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이름이 뭘까?

 

두나 엄마: 이름은 사람이나 사물의 원래 성질을 말해 주는 거야. 
               우리가 '동그라미'라고 했을 때, 네모를 떠올릴 수 없듯이 말이야.
               우리 이름 속에도 부모님이 바라는 모습이 담겨 있어.
               '두나'라는 이름 속에는 '두려움이 없는 나'라는 뜻이 담겨 있어.
               두나가 커서 세상에 어떤 두려움도 없이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는 용감한 아이가 되기를 바라.

 

철학자:   이름을 짓는다는 것은 사람이나 사물을 잘 이해할 때 할 수 있는 일이에요.
             잘 이해한다는 건 그만큼 더 잘 알고 사랑한다는 뜻이지요.
             그런 마음이 없으면 이름도 아무런 의미가 없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배려란?

국어사전에 보면 이렇게 나와요. ‘누군가를 도와주거나 보살펴 주려고 마음을 쓰는 것.’ 이런 마음이 자연스럽게 몸에 배려면 그 사람 마음을 생각해 보는 버릇을 들여야 해요. 자기 생각대로 ‘그럴 것이다.’ 하고 미리 짐작해 버리면 남을 도울 기회도 잃게 돼요. 

1. 팔을 다친 친구를 대신해 점심 급식을 받아주는 일.
다른 사람의 입장이 되어 생각해 보면 배려하는 마음이 우러나지요.
나한테는 쉬운 일도 친구한테는 어려운 일일 수 있거든요. 
 

2. 멋진 경치를 구경할 때 키 작은 동생을 앞에 세워 주는 일.
아무리 신 나는 구경도 키 큰 내가 가로막고 있으면 안 보이겠죠?
한 번만 더 생각하면 모두 함께 즐길 수 있어요. 

3. 어르신에게 버스 자리를 양보하는 일.
나이 많은 어르신들이 서서 가기 가장 힘들겠지요?
남을 배려하면 괜히 내 기분까지 좋아져요.
 

4. 재미있다고 게임기를 나만 독차지하지 않는 일.
나한테 재미있는 건 다른 친구들한테도 재미있지요.
자기 욕심을 조금만 줄이면 싸울 일이 없어요.

5. 산에 가서 떠들지 않는 마음.
산에 많은 동물들이 살고 있어요.
동물들이 좋은 환경에서 살 수 있도록 돕는 것도 아름다운 배려지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자신감이란 무엇일까?
 

실패를 미리 걱정하지 않는 것이 자신감이에요. 잘할 수 있을 거라고 자신을 믿고, 그 믿음이 현실에서 이루어질 거라고 믿는 것이 바로 자신감이지요. 이런 자신감 덕분에 세상을 바꾼 위해단 인물들을 만나 볼까요?  

대처 수상은 영국 맨 처음 여성 수상이에요. 한명숙 총리는 우리나라 맨처음 여성 총리고요. 매리 매컬리스는 아일랜드 맨 처음 여성 대통령이지요. 모두 남자들이 판치는 정치계에서 여성의 목소리를 낸 사람들이지요. 이 사람들은 모두 ‘자신감’이 있었어요. 자신감은 안 될 것 같은 일들을 되게 해 준답니다. 잘난 사람이 자신감을 갖는 것이 아니라, 자신감 있게 행동하는 사람이 더 큰 일을 할 수 있어요. 다른 위인들은 이런 말을 했어요.

링컨: ‘할 수 있나. 잘 될 것이다.’라고 마음먹으세요. 그러고 나서 할 수 있는 방법을 찾으 세요.
 

에디슨: 자신감은 성공으로 이끄는 첫 번째 비결입니다.

<세상 가장 소중한 가치> 4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감사란 무엇일까?

어떤 책을 보면 이런 말이 나와요. ‘가장 어려운 수학 문제는 우리가 신이나 이웃한테 받은 축복을 세어 보는 것이다.’그만큼 우리가 알게 모르게 받고 사는 것이 많다는 뜻이지요. 그 모든 것에 감사할 줄 아는 마음. 그것은 성숙한 인격을 갖추는 지름길이자. 닫힌 마음을 열 수 있는 아주 놀라운 힘이랍니다.

인도사람: 우리나라에는 이런 속담이 있지요. 병에 물이 반만 차 있다고 투덜대지 말고 병 속에 아직 반이나 남아 있음을 고마워하라.

디트리히 본회퍼: 고마워하는 마음을 바탕으로 인간은 부자가 된답니다. 둘레를 둘러보면 고마워할 것들이 넘쳐나니까요. 벌써 우리한테는 많은 것이 있다는 뜻이지요. 

피터 세퍼: 사람이 하는 첫 번째 나쁜 짓은 마로 고마움을 모른 것입니다. 아주 작은 일에도 고마워하는 마음이 있어야 해요.

헬렌 켈러: 난 눈도 안 보이고 귀도 안 들리고 말도 못했지만, 설리번 선생님을 만나고부터 신께 더욱 감사했어요. 이를 바탕으로 나는 나를 더욱 잘 알고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 더욱 확실하게 알 수 있었지요. 
 

<세상 가장 소중한 가치> 30쪽 / 한솔수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