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아하는 것을 돈으로 바꾸는 법 - 쓸수록 돈이 들어오는 구조를 만드는 심리술
멘탈리스트 다이고 지음, 김해용 옮김 / 동양북스(동양문고) / 2017년 9월
평점 :
절판


 좋아하는 일을 하면서 그 일로 수입을 얻으며 살아가는 일은 많은 사람들의 로망이다. 흔히 좋아하는 일은 먹고 살기 힘들다는 말이 많이 있어왔다. 특히 음악이나 미술을 비롯한 예술 계통의 일은 실력과 열정이 있어도 안정적인 생활을 영위하지 못하는 것을 종종 접하게 된다. 그렇지만, 달리 생각해 보면 어느 분야든지 8020의 법칙은 성립하지 않나 싶다. 그러니 모두가 정상의 위치에 설 수 없다는 말이다. 어느 정도 생활의 안정을 추구하면서 나름의 행복을 느낀다면 성공했다고 할 수 있지 않을까.

 

 ‘멘탈리스트라는 직업이 다소 생소하게 느껴져 검색해 보니, 미드 <멘탈리스트>가 나온다. 주인공이 날카로운 디테일과 놀라운 기억력으로 범죄들의 실마리를 풀어 나가는 과정을 담은 범죄 심리 수사 드라마라고. 이 책의 저자는 사람의 마음을 읽고 조종하는 기술인 멘탈리즘을 구사하는 일본 유일의 멘탈리스트이다. 대학에서 인공지능 관련 연구를 하다가 우연히 멘탈리즘에 빠져서 그 덕분에 상상할 수 없는 큰돈을 벌기도 하였다. 그 후 은퇴선언을 하고, 정말 하고 싶은 일은 무엇일까 자문한 결과 독서를 할 때가 가장 행복하다는 것을 깨닫고, 한 달에 도서구입비로 100만 엔 이상을 쓰며 책읽기에 열중하고 있다. 집필한 책으로뇌가 섹시한 남자, 마음이 섹시한 여자,스틸,자신을 조종하는 초집중력등이 다수 있다.

 

 

 ‘쓰면 쓸수록 지갑이 두둑해진다.’는 말을 볼 때는 좀 당혹감이 생기기도 한다. 부지런히 일을 해서 돈을 모아야지, 써 버리고 마는 행위로써 돈이 생긴다니 말이다. 돈을 벌기만 해서는 행복해질 수 없다면서, 나를 지키려면 돈 공부를 하라고 한다. 고수입을 벌어들이는 사람이 파탄 나는 경우도 종종 있는데, 이는 돈을 쓰는 방법을 모르기 때문이라고 한다. ‘버는 능력은 충분한데, 어디에 써야할지 우선순위를 모르는 것이다. 저자는 이야기를 심리학적 접근으로 설명하고 있다. 돈을 쓸 때 낭비인가 투자인가를 생각하고 돈을 쓴다=나쁜 일이라는 의식을 버리고 돈을 쓰면서 불려나가는 방법을 익히라고 한다. 그리고 선택과 집중으로 좋아하는 것에는 아낌없이 돈을 쓰자는 것이다. 재테크에 관한 책은 아니면서 재테크와 자기계발 요소가 혼합된 책으로 보인다. 돈을 버는 것도 중요하지만, ‘어디에 써야 할까에 초점을 두고 이야기한다. 즉 절약과 저축을 위해 좋아하는 것을 참지 말고 써야 한다는 말이다.

 

 

모아야 할 것은 돈이 아니라 노력이다.’

이 글귀에 눈이 번쩍 뜨인다. 우리는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얼마나 열정적으로 꾸준히 노력했는지 돌아보게 된다. 어떤 계획을 세우고 도전을 개시했어도 작심삼일 한 일이 얼마나 많았던가. 그러니 돈을 모으는 것도 좋지만, 거기에 치중하지 말고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발견하고 거기에 돈을 집중적으로 투자하면 투자한 시간과 금액에 비례하여 더 많이 되돌아온다는 것이다. 이처럼 다이고는 자신이 좋아하는 것책읽기라는 것을 절실히 느끼고, 그것에 시간과 돈을 집중하여 오늘날 눈부신 활약을 하며 살고 있다. 책을 좋아하는 한 사람으로서 그 부분을 공감하며 읽을 수 있었다.

 

 

 위의 사진은 좋아하는 것에 돈을 쓰면 그 좋아하는 것이 돈을 만들어준다는 무한 순환의 메커니즘을 정리한 것이다. 일을 해서 이 생기면 좋아하는 것에 쓴다. ‘좋아하는 것에 돈과 시간을 들여 그 분야에 대한 지식이나 기술을 쌓으면 그것이 로 연결되는 구조다. 이렇게 좋아하는 것처럼 화살표가 한 바퀴 도는 순환이 만들어진다. 이것의 반복으로 무한 순환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요즘은 좋아하는 일을 집중하여 그 일을 업()으로 삼은 사람들을 종종 보게 된다. 많이 일반화 된 것이 음식 만들기를 통하여 사진을 올리고 블로그 활동을 하다가 책으로 나오는 것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어쩌면 요즘처럼 인터넷의 발달과 SNS의 소통은 좋아하는 것을 직업으로 이어주는 좋은 통로가 아닌가 싶다. 그뿐 아니라 이 책에서도 소개하고 있지만, 여행을 좋아하는 사람이 그 정보를 블로그에 올리고 방문이 쇄도하면서 여행작가가 된 예도 있는 것을 보면 좋아하는 일에 공을 들이는 일은 우리에게 성취감과 행복을 주는 요소인 것 같다.

 

쓰면 쓸수록 모이는 투자 불변의 법칙을 소개해 본다.

 

1. 경험의 법칙- 물건보다 경험을 산다.

2. 가치의 법칙- 가격보다 가치 있는 것에 쓴다.

3. 자기 기준의 법칙- 책을 사는 데 쓴다.

4. 호의의 법칙- 자신보다 타인에게 쓴다.

5. 인맥의 법칙- 믿고 맡길 수 있는 팀을 만들기 위해 쓴다.

6. 시간의 법칙- 수고를 줄이고 시간을 벌기 위해 쓴다.

7. 역발상의 법칙- 힘을 최대화하는 조합에 쓴다.

 

 물건을 사는 것은 잠깐의 행복이지만, 지식이나 기술 등 경험을 축적하는 데에서 사람은 훨씬 행복을 느낀다는 사실을 최근 심리학 연구에서 밝혀냈다고 한다. 두 번째의 가치의 법칙을 설명할 때 빠지지 않는 것은 워런 버핏의 명언이다. 바로 가격이란 무언가를 살 때 지불하는 것이고, 가치란 무언가를 팔 때 손에 넣는 것이다.’(P197)(워런 버핏, 부의 진실을 말하다: 워런 버핏의 을 통해 보는 삶의 지혜와 성공 투자 전략)

세 번째의 자기 기준의 법칙은 자신이 좋아하는 분야의 것에 투자하는 항목으로 정하면 된다.

 

 자신이 좋아하는 것’, 특히 책에 돈을 써서 머릿속에 넣은 것과 배 속에 넣은 것은 누구에게도 빼앗기지 않는다는 말에 웃음이 났다. 바로 물건경험의 가치를 다시 한 번 인식하게 해 준 것이다. 우선은 정말 좋아하는 것이 무엇인지 찾는 일이다. 그리고 그 일에 시간과 돈을 투자해서 무한 순환의 구조를 반복하는 일이다. 무슨 일이든지 실천이 어렵고 꾸준히가 어려운 것 같다. 하지만, ‘자유란 자신의 규칙에 따라 행동하는 것. 즉 자율을 의미한다고 한 마이클 샌델 교수의 말처럼 자신이 바라는 인생을 스스로 선택하며 살아가려면, 차분히 자신이 좋아하는 것에 대해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갖는 것이 중요하겠다.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 이 책에서도 특히 20대나 30대에는 저축보다 경험, 공부에 투자하라는 말에 공감이 갔다. 지금 하는 일이 정말 좋아하는 것인지 알 수 있는 아홉 가지 질문(p79)을 활용하여 좋아하는 것을 알아보는 것도 좋겠다. 딱히 어려운 용어도 없이 술술 잘 읽힌다. 누가 시켜서 하는 일 보다 자신이 좋아하는 일로 성공하고 싶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읽어보면 좋을 것 같다. 기본은 우선 하는 일(직장 다니는 일)을 하면서 자신이 생각한 분야로 확장해 가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