일본어공부를 마무리한 후에 일본 열도를 여행하는 것이 꿈이다. 그렇다면 일본어공부도 중요하지만, 구석구석을 걸어 다닐 수 있는 체력이 더욱 중요하겠지. 좀 더 움직여 걸어야겠다. 천리 길도 한 걸음부터다. 마녀체력까지는 아니더라도 병원의 도움 없이 내 몸을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정도만 되어도 성공이지 않겠는가.


운동이 단순히 근육을 단단하게 만들고 심장 기능을 강화하는 데만 효과적인 것은 아니다. 노력하는 라는 존재에 대한 자부심을 갖게 만든다. 나이듦이라는 어쩔 수 없는 한계에 넋 놓고 앉아 있는 것이 아니다. 분발하며 더 나은 인간으로 성장하겠다는 자신감을 보여준다.’(P250)



* 이 리뷰는 예스24 리뷰어클럽을 통해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