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얼마전 필리핀과 미국, 멕시코 부근 태평양 1~4km 깊이 해저에서 잠수함에 의해  매우 기이한 생물을 발견했다는 외신 보도가 있었죠. 

1.8~9cm 정도의 몸길이에 지네처럼 생긴 이 생물은 천적이 접근하면 몸의 일부분을 한두 개씩 떼어낸다고 하는데, 신기하게도 몸에서 떨어진 이 것들은 수 초 동안 초록색의 빛을 낸다고 합니다.

과학전문지 '사이언스' 최신호에서 '그린 바머(green bomber)'라는 별명으로 소개된 이 생물은 천적의 위협에 계속되면 몸의 일부분을 계속 떼어내는데 떨어져나간 부분은 다시 재생되며,  떨어져 나간 것들이 심해에서 초록색 빛을 띄며 천적들의 주의를 흐리는 동안 그 틈을 타 무사히 도망친다는 것!

과학자들은 투명한 몸에 기다란 털로 이뤄진 갈퀴로 헤엄치는 이 생물에게 '스위마 봄비위리디스(Swima bombiviridis)'라는 학명을 붙였다고 합니다.  

아마도, 기존 생물들의 천적퇴치법이나 천적대처법과 달리 자신의 일부를 활용한 깜찍한 속임수를 쓰는 방법이 매우 독특한 것 같아요. 보통 도마뱀도 자신의 꼬리를 뚝! 떼어버리고 도망치지는 것으로 알려져있지만 잘려진 꼬리가 특별하게 작용하는 것은 없으니 말이죠.

이번 신기한 해저생물의 발견으로  생태계에는 독특한 방법으로 살아가는 생물들이 많음을 새삼 느끼게 됩니다.^^  

 


여기서 잠깐!

그렇다면 다른 동물들의 천적퇴치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우선, 천적이란 자연 속에 있는 적을 말해요. 보통 힘이 약한 생물한테는 천적이 아주 많지요.
힘이 약한 동물들이 힘이 센 천적으로 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방법 중에는 의태와 보호색을 이용하기도 합니다. 

의태란 동물이 자기 몸을 둘레 환경과 비슷하게 바꾸거나, 천적이 싫어하는 동물처럼 보여서 자기를 지키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면, 마른 나뭇가지와 비슷하게 생긴 자벌레와 대벌레, 작은 돌멩이처럼 보이는 메뚜기, 독침이 있는 말벌과 비슷하게 생긴 나방, 꿀벌 모습을 흉내 낸 꽃등에 등이 있습니다.

보호색이란 카멜레온처럼 자기를 둘러싼 환경 빛깔에 맞춰 몸 빛깔을 바꾸는 것을 말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난 휴일동안 인천 앞바다에서 한창 더위를 식히고 있을 피서객은 물론 뉴스를 듣는 이들을 깜짝 긴장케 하는 사건이 발생했답니다.
다름아닌 한때 우리를 두려움에 떨게 했던 영화 <죠스>의 주인공과 같은 식인백상아리가 출몰했다는 것이죠.

비록 영화를 통해서이긴 했지만 역시나 한가롭게 바닷가에서 물놀이를 즐기고 있는 사람들에게 어느새 다가와 순식간에 아수라장을 만들며 공포로 몰아가던 영화 속의 한 장면!
아이들이 여름 더위를 식히려 맛나게 쪽쪽 거리며 먹는 얼음과자 중에도 상어모양의 죠스바~가 떠오르네요.

지난 8일 피서객들이 몰려있는 바닷가로부터 불과 3Km 떨어진 거리의 백사장에 밀려와 다시 바다로 돌아가지 못하고 1시간쯤 헐떡거리다 결국엔 죽었다는 공포의 백상아리.

같은 날  또 한 마리의 상어가 저인망 어선 그물에 죽은 채로 걸렸다는 소식에 인천 앞바다는 '죠스 경보'가 내렸다고 하네요.

막바지 더위를 잊기위해 인천 앞바다를 찾은 피석객들은 특히 조심하셔야겠습니다.

이번 상어들의 출몰을 기후온난화로 인한 해수면의 기온 상승으로 따뜻한 곳을 좋아하는 백상아리들이 해변으로 몰려온 것으로 관계자들은 추정하고 있던데요... 역시나 환경의 심각함을 깨우쳐 주는 사건입니다.

때아닌 동해안의 저온현상도, 잦은 비소식도, 이번 백상아리들의 때아닌 출현도 환경의 변화로 인한 기후온난화라고 하니 이제 어느 것 하나 환경때문이 아닌 것이 없다는 생각에 씁쓸해지기도 하네요.

아무튼, 백상아리들의 또 다른 출현이 우려됨과 동시에 환경의 변화에 대해 심각하게 고민해야 할 때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는 뉴스였습니다.

그렇죠. 이번 백상아리들도 따뜻한 해수면에 많이 있을 먹이를 찾아 해변으로 올라왔겠죠. 


때아닌 백상아리들의 출몰을 결코 백상아리들만의 탓으로 돌릴 수 없는 이유....

모든 생물이 다함께 살아가는 지구. 

백상아리들이 살기에 적합한 온도로 변해가는 인천 앞바다의 수온이 원인이라면 원인이라고 할 수 있겠죠.
더이상의 지구 온난화의 진행을 막아야 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지구 온난화로 인해 생태계가 뒤죽박죽될까 우려아닌 우려가 되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생태계란 한마디로 돌고 도는 자연 세계를 말하는 거예요



토끼풀은 햇빛과 물을 먹고,  

토끼는 토끼풀을 먹고,  

호랑이는 토끼를 잡아먹고,

호랑이가 죽으면 박테리아가 호랑이 몸을 분해해서  

흙을 만듭니다. 



이렇게 지구에 있는 모든 생물들은  

돌고 돌면서 알맞은 수를 유지하며 살아요.
 



 

  

일정한 공간에서  

생산자와 소비자, 분해자가  

끊임없이 자연 세계를 돌면서 이동하는  

생태계의 많은 생물들은  

먹고 먹히는 관계에 따라 돌고 돕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은 어떻게 만들어질까요?


숲은 자연 속에서 오랜 시간에 걸쳐 변화를 겪으며 발전해 갑니다.

산사태나 홍수, 산불과 같은 자연재해로 숲이 망가졌을 때에도 가장 먼저

풀이 나오고, 풀이 빽빽해지면 나무가 자랑 숲이 우거집니다.



한해살이풀

어떤 숲이든 처음에는 아무것도
자라지 않는 벌판이었어요. 이런 벌판에
꽃다지, 망초, 개망초, 뚝새풀, 바랭이 같이
한해살이풀과 여러해살이풀이 자랍니다.
그리고 풀을 먹는 동물들이 와서 살게 됩니다.


 

키 작은 나무
많은 시간이 지난 뒤, 싸리나무와 찔레나무,
진달래 같은 키 작은 나무들이 자랍니다.
나무에 가려 햇빛을 못 받은 풀들은
시들시들 죽어 갑니다.
 



 

키 큰 나무
또다시 오랜 시간이 지나
땅에 물기와 영양분이 많아지면서
소나무처럼 키 큰 나무들이 자랍니다.
숲이 이렇게 바뀌는 사이
또 다른 생물들이 숲에서
보금자리를 이루며 삽니다.


                                                <괴짜 도둑들의 생태계 여행> 7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괴짜 도둑들의 생태계 여행>


 

                                                  GO GO  지식 박물관 2


"까만 망토와 말썽꾸러기 부하 털보와 딱새가 들려주는 생태 이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