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명절을 앞두고 저 멀리 인도네시아로부터 들려오는 가슴 철~렁하는 소식! 

지난달 29일 태평양 미국령 사모아섬에서 발생한 진도 8.0 규모의 지진이 발생한 다음날인 9월 30일과 10월 1일  인도네시아의 수마트라 섬에 각각 7.6도와  6.6도의 지진이 발생하여 사망자 수만 1000 명이 넘고 있다. 500여 채 이상의 건물이 붕괘돼 매몰자 수는 수백에서 수천여 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 사망자 수도 계속 증가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지난 2004년 12월 수마트라 섬 지진 해일로 23만 명이 사망한 악몽이 다시금 살아난 듯하다.

전 세계 지진의 90%가 발생하여 '불의 고리'라 불리며, 유라시아판과 호주-인도판, 태평양판으로 둘러싸여 있는 환태평양 조산대에 속하는 인도네시아. 무거운 해양판이 대륙지각 밑으로 파고들어 지진이 발생하는데, 판의 경계에 위치하는 인도네시아에 지진이 빈번한 이유란다.
대륙과 해양지각이 만나는 위치에 있는 일본에 지진이 자주 발생하는 것도,  대륙판 안에 있는 우리나라가 상대적으로 안전한 것도 이 때문이라고 한다.




여기서 잠깐! 


우리가 쓰나미라고 부르는 지진해일에 대해 알아볼까요?

해일은 바다 밑에 있는 땅에서 지진이 나는 것으로, 바다 밑에 있는 땅이 쩍 갈라지거나 움직이면서 바닷물이 크게 요동치는 것이죠(지진해일). 하지만 커다란 폭풍이나 태풍이 바다에서 일어날 때도 해일이라고 합니다(폭풍해일).

쓰나미는 해저에서의 지진, 해저 화산 폭발, 단층 운동 같은 급격한 지각변동이나 빙하의 붕괴, 핵실험 등으로 발생하는 파장이 긴 천해파를 말하는 것으로, 위의 지진해일에 속합니다.

지진해일이 폭풍해일과 다른점은 폭풍해일은 바다 표면이 크게 높낮이 차이가 폭풍에 의해 발생이 되어 그 차이가 그대로 육지까지 전해저 피해가 일어나는 경우인 반면 지진 해일은 바닷속 깊은 곳에서 지진, 등에 의해 큰 바닷물의 수위차이가 발생하지만 그시각 해수면에는 그다지 큰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보통 폭풍에 의한 해일은 배를 타고 나가 있던 고기잡이 어선이 먼저 이것을 발견하고 서둘러 집으로 돌아 오는 경우가 있었지만 지진해일은 이렇게 먼바다에서는 그 변화를 전혀 느낄수 없으므로 고기잡이를 마치고 오면 바닷가 집이 온데간데 없이 바닷물에 쓸려 가 버리는 경우이지요.                                                    

 (내용출처: GoGo 지식박물관, 네이버 지식iN)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오늘부터 전국에 다시 장마가 시작되어 주말까지 비가 온다는 일기예보 

 

한동안 기상청의 일기예보가 제대로 맞지않아 국민들의 질타와 조롱을 받기도 하다가 급기야는 일기예보를 하지 않겠다는 다소 놀라운 발표까지 했던 것으로 기억이 나는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우리는 아침마다 '오늘의 일기예보'에 귀를 쫑끗~ 세우기도 합니다.

일기예보는 언제부터 어떻게 시작되었을까요?  

'여러 장소의 날씨, 기압, 풍향, 풍속, 기온, 습도 등의 정보를 모아, 대기와 지면 등의 상태를 예측하고 전하는 과학 기술'이라는 사전적 의미를 지니고 있는 일기예보의 역사는 구름의 움직임을 보고 날씨를 예측하던 기원전 650년의 바빌로니아인들로 거슬러 올라가는 고대의 일기 예보는 기후의 패턴을 찾는 경험에 의존한 것이라고 합니다.

특히, 전보의 발명 이후로 먼 거리의 바람이 부는 쪽의 날씨 정보를 바탕으로 일기를 예보할 수 있게 되었으며, 과학적인 일기 예보는 프랜시스 뷰포트프로티지 로버트 피츠로두 사람의 공적으로 영국 함대에 받아들여진 뒤 오늘의 일기 예보 지식의 모든 기초를 형성하였다고 합니다.
 

하지만, 근래에 들어 급변하는 환경의 영향으로 이상기온이나 온난화 현상 등과 같이 여태까지의 경험과 축적된 자료를 바탕으로 한 예측이 맞지 않은 탓인지 슈퍼 컴퓨터와 같은 첨단 장비를 갖추고도 빈번하게 빗나가는 기상청의 일기예보.  


과연 일기예보가 사라질 수 있을까요?
 

날씨를 미리 알려주는 일기예보가 사라지려면 무엇보다 날씨의 변화가 없어야 하지 않을까요?
그렇다면 날씨의 변화가 없으려면?
물이 없어야 구름도 사라지고 비도 안 오고....... 마침내는 일기예보도 필요하지 않게 되겠지요.

하지만, 지구 상에 물이 부족하다고는 해도 물이 존재하는 한 물이 증발함으로써 수증기가 생기고, 수증기가 뭉쳐서 구름이 되고, 구름 속의 수증기들이 큰 물방울이 되어 다시 비나 눈, 우박으로 떨어지는 물의 순환이 계속되는 한 날씨의 변화 또한 계속되고, 일기예보도 계속되겠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 엉뚱한 악당들의 놀라운 지구 체험기>

                                                                          GOGO 지식 박물관3.

아라비아 도둑들의 대장 파란 혓바닥, 세상에 모르는 게 없는 잘난 체 영감, 세상에서 가장 발 빠른 허리케인 쌩, 억세게 힘이 좋은 손가락 뚝뚝, 파란 혓바탁을 배신하지 않은 배신자 까만 초승달 엉뚱한 악당들이 들려주는 지구 체험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 엉뚱한 악당들의 놀라운 지구 체험기>

                                                                          GOGO 지식 박물관3.

공기, 산소, 지구 자전,과 공전, 물의 순환, 사막, 지각, 맨틀, 핵, 석유, 빙산, 지진, 해일, 화산, 대륙이동, 천둥과 번개에 관한 지식과 정보가 담겼다.

 




 책 소개

 

<엉뚱한 악당들의 놀라운 지구 체험기>에는 세상 모든 지식을 머릿속에 담고 있는 잘난 체 영감이 등장한다. 잘난 체 영감의 머리를 써서 큰 도둑질 한탕 하려는 아라비아 도둑 대장 파란 혓바닥과 그 일당들은 햇살을 주워 담고, 땅을 파고, 번개를 써서 돈을 벌 수 있을지... 지구를 상대로 한 얼토당토않은 도둑질 이야기.

 

 

 

 

 

 

 

 

 

 


지은이

정명숙  - 1972년 서울에서 태어나 강원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했습니다. 그 동안 생각하는 방랑자가 되어 여러 나라를 돌아다녔으며, 시와 만화를 사랑하는 일에 열중해 왔습니다. 지금은 여러 동화 작가들의 모임인 ‘우리누리’에서 어린이의 눈높이에서 생각하는 다양한 책을 쓰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책으로는 《세계사 첫발1~2》, 《상상력을 키워 주는 그림만화》, 《명화로 읽는 세계사》, 《창의력을 키워주는 그림만화》 , 《옛날에 내가 태어났다면 어떻게 살았을까》, 《미술 첫발》 등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