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지난 6월 27일(한국시각),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WHC)는 스페인 세비야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33차 회의에서 '한국이 신청한 ‘조선왕릉’(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에 대한 세계문화유산(World Cultural Heritage) 등재를 확정했다.' 는 기쁜 소식이 있었습니다. 

이로써 우리나라에는 조선왕릉을 포함한 문화유산 8건과 자연유산 1건을 합하여 모두 9건의 세계유산이 있답니다.  

참고로, 인류의 자취를 대상으로 하는 '문화유산'(Cultural Hertage)은 조상이 남긴 것들 가운데 문화 가치가 있어서 후손들이 지키고 보호해야 하는 것들을 말합니다. '문화재'와 비슷한 말이죠.
 

우리나라에 있는 8개의 문화유산은 무엇일까요?

석굴암ㆍ불국사,  해인사 장경판전, 종묘(이상 1995), 창덕궁, 수원 화성(1997), 경주역사유적지구, 고창ㆍ화순ㆍ강화 고인돌 유적(이상 2000), 그리고 조선왕릉(2009) 이랍니다.

참고로, 자연유산으로는 제주 화산섬과 용암 동굴(2007)이 있답니다.

 
조선왕릉이 세계문화유산이 된 이유는 무엇일까요?

조선왕릉이 유교문화의 영향 아래 중요한 장례전통과 풍수사상을 간직하고, 그 건축과 경관은 동아시아 무덤 건축 발전의 중요한 단계를 보여주며 나아가 그곳에서 현재도 왕릉 제례가 열리고 있다는 것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가장 큰 이유랍니다.
 

참고로, 이번에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조선왕릉'은 1대 태조부터 27대 순종 황제까지 조선 왕조의 500여 년 역사를 만든 25분의 왕과 왕비, 사후에 추존된 왕과 왕비의 무덤인 '능(陵)' 42기 가운데 2기를 제외한 40기랍니다. 이유인 즉, 문화재청이 등재 신청 시 북한 땅인 개성 부근에 이는 제릉(태조 원비 신의왕후의 능)과 후릉(2대 정종과 정안왕후의 능)을 제외시켰기 때문이라네요. 

 

 

세계가 인정한  우리 문화유산, 소중하게 지켜갑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형 문화재 가운데 왕관이나 고려청자, 백자처럼 부피가 작아서  

들고 옮길 수 있는 문화유산을 유물이라고 하며,  

석굴암, 전쟁터, 고분, 궁전처럼 너무 커서  

길 수 없는 유형 문화재를 유적이라고 합니다.  

 


흙을 빚어 모양을 만든 뒤, 유약을 발라  
가마에서  

구워 만든 것이 바로 도자기랍니다 

 


백자는 하얀 흙을 빚어 모양을 만든 뒤,  

유약을 발라 구워 만든 자기로   

청자보다 깨끗하고 담백하며 검소한 아름다움을 냅니다.

고려청자는 고려시대에 만든 도자기로  

청록 빛깔을 내는 유약을 발라 만듭니다.

 

 

 




 

 


12세기 무렵, 중국 송나라의 청자가 고려에 들어온 이후

고려의 옹기장이들은 오랜 노력과 연구 끝에 고려청자만의 독특한  

빛깔인 '비색'청자를 만들어 냈어요.  

 

청자를 처음 만들어 낸 중국 사람들조차

'고려청자의 비색은 천하제일' 이라고 감탄할 정도였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 문화를 알려면, 먼저 문화라는 뜻부터 알아야 해. 문화, 어려운 말 같지? 사실은 아주 쉽다. 사람이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살아 있는 동안 말하고, 행동하고, 배우는 모든 것이 바로 문화다. 쉽게 생각하면 음식을 먹고, 옷을 입고, 잠을 자고 , 놀고 일하는 모든 것이 바로 문화란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리 것은 소중한 것이야!

소문난 도둑은 정말 억울해요. 자기가 비록 도둑이기는 하지만 박물관을 털 만큼 양심 없는 도둑은 아니거든요. 그런데 박물관에서 소중한 우리 문화재가 사라지자 범인으로 소문난을 의심하지 뭐예요. 너무너무 억울한 소문난은 범인을 제 손으로 잡기로 했어요. 그래야 누명을 벗을 테니까요.
그런데 문제가 있어요. 도대체 ‘우리 문화’가 무얼 말하는 것인지 소문난 도둑을 전혀 모르고 있거든요. 범인을 잡기 전에 먼저 ‘우리 문화’가 무엇인지 제대로 알아야 해요. 호랑이를 잡으려면 호랑이를 잘 알아야 하고, 도둑을 잡으려면 도둑을 잘 알아야 하는 것처럼 말이에요.
소문난 도둑은 도둑이라면 누구보다 잘 알아요. 자기가 바로 도둑이니까요. 하지만 우리 문화는 너무 모르는 군요. 그래서 유명한 탐정의 도움을 받기로 했어요.
평소에는 서로 쫓고 쫓기는 탐정과 도둑 사이지만, 이번만큼은 손을 잡기로 했어요. 유명한 탐정은 소문난 도둑이 우리 문화재를 훔쳐 간 범인이 아니라고 믿어 주었거든요.
자, 진짜 범인은 누구일까요? 범인은 박물관에서 무엇을 훔쳐 간 것일까요? 소문난 도둑과 유명한 탐정이 먼저 범인 잡을까요? 아니면 경찰이 소문난 도둑을 먼저 잡을까요?
아유, 너무너무 궁금해요. 지금 바로 책장을 넘겨 소문난 도둑과 유명한 탐정이 진짜 범인을 찾는 이야기 속으로 들어가 보세요. 게다가 소문난 도둑과 유명한 탐정 뒤를 살금살금 따라가다 보면 ‘우리 문화’가 무엇인지 자세하게 알 수 있대요. 참 재미있겠죠?
어이, 소문난, 유명한, 너희만 가지 말고 여기 어린이 친구들도 함께 데려가면 안 될까?
 






특명 우리 문화의 비밀을 찾아라

신경애

한솔수북 2006.05.0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특명! 우리문화의 비밀을 찾아라  >  

                               GO GO  지식 박물관06. 

갓, 고려 청자, 두루마기, 백자, 불국사, 삼국사기, 삼국유사, 삼국 시대, 상투, 유교, 저고리, 제례, 족두리, 종묘, 종묘제례악, 중절모, 증거물, 지하여장군, 직지심체요절, 처마, 천하대장군, 청동기 시대에 관한 지식과 정보가 담겼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