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년습작 - 김탁환의 따듯한 글쓰기 특강
김탁환 지음 / 살림 / 2009년 5월
평점 :
품절


  많은 사람들이 글을 잘쓰고 싶어한다. 최근에 다양한 글쓰기 책들이 쏟아져나오고 있으며, 나 또한 글을 잘 쓰고 싶다는 욕망 솟구치고 있다. 시중에 많은 글쓰기 책들이 있지만, 그중에서 신뢰가 가지 않은 책들이 많다. 김택환!! 그 이름으로 충분히 글쓰기의 정도를 알려줄 것만 같다. 그의 책 '천년습작'을 읽기 시작했다. 글을 쓰기 위한 비법을 얻기 위해서....

 

1. 글쓸 시간이 없다는 핑계!!

  책을 읽지 않는 사람들의 가장 많은 핑계는 '시간이 없다.'이다. 하루 중에서 얼마나 많은 시간을 바쁘게 보내는데 한가하게 책을 읽느냐는 하소연이자 핑게를 들이댄다. 그러나 책은 시간이 남아돌아서 읽는 것이 아니라, 지하철이나 버스를 기다리며, 친구를 기다리며, 텔레비젼 볼 시간을 줄여가며 읽는 것이다. 책읽기의 비법은 글쓰기의 비법과 상통했다.

 

"문제는 외부적 시간의 조건이 아니라는 것이지요. 삶은 사는 이상 글을 쓰는이에게 유리한 시간은 없다."

 

  시간이 많이 주어지면 좋은 글을 쓸 수 있다는 환상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시간이 많이 주어진다하더라도 좋은 글을 쓰지 못하는 사람들이 너무도 많다. 김탁환은 말하고 있다. '시간이 상실되는 지점, 미혹과 시간의 부재가 주는 고독' 속으로 돌입하는 것!! 그 속에서 글쓰기가 이루어진다. 글을 쓰는데 시간이 없다고 투덜대는 존재는 시간이 주어져도 글을 쓰지 않고 새로운 핑계를 찾는다. 글을 쓰기 싫은 자신을 합리화하기 위해서... 그리고 나 자신을 반성해본다. 나는 글을 쓰고 싶다는 욕망은 많았지만, 진정으로 핑계만을 찾으며 자신을 합리화하지는 않았는지... 오늘 부터, 지금부터 글을 쓰자.

 

2. 글쓰기의 특별한 비법 하나!!

  많은 글쓰기 비법서를 읽으며, 많은 사람들이 글을 쓰는 특별한 비법을 가르쳐달라한다. 그러나 특효약을 달라고 매달리는 사람들에게 대가의 대답은 '글을 써라!, 무조건 써라.'이다. 책상에 앉아서 열심히 쓰면 글을 잘 쓰게 된다는 진리이다. 나는 감탄을 했다. 글쓰기의 특별한 비법을 바라며 노력하지 않고서 자신의 글쓰기 실력이 탁월해지기를 바라지 않았는지, 나 자신을 반성해본다.

  김탁환은 발자크의 일과를 사례로 든다. 밤 12시부터 아침 8시까지 집필을 한다. 이 시간을 그는 평생 5만잔의 커피를 마시며 버티었다. 그리고 오후 시간은 퇴고와 산책으로 보냈다. 어찌보면 단조롭고 어찌보면 지독히도 노력하며 글을 쓰고 있는 발자크!! 탁월한 글을 쓰고 싶다면, 발자크와 같은 대가처럼 꾸준히 글을 써야하지 않을까? 내가 특별한 능력을 얻고 싶다면, 나는 특별한 노력을 해야한다.

 

3. 글쓰기 소재를 얻는 비법

  '책쓰기 연수'를 여름방학 기간 동안 들었다. 학생들에게 시를 쓰도록 하기 위해서, 그 선생님은 학생들과 운동장으로 나가서 드러눕는다. 그리고 하늘과 대화하고, 나무와 대화하고, 쓰레기 통과 대화하도록 한다. 그리고 글을 쓴다. 김탁환도 비슷한 행동을 했다. 어항에 귀를 대고 그들의 대화를 들으려 노력한다. 그러면서 남들이 듣지 못하는 소리를 대화를 듣는다. 그렇다. 남들이 대화할 수 없는 사물들과 대화하고, 사람들이 들을 수 없는 자연과 대화하면서 글쓰기는 시작된다. 타인의 말에 귀기울이는 것에서 머무르지 말고, 자연과 대화하자!

 

4. 따뜻한 글쓰기, 치유로서 글쓰기

  책을 읽다보면, 책의 오류를 종종 발견한다. 때로는 날카롭게 책에 대해서 비판을 하기도 한다. 그런데 김탁환은 '따뜻한 글을 쓰기 위해서는 먼저 따뜻하게 타인의 작품을 품을 필요가 있습니다.'라고 말한다. 좋은 글을 쓰기 위해서는 따뜻한 시선으로 글을 읽어야한다!! 그러면서 그 글에서 얻을 수 있는 배움을 찾아야한다는 대가의 조언이다. 글쓰기 초보와 완숙한 작가의 차이가 느껴지는 지점이다. 상대가 나보다 못한 점을 찾기 보다는 상대가 나보다 나은 점을 찾으려할때, 나의 발전이 이뤄질 수 있다. 그래, 따뜻한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책을 바라보자.

  이러한 따뜻한 눈길은 '나' 자신에게로 이어져야한다. 자신의 슬픔을, 자신의 고통을 따뜻한 눈길로 보듬어 줄수 있어야, 진정한 치유의 글쓰기가 이뤄질 수 있다. '책쓰기 연수'에서 강의를 해주신 선생님들은 학생들에게 책을 쓰도록 지도하면서 학생들과 교사가 치유의 과정을 거친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자신의 아픈 고통의 지점을 드러낼때, 비로소 치유는 시작되기에 책쓰기를 학생들과 그칠 수가 없다는 선생님들의 강의를 들으며, 자신에 대한 글쓰기 자체가 얼마나 아픈 고통의 과정이며, 상처받은 존재들에게 필요한 비타민인지를 알 수 있었다. 그래서 '작가는 왜 이런 온갖 위험을 무릎쓰고 글을 쓰는 걸까요'라는 김탁환의 질문이 이해되었다. 작품을 통해서 작가는 자신의 상처를 정면으로 마주하며 치유를 시작한다. 그리고 독자는 그 상처의 흔적을 보면서 상처받은 자신을 치유한다. 글쓰기는 치유의 과정인 것이다.

 

 

  '불멸의 이순신'으로 우리에게 잘 알려진, 김탁환!! 그의 글쓰기 강의는 평범하면서도 우리가 왜 정도를 걸어야하는지 알려주고 있다. 그리고 각종 핑계를 대고 있는 나 자신을 되돌아 보게 해주었다. 상처받은 나 자신과 마주하며 용기를 내어 글을 써야겠다.

  한편, 김탁환은 '소설이 꼭 텍스트의 영역에만 머물 필요가 있을까'라는 질문을 던진다. '구비-필사-활자를 거쳐 디지털 시대로'접어든 오늘, 소설은 텍스트에서 디지털로 변화해야하지 않을까?라는 질문을 우리에게 던진다. 마치 종이 만화에서 웹툰으로 만화가 발전했고, 이 과정에서 웹툰에 에니메이션이 추가 되기도 하는 것 처럼, 소설도 이러한 진화의 과정을 거쳐야하지 않겠냐는 김탁환의 제언을 소설가들은 귀기울여야할 것이다. 소설이 디지털 시대에도 살아남기 위해서....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8-08-19 13:2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08-19 16:43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