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한글탄생 563돌입니다~ 

세계의 뛰어난 언어학자들과 교수들이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문자' 혹은 '한글의 세계의 알파벳'이라며 입에 침이 마르도록 감탄하는 우리의 한글!

얼마전에는 인도네시아 부톤섬의 찌아찌아족이 표기문자로 채택하였다는 소식에 비로소 우리 한글의 뛰어남을 새삼 실감하기도 하였죠.
이제는 인근 고등학교에서도 아랍어 대신 한국어를 제2 외국어로 채택했다고 하니 그야말로 우리 한글의 우수성이 세계 만방에 떨칠 시발점이 아닌가 하는 생각마저 드네요.

참고로, 한국어를 대학에서 가르치고 있는 나라는 54개 국에 달하며 한국어 능력시험에 응시하는 인원도 20개 국 18만 9천여 명에 달한다고 합니다. 한국어 보급 기관은 전 세계에 2천 177곳이나 된다고 하네요. 

한글날의 중요성을 새삼 느껴서일까요?
문화체육관광부는 지난 1991년 공휴일에서 제외된 10월 9일 한글날을 법정 공휴일로 재지정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하는데, 다시 공휴일로 지정하려면 '국경일에 관한 법률'을 개정해야 한다고 하네요.

그러나 한글날의 법정 공휴일 재지정보다 선행되어야 할 것은 나날이 심각해지고 있는 정부 기관과 지자체의 상징이나 구호, 정책 이름, 공문 등에 영어를 남용하고 영어와 한글을 뒤섞은 국적 불명의 조어(造語)를 무분별하게 만들어 내는 것을 지양(止揚)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누구보다 솔선수범하여야 할 정부가 앞장서서 우리의 한글을 바로 사용하고 널리 알려야겠죠!!

여기서 잠깐!
 

한글과 훈민정음은 무엇이 다를까요?

한글의 옛날 이름이 훈민정음이랍니다. 훈민정음이란 '訓 (가르칠 훈) 民 (백성 민) 正 (바를 정) 音 (소리 음)'으로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입니다.

한글은 1910년에 국어학자인 주시경 선생님이 지은 이름입니다. 한글의 한은 크다는 뜻으로 하나의 크고 좋은 글자이며 우리나라 글이란 뜻이지요.

옛날부터 한글에는 여러 가지 이름이 있었답니다. 언문(諺文), 반절, 국어, 배달말이라고 말이죠. 언문은 한문과는 다른 문자라는 뜻입니다. 언서(諺書), 언자(諺字), 언해(諺解), 암클, 중글이라고도 했지요. 이런 말들은 모두 우리말을 낮추어 본 데서 생긴 말이었어요.

반절은 최세진이란 학자가 지었는데, 자음과 모음이 만나 하나의 소리를 내기 때문에, 소리의 마디를 반으로 나눈다는 뜻으로 반절이라고 지었지요. 국어는 우리나라 말이란 뜻이고, 배달말은 배달민족 단군의 후손이 쓰는 말이란 뜻으로 조선어문회에서 지었답니다.  

(출처: GoGo 지식박물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제 저녁 무렵 깜짝 놀랄 기사가 인터넷에 떴더군요.
다름 아닌 우리의 자랑스런 한글이 인도네시아의 찌아찌아족(族)의 표기문자로 채택되었다는 소식이었습니다. 찌아찌아족이 소수민족이기는 하지만 한글이 다른 나라·민족의 공식표기 문자가 된 것은 처음있는 일로 그야말로 경사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지요.

인도네시아의 부톤섬에 살고 있는 인구 6만여 명의 소수민족인 찌아찌아족(族)은 고유의 문자가 없어 독자적인 그들의 언어가 자칫 사라질 뻔한 위기에 처했었는데.... 이를 알고 찾아간 훈민정음학회 관계자들의 노력으로  우리의 한글을 공식 표기 문자로 채택되었다네요.

 




어리석은 백성을 어여삐 여겨 위대한 세종대왕께서 만드신 우리의 한글.

한때는 양반들의 반대와 일본의 침략으로 자칫 사라질 뻔했던 한글.

그 험한 시간을 묵묵히 견디고 마침내 세계의 언어학자들이 감탄해 마지 않는 세계의 유래없이 우수하고 과학적인 한글.

 
이제는 우리에게 뿐만 아니라 세계인들의 언어를 살려주는 문자로 우뚝! 서는 첫발을 내디딘 것 같아 진정으로 자랑스럽고 뿌듯합니다.

 

경축~~~

한글, 찌아찌아족(族) 표기문자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 오늘은 한글날, 세종대왕이 숨겨둔 비밀 문서를 찾아라!>

1. 어디서  ?



2. 누구와 ?






 

 

 

 

 

 

 

 

 

 

 

 

 

 

 

 



 

 

 

 

 

 

 

 

 

 

 

 

 

 

 

 

 

 

속 대한민국 사람들은 우리말이 없어 이두 문자를 쓰고 있어요. 누구나 쉽게 배우는 우리말이 없어 안타까워하던 강철 대통령은 성삼문 문화부 장관과 장영실 박사, 김종서 형사를 청와대로 불렀어요. 그 자리에서 장영실 박사는 태양계의 행성들이 완벽한 십자가 모양을 갖추면 시간 터널이 생겨, 과거든 미래든 가고 싶은 시간으로 갈 수 있다고 말했어요. 장영실 박사는 세종대왕의 비밀 문자인 훈민정음을 풀면 제대로 된 우리말을 쓸 수 있다고 했어요. 그래서 성삼문 장관과 김종서 형사한테 시간 터널을 타고 570년 전 조선 시대로 가서 세종대왕을 도와 훈민정음을 완성하자고 했어요. 드디어 시간 터널이 열리는 날, 세 사람은 죽음을 무릅쓰고 터널 속으로 들어갔어요. 정말 세 사람은 세종대왕을 만나 훈민정음을 완성할 수 있을까요?

세종대왕이 만든 훈민정음은 세상에서 가장 으뜸 문자라고 세계 언어학자들도 평가하고 있다. 훈민정음은 자음 열네 개와 모음 열 개만 알면 누구나 글을 읽을 수 있고, 생각을 글로 쓸 수 있다. 글자는 모양이 복잡하면 외우기가 어려워 쉽게 못 쓰거나 못 읽을 수도 있다. 하지만 한글은 간단한 점, 수직선, 수평선, 사선, 동그라미로 되어 있어 알아보기도 쉽고, 서로 더하면 쉽게 다른 글자도 만들 수 있다. 그뿐인가? 입에서 나는 말을 다른 어떤 나라 말보다 더 많이 쓸 수 있고 못 적는 소리가 거의 없다. 한글이 정말 세계 가장 으뜸 문자냐고? 세계에서 가장 쉬운 문자냐고? 못 믿겠으면 책 속으로 풍덩 빠져 보자. 성상문 장관, 장영실 박사, 김종서 형사가 구출해 낸 훈민정음의 놀라운 위력을 몸으로 체험할 수 있다.




이 글은 테마카페에 등록된 테마입니다.
테마는 '먼댓글(트랙백)'이나 '댓글'을 이용하여, 하나의 주제(테마)를 놓고 여럿이 함께 얘기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테마카페 바로가기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