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어 라이프 (무선)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113
앨리스 먼로 지음, 정연희 옮김 / 문학동네 / 201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13년도 노벨문학상 수상작이다. 당시 기억에 노벨문학상의 상금이 얼마인가, 에 대해 인터넷상에 뜨겁게 오르내렸다. 우리 돈으로 환산하면 약 십억 원 정도라는. 그것도 놀랍지만, 여든 두 살의 노작가, 하얀 머리의 우아하게 나이든 그 모습에 끌려서 이 책을 구입했었다. 꽤나 묵혔다가 읽은 셈이다.


 오랜만에 단편 작품을 접해서인지 처음엔 무슨 이야기를 하는 건지 감이 잘 안 왔다. 짧은 이야기 속에 숨겨진 기지나 위트는 읽으면서 신경을 곤두세워야 한다. 좀 더 읽으면서 감탄하게 된다. 정제된 간결한 문장, 직설적이고 단호함이 느껴지는 문장이다. 들뜨는 느낌도 없고, 차분하기까지 하다. 열 네 편의 단편이 들어 있는데, 특별히 훌륭하고 모범적인 인간을 다루지는 않는다.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평범하고 정감 있는 이웃 같은 부류의 사람들 이야기다. 뿐만 아니라 상처를 안겨주는 나쁜 사람도 등장한다. 부잣집 딸이지만, 소아마비로 다리를 저는 여인이 남자에게 사기를 당하기도 한다. 또 불륜으로 맺은 남편이 옛날 여인을 만나게 되자, 불같이 화를 내다가 자신의 삶을 돌아다보며 깨닫는 여자도 있다. 남성 또한 그렇게 강인한 사람도 아니다. 그들 역시 결함이 있는 평범한 사람이다. 예를 들면, 남자가 연인을 버린 이유가 여성의 힘이 두려웠기 때문인 경우도 있다. 이렇게 사람은 완벽하지 않고 불완전한 존재라는 것을 보여준다. 또 그 결과에 대해 울고불고 하는 감정의 동요도 별로 없다. 오히려 더 지독한 경우를 당하지 않게 되었음을 안도하는 것이라고 할까. 너무 담담해서 옆에 있다면 어떻게 위로를 해야 할지 모르겠는 그런 연민이 느껴질 정도다.


 <아문센>은 화자인 비비안 하이드가 일자리를 찾아 요양원에 갔다가 의사인 레디 폭스와 결혼하자는 청혼을 받고 드레스를 준비하는 등 설렘으로 가득 찼는데, 갑자기 마음을 바꾸어 결혼할 마음이 없다며 기차 티켓을 끊어서 보낸다. 멍한 장면이다. 아무런 설명도 없고 일말의 미안함도 없는 그 태도에 기가 막힐 뿐이다. 아마도 이날이 당신의 인생에서 가장 큰 행운의 날 일 수도 있다고 말하는 그의 당당함, 반문할 틈도 주지 않는 눈빛. 당당하고 오만함 뒤에 어떤 이유는 있었다. 오랜 시간이 지나 우연히 마주치지만, 그 때 그 감정을 떠올린다. “사랑에 관한 한 정말로 변하는 것은 없다.”.


 <자갈>은 밋밋한 삶을 싫어하여 삶의 자극을 원했던 의 엄마가 다른 남자 닐의 아이를 갖고 이전의 삶과 연관된 모든 것에서 벗어나게 된 것을 행복해 하며, 아이들과 시골로 떠난다. 거기서 의 언니 카로가 물에 빠져 죽게 된다. 닐은 카론의 장례식에도 오지 않았고, 그 후 태어난 자신의 아들의 아버지 노릇도 할 생각이 없다면서 떠나버린다. 어머니는 처음으로 진정 살아 있다는 느낌이 들었고, 기회를 얻은 것 같다고 했는데. 삶은 이렇게 자신의 의도와 다르게 흘러가는 것이 아닐까. 영원할 것 같았던 사랑이 금세 지루해지는 걸 보면. 언니 카로가 의기양양하게 물속으로 몸을 던지는 모습에 붙들려 있던 는 궁금증을 풀기 위해 새 아빠였던 닐을 만난다.


중요한 건 행복해지는 거야.”

뭐가 어떻든 간에, 그냥 그러려고 해봐. 넌 할 수 있어. 하다보면 점점 쉬워질 거야. 주변 상황과는 아무 상관없어. 그게 얼마나 좋은 건지 넌 모를 거야. 모든 걸 받아들이면 비극은 사라져. 혹은 가벼워지지. 어쨌든 그러면 그저 그 자리에서 편하게 세상을 살아갈 수 있게 돼.”(P142)


 달리 무슨 말을 들을 수 있겠는가. 좀 더 빨리, 어떻게 했더라면... 등 죄의식에 사로 잡혀 있다고 되돌릴 수 있는 건 아무것도 없다는 것을 말하려 함인가. 시원한 대답은 없다. 어떻게 할 수 없는 것에 연연하며 살아가는 인생은 아닌지. 어쩌면 아무 일 없는, 특별한 일 없는 소박하고 지루한 듯한 삶이 행복이라는 것을 보여주려는 이야기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불완전한 인간은 그 순간을 참지 못해서 사단이 난다. 늘 일을 벌이고 수습을 못해 나자빠져 있다가 뒤늦게 깨닫곤 하는 존재가 아니던가.


 <자존심>은 은행가였던 아버지가 부실 경영으로 망하고 업자에게 속아서 집을 헐값에 팔게 된 오나이다가 같이 살고 싶다고 말하지만, ‘언청이의 결함을 갖고 있는 는 그녀에게 선뜻 다가가지 못한다. 수술을 통해 비교적 훌륭하게고쳤지만, 어려서부터 몸에 배었던 마음의 상처를 버리지 못한 것인가. 오랫동안 익숙한 환경을 버리고 새로운 생활을 하는 것이 여전히 두렵기만 하다. 자신은 아무런 계획이 없다는 것을 깨닫고 늘 해오던 일을 하며 조용히 그렇게 노년을 향해 가려고 한다. 내미는 손을 잡으면 좀 더 인생이 풀릴 수도 있으련만, 그렇게 하지 못한다. 억지를 부려서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니 오나이다의 마음도 참 멋쩍었겠지. 한 손으로 손뼉을 칠 수 없는 노릇이다. 울새보다는 크고 까마귀보다는 작은 스컹크들이 춤을 추듯 움직이는 장면을 보며 아름답다고 감탄하는 장면은 마음이 싸하다. 서로의 길을 방해하지는 않는 그 새들의 움직임을 따르려는 이들의 마음인가 해서.

 

 이밖에도 <코리>는 돈은 많지만 다리를 저는 결함이 있는 코리가 아버지의 뜻과는 달리 불륜의 관계를 맺으며 살아가다 그 상대 하워드에게 사기를 당했음을 나중에 깨닫는다. 고통스럽지만 무언가를 따지기에는 너무 늦었다. ‘이보다 훨씬 더 좋지 않은 일이 생길수도 있지 않느냐는 생각에 미치고 내버려둔다. <호수가 보이는 풍경>은 꿈과 노년의 정신질환을 통해 시간과 기억의 문제를 이야기하고 있다. 앨리스 먼로의 작품은 인간 존재에 대한 복잡한 심리를 탐색하는데, 그 주제는 주로 시간 혹은 기억에 관한 것을 다루고 있다.


 작품 후반에 따로 분리된 <시선>, <>, <목소리들>, <디어 라이프>는 작가의 자전적인 이야기며 소설은 아니라고 하는데, 그야말로 드라마틱한 소설 같은 감동과 내밀한 슬픔을 담담하게 이야기한다. 어린 시절 이야기, 괴롭힘을 당하던 학창시절 이야기, 교사였던 권위적인 어머니와의 애증관계, 아버지로부터 매 맞은 기억, 열한 살에 작가의 꿈을 꾸고 읽었던 책 이야기가 잔잔하게 펼쳐져 있다. 단편을 쓴 계기가 장편을 쓰는 전단계로서 끊임없는 훈련이었지만, 쓰다 보니 내가 할 수 있는 전부였다고 했고, 다른 인터뷰에서는 나는 다른 재능이 없었기 때문에 이 일을 잘해낼 수 있었던 것 같다. 내가 이 일만큼 끌렸던 것은 없었고, 그러니 내 삶에는 다른 것이 끼어들 여지가 없었다고 한다. 미국의 작가 신시아 오직은 우리의 체호프이며, 우리시대의 작가 대부분보다 오래 읽힐 작가라고 했으며, ‘현대 단편소설의 거장(master of the contemporary short story)" 이라는 이유가 노벨상 선정 이유라고 했다. 열 네 편의 이야기를 다 읽고 먼로의 연보를 읽는데 눈이 축축이 젖어든다. 그녀의 문학에의 끊임없는 열정과 삶이 전류처럼 전해졌음이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