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최대 갑부 역관 표정있는 역사 1
이덕일 지음 / 김영사 / 2006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는 조선을 배경으로한 사극을 보면서 농민과 천민에 감정이입하기 하기보다는 양반과 왕들에게 감정이입한다. 분명 조선전기 양반은 기껏해야 2~3%밖에 되지 않았으며, 16세기 노비의 비율은 60%에 달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우리 대부분은 양반의 후예이기 보다는 노비의 후예일 가능성이 더 많다. 자신을 고귀한 신분의 후예로 만들고 싶어하는 대중들의 바램을 우리는 어떻게 바라보아야할까? 을의 입장에서 피곤한 삶을 살아가는 대중들이 현실을 떠나 사극에서나마 갑이어야 괴로운 현실을 살아갈 수 있는 것일까? 이 책은 양반이라는 지배층의 역사를 다루지 않는다. 그렇다고 농민과 노비의 삶을 다루지도 않는다. 우리가 사극을 보면서 별로 주목하지 않았던 역관의 삶을 다루고 있다. 역관의 삶을 들여다보자.

 

1. 공무역과 사무역의 최전선에 역관이 서다.

  '나랏말쌈이 중괵에 다라'라는 세종대왕의 말씀처럼, 중국과 우리는 말이 통하지 않는다. 중국어를 자유자재로 할 수 있는 역관은 중국과 우리를 연결하는 가교역할을 했다. 역관은 단순한 가교역할만 한 것이 아니다. 두나라 사이에서 무역을 했다. 역관의 활약은 조선에서 두드러졌다. 고려와는 달리 사농공상의 직업관을 가진 조선에서 역관을 사대부에 비해서 낯춰보았지만, 역관은 그러한 천대에 굴하지 않고 사무역의 최전선에 뛰어들었다. 이덕일은 책의 시작을 허생전에서 시작한다. 허생에게 차용증도 쓰지 않고 1만냥을 단숨에 빌려준 '변승업'은 실존했던 인물이다. 8포 무역으로 대표되는 역관들의 무역은 많은 이익을 통해서 역관들은 많은 이익을 남겼다. 그러나, 8포무역이 매번 큰이익을 준것은 아니다. 중국 채류기간이 정해져 있는 약점을 알고 있는 중국상인의 농간으로 많은 손해를 보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새로운 경쟁자로 상인이 등장하기도 했다. 많이들 알고 있듯이, '상도'의 주인공 임상옥은 중국상인들의 담합을 깨부수고, 인삼무역에서 10배의 이익을 얻었다. 역관과 상인들의 눈부신 활약을 가로막은 것은 다름아닌, 사대부들이었다. 그들의 눈에 상업은 규제의 대상이었다.

  청나라와 일본이 직교역을 하기 시작하면서, 조선은 청과 일본 간의 중개무역의 이점이 사라진다. 그로인해서 일본 은의 조선 유입이 차단된다. 이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을 조선의 지배층은 강구하지 않았다. 오히려 상업을 규제하려고만했다. 세계 정세 변화를 직시하지 못하고, 좁은 한반도에 갖혀서 구시대적인 방책만을 강구하는 조선의 지배층을 바라보면, 답답함을 금할 수 없다. 일본이 근대화에 성공하고, 조선이 근대화에 실패한 것은 일찍부터 세계의 흐름에 눈뜬 일본과, 세계 정세에 깜깜했던 조선의 모습에 그 근본적 원인이 있었던 것은 아닐까? 다시 한번 반문해본다. 과연 우리는 그 때의 조선과 얼마나 달라졌는가?

 

2. 조선이 염초를 수입해야했던 이유는?

  우리는 최무선이 화약을 개발했다고 배웠다. 화약만드는 기술은 조선세종시기를 전후해서 세계적 수준으로 발전했다. 그런데, 조선 후기에 들어서면, 조선은 화약만드는 방법을 알아내기 위해서 다시 총력을 기울인다. 더 나아가 화약의 원료인 염초를 중국에서 수입하려 필사의 노력을 한다. 어찌된 일일까? 최무선이 이원엑 배운 염초제조 방법인 '자초법'을 200년의 평화시기가 도래하자 조선은 잊어버린다. 1급 군사기밀을 평화시기가 도래한다고 잃어버리다니! 말이되는가? 그러나 사실이다. 성리학의 나라 조선은 문약해졌다. 성리학적 논쟁에는 탁월했을지라도, 나라를 지키는데는 무능했다.

  잃어버린 자초법을 다시 알아내기 위해서 역관들이 필사의 노력을 한다. 서천군보 임몽이 해상 자취법을 알아냈다. 그런데, '선조실록'을 쓴 사관은 임몽에게 동반실직을 하사한 것을 비난한다. '한 사람에게는 상을 주었으나 천만 사람의 마음을 저하시켰'다고 비판한다. 한사람은 해상 자취법을 알아낸 임몽이고, 천만 사람은 옹졸한 조선의 사대부들이다. 나라를 위해서 공을 세웠으면 당연히 그에 상응하는 상을 주어야함을 그들의 옹졸함은 용납하지 않았다.

 

3. 중인은 신분적 한계 때문에 조선왕조에 등을 돌렸다?

  '혈의 누'를 쓴 이인직은 대표적인 친일파이다. 러일전쟁시기 일본인 통역관이었으며, 이완용의 비서이기도 했다. 중인들은 신분적 한계 때문에 출세의 길이 막혔고, 때로는 일본의 앞잡이가 되어서 조선왕조 몰락에 기여했다는 설명의 글을 읽은 적이 있다. 과연 중인들 모두가 그러했을까?

  그러하지 않았다. 그들은 양반지배층들이 무능한 모습을 보일때, 앞장서서 나라의 이익을 위해서 노력했다. 청의 사신 목극등이 백두산의 경계를 정할대, 박권은 나이가 많다는 이유로 백두산에 오르지 못하도록 한다. 박권은 목숨을 걸고서라도 백두산에 올랐어야했다. 그러나 박권은 오르지 않았다. 이해할 수 없는 일이었다. 이러한 시기에 역관 김지남과 아들 김경문 부자는 박권을 대신해서 조선의 이익을 지키려 노력했다. 문약한 조선의 사대부의 모습을 보면서 씁쓸함을 금지 못하지만, 사대부의 문약함을 조선의 역관이 대신 매우고 있는 모습이 흐믓함을 느낀다.

  여관들은 나라가 망할 위기에 처하지 보다 적극적으로 독립운동에 뛰어든다. '유년필독'으로 유명한 사학자 현채가 역관출신이었다. 일제에 아부하며 일제의 작위를 받고 은사금을 받은 일부 양반들에 비하면, 역관들의 활약은 눈부시다 할 수 있다.

 

  이 책은 기존의 이덕일이 써왔던 책들과는 다른 서술형태를 띄고 있다. 즉, 평전형식 혹은 역사평설 형식의 책이라기 보다는 일종에 논문을 대중을 위해서 풀어써 놓은 듯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양반의 그늘에 가리어 제대로 조명 못한 들의 삶이 이 책을 통해서 빛나 보인다. 소설을 읽는 듯한 박진감을 선보이는 이덕일의 평전형식의 책들에 비한다면, 책을 읽는 박진감을 덜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 책에는 우리가 제대로 바라보지 못했던 우리 조선의 다른 모습을 바라볼 수 있는 거울이 숨겨져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