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어제오늘 우리나라의 기후와 관련한 뉴스가 충격적이네요.
다름아닌 금세기 안에 우리나라에서 겨울이 사라진다는 것입니다.

지난 1971년부터 2000년까지 30년 동안 관측한 기온의 평균값과 수치예측 모델을 바탕으로 기후변화감시센터에서 추정한 바로는, 현재와 같은 지구온난화 현상이 계속된다면 2071~2100년 사이에 태백산과 소백산 인근 내륙지역을 제외한 남한 전역이 아열대 지역으로 변할 것이라고 합니다.
서울과 수원, 대전, 광주, 대구, 울산 등 국내 주요 지역의 영하권 추위는 이제 사라진다는 것이죠.

일반적으로 아열대 기후는 월평균 기온 10도 이상인 달이 8개월 이상이며, 가장 추운 달의 평균 기온이 18도 이하인 상태를 의미하는데, 아열대 기후로 바뀌면 왕벚나무의 서식지가 고산지대에 국한되고, 사과나 감귤, 대나무 등의 주산지도 현재보다 북상할 것이라고 합니다.

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절이 뚜렷하고 물 맑고 하늘 푸른 금수강산임을 자랑스러워하던 우리나라.
아름다운 금강산조차도 봄에는 금강산으로, 여름에는 봉래산으로, 가을에는 풍악산으로, 겨울에는 개골산으로 계절에 따라 불리는 이름이 다르건만....... 금강산도 이제는 겨울 이름인 개골산을 잃어버릴 처지가 되었다고 생각하니 막막하네요.

하얀 눈을 맞으며 눈사람도 만들고, 귓불이 빨개지도록 눈싸움도 하던 추억마저도 이제는 남의 나라 이야기가 되는 것일까요?? 


여기서 잠깐!

 
봄, 여름, 가을, 겨울..... 철은 왜 해마다 되풀이할까요?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가 둥글다는 사실은 알고 있지요? 지구는 해를 중심으로 한 해에 한 바퀴를 돈답니다. 전등을 하나 켠 다음 그걸 태양이라고 생각하고 그 둘레를 지구본으로 돌려 보세요. 지구가 똑바로 안 돌고 비스듬히 돌지요? 지구는 23.5도로 기울어져 돌고 있답니다. 그러다 보면 어떤 때는 햇빛을 많이 받고 또 어떤 때는 조금밖에 못 받게 된답니다.

바로 햇빛을 가장 많이 받을 때가 여름이고 적게 받을 때가 겨울이 되는 겁니다. 겨울과 여름 사이에 봄과 가을이 있지요.
만약 지구가 기울어져 돌지 않고 똑바로 돈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한 해 내내 한 가지 철밖에 안 생기겠지요. 햇빛을 받는 양이 날마다 똑같을 테니까요.
(본문 65~66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요며칠 대만, 일본,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를 긴장케 하는 태풍 모라꼿(MORAKOT)!
8호 태풍 모라꼿은 태국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에메랄드를 의미한다고 하는데, 에메랄드의 위력이 어마어마하다.

대만은 태풍으로 인한 산사태가 발생하고 대만 역사상 (50년만에 라고 했던가??) 최고의 강우량을 기록하며 6층짜리 건물이 통째로 무너졌다.
8월 11일 현재 대만의 재해대책본부는 41명이 숨지고 600여 명이 실종된 상태로 보고했으나 일부에서는 이보다 피해 수가 훨씬 더 웃돌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이번 8호 태풍 모라꼿으로 인한 피해는 사상 유례없는 통계가 나올 것이라고 보도하고 있다.

인명구조에 군장비도 동원하는 등 민관군이 힘을 모으고 있지만 이미 아파트 6개 동이 무너져 내리고 2000여 가구가 물에 잠기는 등 하늘에 구멍이 뚫린듯 퍼붓는 퍼붓는 폭우로 대만은 이미 초토화로 정신을 잃은 상태이다. 

일본 역시 이번 모라꼿으로 수십 명이 사망자와 늘어나는 재산피해로 정신이 없는데 지진까지 발생해 그야말로 엎친데 덮친격이다. 

한국은 모라꼿과 9호 태풍 아타우, 2개의 강력한 태풍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고 있어 그나마 다행이지만 서울과 경기 북부가 12일 새벽부터 200mm가 쏟아지면 중부지역이 물폭탄을 맞았다. 모라꼿은 오늘도 강한 바람과 천둥, 번개를 동반한 많은 비를 뿌리며 우리나라를 관통하며 12일 밤 동해 상으로 빠져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서 잠깐!

태풍이 뭐기에 그렇게 힘이 센 걸까요?

 

"태풍은 어마어마하게 큰 소용돌이 바람이란다.  따뜻한 남쪽 바다에서 생겨나서 바다를 거쳐 육지까지 단숨에 올라가지!  

소용돌이 크기도 어마어마하게 크단다. 그 크기가 1천 킬로미터나 되니까 말이야. 높이도 장장 십 킬로미터나 돼. 그래서 태풍은 너무 무서워.

태풍은 곳에 따라 이름이 다르단다.

한반도에 불어오는 큰 폭풍은 '태풍'이라고 해.

멕시코만 근처에 생기는 소용돌이 바람은 '허리케인' 이라고 하지

오스트레일리아 근처 바닷가에서 생기는 바람은 '윌리윌리' 라고 하고

인디아 근처에서 발생하는 폭풍은 '사이클론'이라고 해." (본문 72,7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계 여러 가지 기후  

지구는 둥글기 때문에 지역에 따라 햇빛이 비치는 각도가 달라요. 그래서 세계는 특정 지역에 따라 날씨가 다르지요. 세계에서 가장 더운 곳은 햇빛을 가장 많이 받는 열대지방이에요. 그리고 가장 추운 곳은 극지방이지요. 극지방은 낮 12시에도 태양의 고도가 낮아서 태양 에너지를 많이 받지 못해요.

열대지방과 극지방 사이에는 사람들이 살기에 알맞은 온대지방이 있어요. 같은 온대지방이라고 해도 바다와 산맥의 위치, 바다 수면 높이에 따라 날씨는 다르지요. 이렇듯 특정한 지역에서 매년 만나게 되는 대표 날씨를 ‘기후’라고 해요. 세계의 기후는 크게 다섯가지로 나눌 수 있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랫동안 바다를 항해해야 하는 선장은 구름을 아주 잘 알고 있어야 하지. 어떤 구름이 보이느냐에 따라 날씨가 좋을지 안 좋을지 짐작할 수 있거든.
 구름에는 종류가 안주 많아, 하얀 새털구름은 아주 높은 곳에 떠 있고 안개구름은 땅 가까이에 퍼져 있지. 구름의 종류는 구름이 얼마만큼 높이 떠 있는지 낮게 떠 있는지에 따라 상층운, 중층운, 하층운으로 나뉜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타타르 아저씨, 우리 마을에는 왜 이렇게 안개가 자주 껴요?

그건 말이다. 안개는 수증기가 많은 곳에 잘 생기기 때문이야. 수증기가 뭐냐고? 수증기는 물이 증발해서 생긴 기체란다. 주전자에 물을 끓이면 하얀 김이 위쪽으로 올라가지? 그게 바로 수증기야.
수증기는 온도가 낮아지면 다시 작은 물방울이 되기도 해. 그 작은 물방울들이 모이면 안개가 되는 거란다. 생각해 봐. 물로 이루어져 있는 바다나 강에는 수증기가 많겠지? 그래서 강가나 바닷가에서는 안개를 자주 볼 수 있어. 이제 왜 우리 마을에 안개가 자주 끼는지 알겠지? 그리고 아주 중요한 사실 한 가지를 알려 주지! 안개는 사실 구름과 같은 거란다.



저 멀리 보이는 산에 걸려 있는 구름을 본 적 있을 거야. 산꼭대기에 사는 사람은 그 구름을 안개로 느낀단다. 그러니까 수증기들이 높은 곳에 뭉쳐 있으면 구름이고, 땅과 가까운 낮은 곳에 머물러 있으면 안개가 되는 셈이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