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들 수학(學)은 수數를 배우는 학문學으로만 여기죠.  그래서 어린 아이들에게 수학을 가르친다면 무조건 1,2,3,4...... 수부터 깨우치게 하고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의 가감승제(加減乘除)를 가르치는 연산을 무조건 가르치는 요즘입니다. 

그러나, 수학은 수량 및 공간 도형의 성질을 논하는 학문으로 산수·대수학·기하학·삼각법·해석학·미분학·적분학을 총칭하는 것입니다. 또 수학은 철학, 천문학 등과 같이 발달해 온 학문으로 다른 학문의 기초가 되기도 합니다.

따라서 수학을 잘 하기 위해서는 셈을 잘 하는 것 뿐만 아니라 동그라미, 세모, 네모와 같은 도형과 원, 삼각형, 사각형과 같은 입체도형에도 관심을 가지고 차근차근 생각도 쌓아갈 줄 알아야 한답니다.  


여기서 잠깐!

그렇다면 우리나라 수학의 역사는?


인류의 역사와 더불어 시작된 수학은 교역 ·분배 ·과세 등 인류의 사회 생활에 필요한 모든 계산을 담당해 왔고, 농경생활에 필수적인 천문 관측과 달력의 제정, 토지의 측량 또한 직접적으로 관여하였다.
  

우리나라 수학의 역사는 약 1500년 전에 시작했다. 신라시대에 수학을 가르쳤으며 일식과 월식을 예언하기로 발달했다. 조선시대에 세종대왕은 수학 수준을 향상시키고 집현전 교리들에게 학문 책들을 발전하라고 명령했다. 임진왜란으로 많은 교과서들이 불타고 이 분야에서 큰 손실을 입었다. 그러나 이후 한국 수학자들이 잃어버린 지식을 다시 발견했고 새로운 결과도 성취했다.


고대 수학을 크게 발전시킨 나라로는 이집트, 인도, 그리스, 중국 등이 있으며, 그 중 그리스에서는 처음으로 수학의 방정식에서 변수를 문자로 쓴 나라이다.

(자료출처: 위키백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꼴찌들의 징글징글 지리 탈출기> 

                                                                  GO GO  지식 박물관11.


강수량, 나침반, 대륙, 대한 해협, 밀림, 빙설 기후, 사막, 사바나, 산맥, 스텝, 고원, 산맥, 이수 해안, 일기도, 지구본, 지중해, 지형도, 축척, 침수 해안, 툰드라 기후, 해리, 해안선, 해양, 호수, 화산에 관한 지식과 정보가 담겼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http://blog.aladin.co.kr/781058144/1056840

어떤 것이든지 전부 싸워서 이긴 전사 고릴라는 사람인 미노에게 도전장을 내민다. 바로 힘 대결을 하자는 것이다. 미노는 공부를 잘 못했지만 수학으로 대결하자고 한다. 어떻게 보면 전사 고릴라가 매우 불리할 것 같지만 전사 고릴라는 수학에 매우 천재적인 재능을 가진 영장류를 불러 모아 미노 패거리와 수학 대결을 한다.

이 책은 겉보기에는 많은 수학지식이 있을 것 같았지만 실제로 그러지 않았다. 전부 내가 1, 2, 3학년 때 깨우친 것들이었다. 덧셈, 도형 옮기기, 길이와 거리 그리고 간단한 곱셈 등 이었다. 하지만, 수학을 할 줄만 알지 정확한 의미를 알지 못하는 사람이 많은 까닭에 간단한 것이라도 써야할 것 같다.

숫자란?

숫자는, 수를 셀 때 쓰는 것으로 1, 2, 3, 4, 5, 6, 7, 8, 9, 0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숫자를 통해 십진법으로 세상의 모든 수를 나타낼 수 있다.

더하기란? 
더하기는 어떤 개체와 어떤 개체의 수를 더한 것을 나타낸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두 묶음의 개수가 모두 몇 개인지 셈하는 것이다.

 

시간은 왜 필요할까?
시간 따위야 없어도 잘 살 것 같은데 왜 필요한 걸까? 만약 시간이 없다면 해가 기우는 것과 뜨는 것을 기준으로 약속을 정한다든지 일을 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각자의 기준이 달라 정확한 약속 시간을 맞추지 못한다면? 또한 계절의 변화로 해가 뜨는 시간과 해가 지는 시간이 바뀐다면? 그러므로 우리 생활에 유용한 시간이 매우 필요하다. 시간이 없다면 모든 사람의 생활 패턴이 바뀌게 될 것이다.

초등 저학년용에게 매우 알맞을만한 책. 글밖에 없어서 읽을지는 모르지만 의외로 재미있는 내용이다. 또한 여기서 고구려 고분 벽화에 나오는 성성이도 나왔다. 실제로 있는 동물은 아니지만 나와 있다는 것 자체가 신기하다. 쉽지만 저학년 문제의 개념을 다시 한 번 이해해 본 듯한 느낌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수학이 진짜 웃긴다고요 > 



                                                GO GO  지식 박물관10. 

수, 십진법, 자릿수, 원기둥, 직육면체, 구, 덧셈, 뺄셈, 길이, 거리, 단위, 직사각형, 정사각형, 원, 직각삼각형, 시각, 받아올림, 받아내림, 표, 막대그래프, 곱셈, 곱셈 구구, 도형 돌리기, 도형 뒤집기, 세로셈에 관한 지식과 정보가 담겼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수학이 진짜 웃긴다고요 > 


                                                GO GO  지식 박물관10. 

수, 십진법, 자릿수, 원기둥, 직육면체, 구, 덧셈, 뺄셈, 길이, 거리, 단위, 직사각형, 정사각형, 원, 직각삼각형, 시각, 받아올림, 받아내림, 표, 막대그래프, 곱셈, 곱셈 구구, 도형 돌리기, 도형 뒤집기, 세로셈에 관한 지식과 정보가 담겼다.





책 소개
<수학이 진짜 웃긴다고요?>편에서 늘 말썽을 부려 야단맞는 미노가 화가 나 고릴라처럼 가슴을 쿵쿵 치자, 진짜 고릴라가 나타난다. 전사 고릴라가 사람을 우습게 보자 미노는 수학으로 겨루자고 제안한다. 수학을 모를 수밖에 없는 고릴라와 사람이 어떻게 수학으로 겨룰까? 사람과 유인원이 벌이는 수학 겨루기 이야기.

 













   


지은이
 
김수경 -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농가정학과를 졸업하였다. 동화 작가들의 모임 '우리누리'에서 다양한 어린이 책을 쓰고 있다. 지은 책으로 <발명이 궁금할때 에디슨에게 물어봐>, <피카소>, <수학 잘하는 어린이들의 77가지 비법>, <윤봉길>등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