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보낸 순간 : 소설 - 날마다 읽고 쓴다는 것 우리가 보낸 순간
김연수 지음 / 마음산책 / 201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와 소설로 동시에 등단한, ‘천재’라는 칭찬을 들은 소설가 김연수는 80년대 초 학교에서 백일장에 나갔으나 아무런 상을 받지 못하고 ‘나에겐 글쓰기 재능이 없다’고 생각하고 또 그렇게 계속 자책하며 살았다. 대학 졸업 후 잡지사에 다니면서 소설이 아닌 글쓰기는 직업상 계속하게 되었는데, 회사를 그만두고 매일 글쓰기를 8년 동안의 실험으로 몇 권의 책이 출판되었다. 고등학교 시절의 자신을 생각하면 그것만 해도 대단한 일이란다. 그보다 더 대단한 것은 지난 팔 년 사이에 내가 원하던 바로 그 사람이 되어갔다는 점이라고 한다. 소설가로서보다 인간으로서는 좀 더 나은 인간이 됐다고. 그것은 전적으로 매일의 글쓰기 덕분이라고.



 ‘날마다 글을 쓰면서 나는 자신을 비난하는 일을 그만두고 가장 좋아하는 일에 몰두하는 일을 매일 연습한 셈이니까.’ ‘그 연습의 결과, 나에 대해 나의 꿈에 대해, 나의 일에 대해 부정적으로만 생각하던 습관이 사라졌다.’고 말하고 있다. 이 책은 그가 날마다 읽은 소설 중 49편을 골라 글쓰기의 기쁨과 어려움, 문득 돌아본 나날의 기억들, 소설 속 주인공들의 인생에 비추어 들려주는 작가의 추억과 인생 이야기를 해 주는 산문집이다.


 ‘글을 쓰는 동안, 우리는 자신에게 말하고, 그건 생각으로 들리고 눈으로 읽힌다. 날마다 우리가 쓰는 글은 곧 우리가 듣는 말이며 우리가 읽는 책이며 우리가 하는 생각이다. 그렇다면 무엇을 쓰고, 무엇을 듣고, 무엇을 읽으며, 무엇을 생각할 것인가? 그것을 결정하는 사람은 우리 자신이다. 그렇다면 잔인한 고통의 말을 쓰고, 듣고, 읽고 생각하겠다고 결정하지 말기를.’


 ‘……뭔가 선택해야만 한다면, 미래를 선택하기를.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지 생각해 본 뒤에 그런 사람이 되기 위한 말들을 쓰고, 듣고, 읽고, 생각할 수 있기를. 그러므로 날마다 글을 쓴다는 건 자신이 원하는 바로 그 사람이 되는 길이라고 할 수 있다.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우리의 모습은 달라진다.’


 ‘……재능이란 지치지 않고 날마다 좋아하는 일에 몰두할 수 있는 능력을 뜻하는 게 아닐까? 평생 그런 재능을 발휘하고 산다면, 우리는 그를 천재라 불러야 마땅할 것이다.’

‘그러므로 쓰라. 재능으로 쓰지 말고, 재능이 생길 때까지 쓰라. 작가로서 쓰지 말고 작가가 되기 위해서 쓰라. 비난하고 좌절하기 위해서 쓰지 말고, 기뻐하고 만족하기 위해서 쓰라. 고통 없이, 중단 없이, 어제보다 조금 더 나아진 세계 안에서 지금 당장, 원하는 그 사람이 되기 위해서, 그리고 원하는 삶을 살기 위해서 날마다 쓰라.’



 작가의 말이 마음에 와 닿는다. 응원과 위로가 된다. 책을 좋아하는 사람은 읽는 것을 넘어 자신의 책을 쓰고 싶은 사람이 많을 것이다. 하지만 그렇게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 ‘내가 감히 어떻게’ 라는 생각의 장벽에 부딪혀 생각을 중단하곤 한다. 작가처럼 8년간 글쓰기를 계속하는 사람도 드물다. 이리 기웃 저리 기웃대다가 슬그머니 꼬리를 내려놓는다. 문제는 항상 미련으로 남아서 괴롭힌다. 작가도 천재는 아니었는데 노력으로 재능을 키운 것이라고 했다. 완전히 믿고 싶지만, 겸손의 말도 들어 있겠지. 이제 작가의 말처럼 자꾸 자신을 부정으로 몰아가지 말고 긍정으로 무장하고 어제보다 나은 인간이 되기 위하여 읽고 써 보자. 꼭 작가가 목표가 아닌, 다른 분야의 꿈을 갖고 있더라도 ‘지속할 수 있는 힘’은 참으로 중요한 요소인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