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무척 눈길을 끄는 단어가 있다. 보다 솔직히 말하면 무척 거슬리는 단어이다.
꿀벅지.... 과연 무슨 뜻일까?

눈길을 끄는 이유인 즉,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 기사를 올리는 일부 대중신문들이 앞다투어 기사 제목으로 사용하고 있기때문이다. 네티즌들로 하여금 해당기사를 클릭하게 만들려는 신문사의 의도가 다분하다는 것을 알지만 심하는 생각이 드는 것은 어쩔 수가 없다. 

생각해보면 이렇게까지 물불 안가리고 신조어를 만들어 내는 것이 어제오늘의 일은 아니다. 이미 핸드폰이나 인터넷 용어가 따로 생겨날 지경에 이르렀지만 그래도 어느 정도의  선은 지켜져야 하지 않을까....
언제부터인가 안습이니 담탱이니, 듣보잡이니 솔까말이니 하는 등의  짐작조차 하지 못할 말들을 주고받으며 자기들만의 소통에 익숙해지는 요즘 사람들. 이른바 끼리끼리 문화에 한껏 즐거워하며 나름의 동질감을 형성하고 있다고 느끼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또 그런 신조어에 낯설어 하면 마치 시대에 뒤떨어져 살아가는 듯 바쁘게 그런 말들에 익숙해지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꼬리에 꼬리를 물고 새롭게 탄생하는 요상한 신조어들 만큼이나 우리에게 익숙한 말들은 어느새 고리타분한 옛말이 되어 외면당하기 일쑤인 고운 우리말이 적지 않다.
 

한때는 순수 우리말을 알려주는 알려주는 프로그램도 있었는데 어쩌다 이 지경까지 이르렀는지.......
앞다투어 요상스런 말들로 우리말의 품위를 손상시키는 대중신문사들은 더 이상 이성을 잃지말고 각성하여 누구보다 바르고 건전한 우리말 사용에 하루 빨리 앞장서야 할 것이다!

그러고보니 한글날이 얼마남지 않았다.
꿀벅지니 어쩌니 하던 신문사들이 과연 한글날엔 어떤 기사들로 우리의 이목을 사로잡을지 사뭇 궁금하다.

 



여기서 잠깐!
 

재미있고 순수한 우리말을 몇 가지 소개합니다~

- 어린 딸을 귀엽게 부르는 우리말은 '딸내미'

- 여러 가지를 한데 뒤섞어서 만든 음식을 뜻하는 우리말은 '버무리'

- 값을 깎거나 받을 값ㄷ바 더 많이 부르는 물건 값을 뜻하는 우리말은 '에누리'

- 모르는 사이에 조금씩 조금씩을 뜻하는 우리말은 '시나브로'

- 손톱 따윌 할퀴거나 긁어서 생긴 상처를 뜻하는 우리말은 '생채기'

- 딱딱한 말씨로 시비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우리말은 '따따부따'

- 뒤꿈치를 들어 올린 발을 뜻하는 우리말은 '깨금발'

- 어떤 행동을 쉽게 대강대강 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우리말은 '검비검비'

- 성질이 부드럽고 다정하다는 뜻을 나타내는 우리말은 '곰살궂다'

- 첫 번째로 물건을 파는 일을 뜻하는 우리말은 '마수걸이'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과거 초등학교 시절에는 국어과목하면 비슷한말, 반대말, 높임말, 맞춤법 등등......
낱말 하나하나에 의미를 두고 차근차근 배웠던 것 같다.
요즘 초등학교 교과서를 보면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로 나누어져 있고
내용도 과거의 낱말 하나하나에 중점을 두고 배웠던 것과 달리 전체적인 문장 속에서의
사용이나 용법에 더 중점을 두는 것 같다.
아마도 몇 년 전부터 시작되었던 대입시험의 논술때문일 것이다.
그래서인지 초등학교에 입학 하기도 전부터 논술학원이니 글쓰기 교실이니 하는 곳에서
글 잘 쓰는 요령부터 배우는데도 정작 우리말에 대한 자각은 별로 없다.
더구나, 우리말을 제대로 하기 전부터 온통 영어로 아이의 눈과 귀는 물론
입까지도 물들이고 마는 실정이니.......
영어는 파닉스니 문법이니 하면서, 우리글은 안 배워도 절로 되는 것처럼 착각하는 우리들.
그러다보니 TV의 개그프로그램이나 드라마 등에서 '뜨는 말'들을 아무런 검증없이 자연스럽게 쓰고는 한다. 출처조차 불분명한 유행어가 난무하고 있다.
아이들이건 어른들이건 '뜨는 말'을 모르면 시대에 뒤떨어지는 사람으로 취급되기도 한다.


한 번 마음 먹었다 하면 무서운 우리들, 한 번 뭉쳤다 하면 거칠 것 없는 우리들.
2002년 월트컵 응원전도 그렇고 얼마전 촛불문화제도 그렇고......
그런 관심과 단결이 소중한 우리말에도 한 번쯤 휘몰아쳤으면 하는 바람이다. 




여기서 잠깐!

 
당신의 우리말 실력은?

* 괄호 안에 있는 낱말 가운데 다음 문장에 맞는 것을 고르세요~

1. 나는 어제 용돈을 모두 (잃어버려서, 잊어버려서) 공책을 살 수 없었다.

2. 아빠는 우리 동네에서 옷을 가장 잘 입는 (멋쟁이, 멋장이)예요.

3. 누구 팔뚝이 더 (굵은지, 두꺼운지) 견주어 보자.

4. 선생님은 떠드는 아이를 손가락을 (가리켰다, 가르쳤다).

(본문 25~3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출동! 우리말 구조대  >  


                               GO GO  지식 박물관05. 

어느 날, 오염된 우리말이 반란을 일으켰어요.

우리말을 올바르게 사용하지 않으면 영원히 사라지겠노라고 엄포를 놓았어요.
우리말 반란군과 우리말 구조대의 흥미진진한 대결,
우리말 반란군의 상상할 수조자 없는 갖가지 음모,
과연 우리말 구조대는 사건을 해결하고 우리말을 지킬 수 있을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 출동! 우리말 구조대  >  

                               GO GO  지식 박물관05. 

띄어쓰기, 발음이 같지만 뜻이 다른 말, 서로 비슷해서

잘못 쓰기 쉬운 말, 높임말과 예사말, 흔히 쓰는 외래어,

잘 알아두면 유익한 순수 우리말에 대한 지식과 정보가

담겼다.

책 소개

<출동! 우리말 구조대>에서는 책 속에 글자가 사라진 사건, 시험을 보던 아이들이 꽁꽁 얼어붙은 사건, 예사말이 높임말을 쫓아낸 사건 등 글자 바이러스를 퍼뜨리는 글자 사냥꾼에 맞서서 우리말 구조대가 출동해 문제를 풀어 나간다. 우리말 구조대와 우리말 천재 슬찬이의 우리말 바로 쓰기 이야기. 

 




 


 


 

 

 

 

 

  

 지은이

 김정민 대학을 좋어한 뒤, MBC '뽀뽀ㅃ', EBS '딩동댕 유치원' 같은 어린이 프로그램 작가로 일했습니다. 지금은 동화 작가 모임인 '우리누리'에서 여러 어린이책을 쓰고 있습니다. 쓴 책으로는 <시포의 랄랄라 이야기 동요> < 영어 만세 >< 아이 러브 피고뽕 > 들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